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인간의 면역계, 대사 그리고 정신 건강까지, 인간 장내미생물은 인간의 건강과 질병의 모든 측면에 있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장내 미생물의 작용 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는 실정입니다.
제가 연구한 장내 미생물은 장내 점막 조직에서 생성되는 점액을 분해하며 성장하는 Akkermansia muciniphila 균인데 이는 건강한 사람의 장내 미생물 중 약 3퍼센트 정도로 존재하며 면역반응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제2형 당뇨병과 장내 염증 질환으로부터 면역체계를 보호하고 암세포를 암면역치료요법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아직까지 어떠한 기전으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지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었기 때문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Akkermansia muciniphila균으로부터 생성되는 특정 인지질의 특이적인 면역 조절 기능과 기전을 밝혀낼 수 있었고 인간 장내 미생물과 면역 시스템 간의 복잡한 연관성을 밝혀내는데 있어 장내 미생물의 기능과 인과관계를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기에 앞으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본 연구는 의학, 약학, 생리학 등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Harvard Medical School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할 당시 시작하였고 올해 초부터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전임교원으로 임용되면서 공동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각 분야별로 필요한 모든 연구적 인프라와 우수한 연구동료들이 갖추어진 Harvard Medical School의 시스템과 가천대학교 약학대학의 연구 중심 지원 덕분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Harvard Medical School 박사후연구원 당시 PI셨던 Jon Clardy 교수님께서는 종종 연구에 대한 철학을 가벼운 농담과 섞어서 말씀해주시곤 했는데 그 중에서 기억에 남는 말씀 중 하나는 “아주 복잡해 보이는 시스템 속에서 답을 이끌어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때때로 그냥 지나치기 쉬운 간단한 무언가가 많은 것을 설명할 수 있는 열쇠일 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이러한 연구 철학이 이번 연구를 마무리할 수 있게 된 거름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장내 미생물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 중에 하나로써 연구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학문간 경계를 벗어나 융합적인 연구가 필수적이고 인간의 주요 질병과 면역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많은 관심 가지고 같이 연구해 나가면 좋겠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미생물 유래 천연물화학을 기반으로 신규생리활성물질을 발굴하여 신약후보물질을 제공하는 연구를 수행하면서 이를 더욱 확장하여 인간장내미생물과 주요 질병간 상관관계를 분자 수준에서 밝히는 연구를 하고자 합니다. 가천대학교 약학대학에서 같이 재미있는 연구하실 학생분들의 많은 연락 바랍니다. 자세한 연구실 정보는 홈페이지를 참조바랍니다.
Homepage: munhyunglab.creatorlink.net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많은 고민과 선택의 순간에 항상 아낌없는 조언과 지도를 해주시고 지금도 몸소 모범을 보여주시는 오동찬 지도교수님께 먼저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그리고 이번 연구의 시작부터 끝까지 믿고 저를 지원해주신 Harvard Medical School의 Jon Clardy교수님과 같이 연구를 수행한 동료들에게 깊이 감사합니다.
또한, 늘 제가 연구할 수 있도록 믿고 응원해주는 가족들과 많은 것을 배려하고 기다려준 아내에게 감사하고 사랑한다는 말 전하고 싶습니다.
#장내미생물
#Akkermansia muciniphila
#면역조절기능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