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코로나 팬데믹이 세계를 덮치며 많은 사람들의 일상이 바뀌고, 감염병에 대한 인식에도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특히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은 많은 종류의 변종 바이러스가 생겨날 수 있고, 전신에 걸쳐 다양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이에 최근에는 우리 몸의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이러한 감염병을 치료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사이토카인 폭풍 (Cytokine storm)을 치료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발현하는 T 세포를 제작하고, 이 세포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망가진 혈관과 사이토카인으로 인한 염증 반응을 치료해주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입니다.
에피소드 : 공동 연구 경험이 많이 없어서 연구를 진행하면서 다른 연구자분들께 많은 부분을 배웠습니다. 제가 진행했던 실험 결과가 다른 연구자분들의 실험 결과와 깊은 연관이 있고, 여러 결과들이 모여 하나의 큰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굉장히 기뻤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홍남 박사님 연구실에서 석박사 통합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김홍남 박사님 연구실에서는 3차원 환경에서 여러 인간 유래 세포를 공배양하여 특정 장기나 질병을 모사하는 3차원 체외 플랫폼에 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혈관장벽, 신경망, 뇌암이나 알츠하이머를 모사하고 이러한 모델을 통해 질병의 기저 연구 및 약물 효능 검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습니다.
김홍남 박사님 연구실 : https://sites.google.com/view/hongnamkim/%ED%99%88?authuser=0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하는 과정에서 기억에 남은 순간은 매일 반복적인 실험을 하며 마침내 그 결과들이 모여 하나의 성과가 되는 순간입니다. 제가 컨트롤하는 많은 변수에 대해 예상했던 결과들이 하나하나 나오고, 여러 결과들이 모여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때 묵묵히 보냈던 많은 시간들이 저에게 큰 의미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학위 과정이 단순히 몇몇 성과와 결과로만 정리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함께 연구하는 많은 선후배 분들과 박사님들, 그리고 지도 박사님과 함께 보내는 여러 시간들이 지금의 저에게 큰 의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세포에게 미세환경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처럼 개인에게도 주위의 환경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제가 학위과정을 진행하며 연구하기에 너무나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고, 김홍남 박사님 연구실 또한 늘 저에게 좋은 자극을 주는 곳입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앞서 말씀드린 3차원 체외 플랫폼 중에서도 주로 혈관을 모사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몸의 어느 곳이든 영양소와 노폐물 운반을 위해 혈관이 뻗어 있고, 장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을 앞으로의 in vitro 모델에서 잘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혈관의 기능적인 부분, 형태적인 부분을 잘 모사하여 질병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약물 전달에 관한 연구, 여러 질병에 의한 혈관의 변화와 그에 따른 면역 반응 변화에 대한 연구하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번 연구를 이끌어주시고 아낌없는 조언을 해주신 김홍남 박사님, 이원화 교수님, 박희호 교수님께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함께 연구를 진행하며 많은 부분을 다시 배웠고, 더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많이 생겼습니다. 공동 1저자인 손보람 박사님과 혜림 언니 너무 감사하고, 다른 연구에서도 함께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실험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많은 부분에 도움 주고, 격려해주신 김홍남 박사님 연구실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남은 학위 과정동안 함께 더 좋은 추억과 성과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사랑하는 부모님과 가족들, 늘 응원해주고 많은 격려해줘서 고마워요 :)
#COVID-19
#Cytokine storm
#Organ-on-a-chip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