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이번 논문은 근육 특이적 미토콘드리아 산화적 인산화 저하 모델을 통하여 근육량 및 골 손실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논문입니다. 근육량과 근력 손실은 뼈에 가해지는 기계적 부하의 감소를 통해 골다공증을 유발하는데 근육량 및 근력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로 근육량 및 골손실 사이의 상관관계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었습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에 존재하는 세포 소기관중의 하나로 외막과 내막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이중막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된 기능으로 세포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ATP를 생성합니다. CRIF1(CR6-interacting factor 1)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 리보좀의 large subunit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Oxidative phosphorylation polypeptide 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삽입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rif1이 결손 되면 미토콘드리아 산화적 인산화가 억제되어 호흡기능이 감소하게 됩니다. 본 논문에서는 근육 세포에서 Crfi1 유전자를 결손시켜 근육 특이적 미토콘드리아 호흡 기능저하 모델을 제작하여 근육 미토콘드리아 기능감소가 근육조직의 감소와 함께 골수 면역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가하며 파골세포로 인한 골 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파골세포의 증식은 CXCL12에 의해 촉진되며, CXCR4 길항제에 의해서는 골수염증 및 골손실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근육 특이적 미토콘드리아 기능저하로 인한 골손실은 골수 염증세포의 활성화가 중요하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골다공증 환자에서의 새로운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 실험실에서 이현승 교수님의 지도 하에 박사학위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골다공증, 근감소증, 갑상선기능항진증 등 내분비질병기전연구 뿐만 아니라 간섬유화 간암 면역세포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희 연구실은 연구에 열성적이고 창의적 이신 교수님과 다양한 방면의 숙련된 연구자들의 협업으로 대학원 과정 동안 많은 실험기법 배울 수 있고 훌륭한 연구결과를 도출 할 수 있는 활기찬 연구실입니다. (Lab Homepage : https://sites.google.com/view/lab-leis)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학위과정과 연구를 수행하여 논문을 완성하기 위해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고 난관에 부딪혔었지만 교수님과 연구실 ‘팀원’이 항상 큰 힘이 되어주었고 어려움 속에서 해쳐 나갈 용기를 주셨습니다. 또한 어려움 속에서 부족함을 돌아보며 새로운 것들을 배워가면서 실험결과를 도출할 때마다 얻는 성취감을 동력으로 노력하였기에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아직 대학원생이 제가 조언을 드리기에는 아직 부족함이 많습니다. 비록 학위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지만 항상 긍정적인 마음으로 연구에 임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되면 보람 또한 크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대학생활동안 쌓지 못했던 실무의 경험을 통하여 취직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골다공증에 미치는 여러가지 영향요소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더 열심히 연구에 집중하여 연구세서 작은 발견이라도 얻는 것을 목표로 하겠습니다. 또한 하루 하루 착실하고 최선을 다하는 자세로 남은 대학원생활에 임할 생각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시고 격려해주신 이현승 교수님과 연구실 선생님들께 감사드립니다.
#mitochondria
#bone marrow inflammation
#bone loss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