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요즘 뉴스나 신문기사에도 많이 언급되고 있는 렘수면행동장애(REM sleep behavior disorder, RBD)는 렘수면 동안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골격근의 무긴장증(atonia)이 소실되어, 잠꼬대같이 꿈의 내용과 관련된 움직임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렘수면행동장애가 최근 많은 주목을 받는 이유는 바로 파킨슨병이나 루이소체 치매와 같은 시누클레인병증(synucleinopathy)의 확실한 전구단계이기 때문인데요. 10년 이상의 장기 추적 관찰에서 80%이상의 렘수면행동장애 환자들이 파킨슨병이나 루이소체 치매로 전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모든 렘수면행동장애 환자들이 시누클레인병증으로 진행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진행한 환자들 내에서도 진행속도가 달라 어떤 환자는 1-2년 이내에 퇴행성질환으로 진행하지만 어떤 환자는 10년 이상 지난 후에나 퇴행성질환으로 진행합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진행을 정확히 예측하는 imaging biomarker를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imaging biomarker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FDG-PET 영상을 이용한 파킨슨병과 관련된 뇌대사패턴(PDRP), 렘수면행동장애와 관련된 뇌대사패턴 (RBDRP) 입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모두 cross-sectional study design으로 렘수면행동장애 환자들에서 이러한 뇌대사패턴들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제시하지는 못했습니다.
본 연구는 렘수면행동장애 환자군과 렘수면행동장애가 선행하였던 파킨슨병 환자군을 각각 정상군과 비교하여 PDRP와 RBDRP를 추출하였고 이러한 패턴들이 2년 및 4년째 추적 영상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습니다. 흥미롭게도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에서 보이는 RBDRP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breaking down 되면서 점차 PDRP로 build up 되었고 주로 premotor areas의 metabolic alteration에 의해서 매개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들은 렘수면행동장애 단계에서 이미 신경퇴행이 진행중이며, 뇌대사능도 이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사실 처음에는 결과를 해석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결과를 제대로 해석하고 설명하기 위해 연구팀 내에서의 열띤 토론이 결국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훌륭한 리뷰어들을 만나 비록 어렵지만 건설적인 커멘트들을 받을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논문이 올바르게 나아가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본 연구는 보라매병원 신경과 이지영 교수님과 핵의학과 김유경 교수님의 공동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보라매병원에서 렘수면행동질환 환자, 렘수면행동질환이 선행한 파킨슨병 환자, 정상군을 전향적으로 모집하여 코호트를 구축하였고,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구조적 영상 (brain MRI) 및 기능적 영상 (dopamine transporter [FP-CIT PET], glucose metabolism [FDG-PET])을 baseline, 2-year f/u, 4-year f/u에 촬영하여 데이터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렘수면행동장애의 병태생리 및 이미징 바이오마커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었고, 또한 현재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3.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현재 인하대병원 신경과에서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내년 3월부터 인천대학교 체육학부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파킨슨병 환자의 비운동증상에 있어 운동강도에 따른 효과차이를 보는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효과차이의 기전까지 규명하기 위해 intervention 전후로 resting-state functional MRI 촬영까지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운동연구를 준비하면서 정말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지만 오래전부터 너무 해보고 싶었던 연구주제라 즐거운 마음으로 임하고 있습니다. 연구가 계획대로 잘 진행되어 좋은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4.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이런 좋은 주제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시고 이끌어 주신 이지영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언제나 끊임없는 지도와 진심 어린 조언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워가고 있습니다. 정든 곳을 떠나 밖으로 나와보니 이런 데이터를 구축하는 게 얼마나 어렵고 불가능(?)한 일인지 새삼 깨닫게 됩니다. 또한 항상 많은 가르침을 주시고 지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제 지도교수님 전범석 교수님, 김한준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영상분석에 큰 도움을 주시는 보라매병원 핵의학과 김유경 교수님, 김희정 박사님께도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제 옆에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아내와 내년 초등학교 입학하는 귀요미 딸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꼭 전해주고 싶습니다.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