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심혈관계 질환 (Cardiovascular diseases)의 근본 원인인 혈류를 방해하는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의 발생 기전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혈관 폐쇄를 위한 최선의 치료법은 현재 스텐트를 삽입하는 혈관 성형술입니다. 그러나, 시술 후에는 혈관 재협착 (Restenosis)이 야기되어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고전적인 실험방법과 내용으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포괄적인 연구가 시급한 시정입니다.
혈관 평활근 세포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 증식은 동맥경화증, 풍선 혈관 성형술 그리고 혈관 재협착을 포함한 신생내막 증식증 (Neointimal hyperplasia)의 특징입니다. 신생내막 증식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많은 세포독성 및 세포증식 억제 치료제가 개발되었지만, 다인성 질환이 선입견에 집중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설이 없는 접근 방식을 통해 신생내막 증식과 관련된 주요 분자를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저희는 본 융합연구팀과 협업하여 데이터 세트 (GSE)를 분석하고, 신생내막 증식증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된 유전자 (DEG)를 평가하여, RNA sequencing 으로 후보물질을 마련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대퇴동맥이 손상된 마우스 및 환자의 대퇴동맥 죽종 (Atheroma) 조직에서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2 (PCK2)를 발굴하였습니다. 또한, PCK2의 Localization 관점에서 세포내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 signaling pathway를 조사하였습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VSMC 증식의 신호 전달 매개체인 PCK2를 표적으로 하는 것은 죽상경화증에서 VSMC 증식을 조절하는 새로운 치료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본 연구진은 앞으로 다양한 혈관 질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고전적인 실험방법에서 벗어나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치료제 개발의 초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본인이 소속된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의 김윤학 교수님 연구팀은 기초과학의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존분석을 프로그래밍하는 영역의 Medical informatics 연구를 진행 중이며, 유병률, 발생률을 토대로 특정 유전자 변이에 진단검사와 추적관찰의 필요성을 제시하거나, 특정 유전자 발현량과 환자의 예후와의 관련성을 밝힌 수 많은 논문으로 환자 15,355명을 대상으로 진행할 만큼 대규모의 연구 커리어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자는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부터 세포, 동물실험 기반 검증, 환자 대상 검증까지 다방면으로 김윤학 교수님께 피드백을 받으며 연구역량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연구실 홈페이지: https://Yunhakkim.pusan.ac.kr)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기초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며 기초의학의 한계점을 느낀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최신 연구 동향에 맞춰 융합연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융합형 고급인재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융합기술을 익히면서 융합 연구로의 치료제 개발은 다양한 주제는 물론이고, 여러 연구팀과의 협업을 포함하여 한계 없는 연구활동을 하고 있으며, 흥미로운 연구에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흥미라는 것은 수많은 실패에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는 것과 같기에, 현재 연구활동의 만족도에 이어 자부심이 매우 높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실패 없는 연구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 나름대로 많은 시간을 연구에 투자하였지만, 좋지 않은 결과로 인해 좌절감을 느껴본 적도 많습니다. 그때 가장 힘든 것은 “내가 하고 있는 연구가 가치가 있는건가?” 라는 질문이었습니다. 연구의 가치를 본인이 낮게 생각하면 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그리고 실패한 연구는 없다고 생각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내가 연구에 투자한 시간은 소중하고, 이로 인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모두 의미가 있으며 나름대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저는 실패와 좌절감을 반복하겠지만, 불필요한 연구는 없다고 생각하면서, 흥미로운 점을 찾도록 노력할 것이고,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과거에 저는 연구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고, 목표가 뚜렷하였습니다. 일상생활이 연구였으며, 결과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컸습니다. 그러나, 결론은 예상과 달랐고, 그렇기에 이에 따른 좌절감은 제 생활에 영향을 줄 만큼 적지 않았습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느끼게 되었습니다. “꼭 잘 해내야 된다” 라는 생각은 접어두고, 연구활동을 이어나갔더니, 연구하면서 보이지 않던 점이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제 인생에 있어 중요한 부분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현재는 연구가 자유로워졌으며, 다시 흥미로워졌고, 제 인생에 중요한 것들 또한 챙기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저는 연구자가 행복하여야, 좋은 결과가 따르는 것이라 믿어보려 합니다. 따라서, 본 논문과 같은 좋은 결과를 도출해낸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은 행복한 연구와 행복한 제 삶을 이어나가고 싶습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제한 없는 연구활동, 폭넓은 연구활동을 접해보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부족한 저를 항상 긍정적으로 바라봐주시고 믿어주신 교수님들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연구활동에 지쳐 포기를 생각할 때, 제 자존감을 다시 회복시켜주시고 힘을 내게끔 도와주신 부산대학교 김윤학교수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고, 제 생각과 의견을 편견 없이 수용해주시고 흥미로운 연구가 될 수 있게 도와주신 가천대 길병원 고대식 교수님께도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현재 연구팀에 많은 연구진들이 계십니다. 모두 저를 응원해주시고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활동 하면서 힘들 때 제 이야기를 들어준 소중한 후배들에게도 항상 감사하고, 언제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가족들에게도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Cardiovascular biology
#Bioinformatics
#Medical Science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