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비알콜 지방간은 비만, 당뇨와 같은 대사 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질병으로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한 1차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므로 식습관이 지방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한국인의 식습관에서 보여지는 과다한 탄수화물 섭취는 간내 신생 지방 합성의 중요한 인자가 됩니다. 한편 장내미생물의 변화에 따른 지방간의 발생 혹은 식습관에 의한 장내미생물의 변화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식습관-장내미생물-지방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비알콜지방간 코호트에서 204명의 다중 오믹스 분석을 통하여 탄수화물 섭취량이 하루 에너지 섭취의 70% 이상에 해당하는 고탄수화물 섭취 그룹의 지방간염 발병진행에 따른 Enterobacteriaceae, Ruminococcaceae 와 같은 장내미생물의 변화와 SIRT1, SREBF2 와 같은 간내 신생 지방 합성의 중요한 인자인 유전자 발현 변화를 밝혀 내었습니다. 이번 임상 연구의 중요한 점은 식습관에 따른 장내미생물의 변화가 간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어 지방간을 일으키는 간 대사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밝혀내어 복잡한 지방간 병인을 이해하고 식이요법을 통한 지방간 예방 및 치료의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점입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현재 고광표 교수님의 지도하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미생물연구실의 대학원생으로서 박사 학위과정을 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장내미생물분야의 다수의 좋은 논문을 오랫동안 출판해 왔고 대사질환, 역학 및 생물정보학, 면역질환, 분자생물학과 같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연구를 할 수 있어 연구자로서의 학문적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연구실입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아직 배워야 할 것이 많은 박사과정 학생이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서 하나씩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결론을 도출해 나가는 즐거움을 알 수 있었습니다. 문제에 부딪힐 때마다 좌절하고 감정적으로 힘든 시기도 있었지만 오랜 시간 천천히 한 걸음씩 나아가다 보니 점점 발전해 나가는 연구내용 만큼 개인적으로도 많이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장내미생물 분야는 유전, 식이, 면역 등 다양한 요인들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많은 가능성을 가진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어떤 학문적 배경을 가졌든 본인이 최선을 다했다면 나중에 이 연구를 하고 발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연구를 할 때 수동적으로 시간이 해결해 준다는 마음가짐 보다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본인의 이론을 만든다는 생각이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석사과정부터 해왔듯이 앞으로도 식습관에 따른 장내미생물의 변화와 질병과의 상관관계 연구를 더욱 밀도 있게 하고 싶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질병의 치료 및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자가 되려고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저에게 끊임없이 기회를 주시고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는 고광표 교수님께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 논문이 나오기까지 지난 3년 동안 지도해주시고 논문 출판을 할 수 있게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아 주셨던 서울대보라매병원 김원 교수님, 유현주 박사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석사과정 중에 장내미생물 연구를 시작 할 수 있게 많은 도움을 주었던 독일에 있는 Helmholtz 연구소의 Dr. Marie Standl과 Dr. Anne Scholer 에게도 감사함을 표합니다.
마지막으로 정신적으로 힘들 때마다 버팀목이 되어 주었던 가족들 모두 고맙고 사랑합니다.
#Medicine
#Microbiology
#Bioinformatics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