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Mitoribosome의 결손은 간세포암에서 면역억제와 면역회피를 통해 직접적인 phenotype 이 연관 되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번 논문에서는 간암에서 mitoribosomal에 의해 매개되는 변화가 면역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습니다. 간세포암, 간세포암의 마우스 모델과 암유전체지도(The cancer genome atlas)의 데이터 set을 이용하여 mitoribosomal proteins(MRPs)와 간세포암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을 때, 마우스 모델에서 간세포 특이적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이 간암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간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리보솜 단백질인 CRIF1(CR6-interacting factor 1) 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방해합니다. Crif1 결핍은 T 세포에 불리한 환경을 유발하여 젖산 생산을 통해 활성산소종의 증가와 T 세포의 고갈을 초래했습니다. 또한 Crif1의 결핍 시 간 종양 미세 환경에서 면역 세포에 의한 프로그램 된 PD-1의 발현을 촉진 시켰고, 간의 mitoribosomal 기능 장애가 종양 미세 환경에서 고도로 고갈된 종양 침투 T 세포를 동반한 종양 성장을 유도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PD-1/PD-L1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면역요법은 간세포 암 환자의 특정 부분에 대한 치료로서 임상적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대사내과 실험실(Lab Homepage : https://sites.google.com/view/lab-leis) 은 이현승 교수님의 지도 하에 간섬유화 간암 면역세포 등 내분비질병기전연구 뿐만 아니라 골다공증, 근감소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희 연구실은 연구에 열정적이고 창의적이신 교수님과 숙련된 연구실 내 각 파트 별로 전문성을 갖고 있는 연구원 및 대학원생들끼리의 활발한 협업으로 훌륭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실험실입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를 시작하면서 세운 가설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맞지 않을 때의 우울과 좌절, 하나씩 맞아 들어갈 때의 희열이 있습니다. 연구실의 선생님들과 함께 할 수 있어서 가능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나이를 먹고 세월이 흐르면 시간이 없으니
자기가 좋아하는 일부터 먼저 하라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을 지내셨었던 故이어령 선생님이 하신 말씀입니다. 진학과 유학 모두 할 수 있을 때, 하고 싶을 때 도전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다음에 해야지, 여건이 되면 해야지 생각만 하면, 꿈을 쫓아 갈 수 없습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현재도 진행 중인 간섬유화, 간암을 연구하며 임상적으로 상용화 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노력할 계획입니다. 또한 연구들의 결과가 잘 나오기를 바라며, 실험실에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 논문이 나올 수 있기까지 이끌어 주시고 격려해주신 이현승 교수님과 연구실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