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흡착 (Adsorption) 기술은 공극, 물질의 정전기적 성질, 화학적 결합 등을 이용하여 타겟하는 오염물질을 부착하는 기술로서, 해당 연구에서는 녹조 현상을 유발하는 세포인 Microcystis aeruginosa를 세포의 사멸없이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녹조 현상의 원인이 되는 종을 제어하기 위하여 개발한 흡착제의 표면을 표면 개질 (Surface modification)을 통해 제어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표면 특성 분석 등을 통해 표면 개질을 통한 표면 작용기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에 추가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탄소 중립’이라는 키워드에 맞추어 흡착 소재를 이용하여 녹조 세포 제어 이후 소재로부터 탈착 (Desorption)을 통해 녹조 세포의 분리 및 회수를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과정을 거쳐 회수한 흡착 소재는 조류 제어로의 재사용 평가를 진행하여 그 성능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회수 조류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분석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흡착 소재는 조류 세포의 사멸을 유발하지 않으며, 제어 시 녹조 세포 유래 독소 (Microcystin 등)의 배출이 없고 수생태계에 생태 독성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녹조 현상 발생 시 녹조 현상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바이오매스 활용 연구실은 최윤이 교수님 지도하에 크게 4가지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활용 연구실에서는 (1) 유용 미생물 바이오매스 개발 및 산업적 활용, (2) 흡착 기반 유해물질/미생물 제거 기술 개발, (3) 압타머 기반 바이오 리셉터 발굴, (4) 발굴 압타머, 화학적 검출 기법 기반 센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 분야의 진행을 위하여 다양한 국내 및 국외 연구팀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학문의 융복합을 통해 좋은 연구 성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특화된 실험실일 것 같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한 이후 최종적으로 우수한 저널에 논문을 투고할 수 있어 지도교수님이신 최윤이 교수님께 먼저 감사의 인사를 올리며, 녹조 제어라는 연구 분야의 트렌드 및 다양한 조언을 주신 김석 박사님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또한, 연구의 방향 설정 및 향후 나아갈 분야에 대해 끊임없이 조언을 해주시는 김현수 교수님, 박재원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우수한 논문의 경우 실험을 진행하는 연구자 한 명의 노력이 아닌 다양한 참여원의 노력이 합쳐져서 도출될 수 있는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로의 협업을 통해 우수한 논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아직 학위 과정을 진행 중인 학생이지만, 연구 및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부분을 말씀드리자면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 가장 필수적인 요소는 끊임없는 아이디어 구상, 연구 트렌드 분석 및 성실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연구 분야로의 진학 시 추가적으로 필요한 요소는 개인의 연구에만 집중하여 몰두하는 것이 아닌 실험실이라는 작은 사회에서 단체로 주어진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일입니다. 개인의 연구에만 집중하여 몰두하면 해당 분야에서 좋은 연구를 진행할 수는 있으나, 학위 과정 이후 사회에 나가서는 단체 생활을 진행할 경우 개인의 일보다는 단체의 일이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연구에만 몰두하는 것이 아닌 단체의 일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이바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로의 협업 및 적용에 대한 괴리감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우수한 연구 논문을 보면 단일 분야의 내용보다는 다양한 연구분야의 접목을 통한 ‘융합 연구’가 연구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 분야만 고집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열린 사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번 연구를 통해 흡착 소재를 이용하여 녹조 현상을 유발하는 조류 세포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탈착 기술 등의 접목을 통해 재사용 등이 가능한 것을 입증해냈습니다. 후속 연구로 수생태계에 존재하는 환경 생물 유래 물질의 분리 정제 및 확보 이후 개발한 흡착 소재로의 표면 개질을 통해 조류 제어의 특이성이 확보된 흡착 소재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외에도 광촉매로서 조류 제어 성능이 보고되고 있는 유기 금속 골격체 (Metal Organic Framework, MOF)의 개발 및 접목도 병행하여 진행할 예정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본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데 관심 및 조언을 끊임없이 해주신 지도교수님이신 최윤이 교수님께 감사합니다. 또한, 해당 논문이 출간될 수 있게 지도해주신 김석 박사님, 김현수 교수님, 박재원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추가적으로 본 연구를 같이 수행하고 있는 실험실 구성원께도 감사하며, 해당 연구를 폭 넓게 확장할 수 있게 같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협력기관 (광운대학교, ㈜ 광림정공, ㈜ 정봉 등) 연구진 분들께도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끊임없이 응원해주고 지지해주는 가족 및 친구, 지인분들께도 감사합니다.
#Harmful Algal Blooms (HABs)
#Adsorption
#Surface modification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