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이번 연구에서는 알려진 인간 마이크로RNA 전구체의 DROSHA 프로세싱 여부와 프로세싱 위치를 결정하여 보고하였습니다. 인간 마이크로RNA는 ~1,900종이 보고되어 있는데요, 시퀀싱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수가 해마다 늘어나긴 했지만, 이들이 정말 세포 내에서 기능하는 마이크로RNA인지 대한 재고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DROSHA 프로세싱 과정은 마이크로RNA 성숙과정의 첫 단계로서 마이크로RNA 전구체가 DROSHA 프로세싱을 거치는지, 그 프로세싱 위치가 어디인지에 대한 정보는 마이크로RNA의 기능성을 판단하는 결정적인 단서가 됩니다.
시험관 내에서 대량으로 DROSHA 프로세싱 과정을 재현한 결과, ~1,900종의 인간 마이크로RNA 중 758종만이 DROSHA 프로세싱을 성공적으로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나머지 ~1,000여 종은 DROSHA 프로세싱을 거치지 않고 성숙되거나 잘못 등록된 경우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DROSHA 프로세싱을 거치지 않는 경우 대다수 발현양이 굉장히 낮은 것을 참고하면 이들 ~1,000여 종의 기능성 여부는 미지수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758종의 프로세싱 효율, 정확도, 위치를 결정했기 때문에 단백질 보조인자에 의한 DROSHA 프로세싱 조절을 이해하는 기반이 되리라 기대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및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 김빛내리 교수님 지도 하에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마이크로RNA 뿐 아니라 전령RNA (mRNA), 바이러스 RNA 등 다양한 RNA의 기능 및 조절 기전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RNA의 기능은 R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기능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RNA 결합 단백질 (RNA-binding protein) 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를 위해 구조생물학, 생화학, 질량분석학, 계산생물학 등 다양한 방법론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좋은 실험 장비와 연구 환경이 갖추어져 있고 훌륭한 교수님, 동료들과 함께 지내며 배울 수 있는 최고의 연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3. 연구 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저는 시퀀싱 데이터 분석을 맡아서 해오고 있는데요, 큰 스케일의 데이터들을 다룰 수 있었던 점, 실험하는 동료들이 높은 기준으로 실험한 덕분에 좋은 퀄리티의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었던 점에서 감사함을 많이 느낀 것 같습니다.
시퀀싱 데이터를 생물학적으로 의미 있는 수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시도를 하며 시간이 많이 걸렸는데 그 과정에서 많이 배웠고 결과적으로 적절한 수치들을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 뿌듯하게 느껴집니다. 배우는 과정을 기다려주신 김빛내리 교수님과 김기준 박사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먼저 RNA 생물학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최근에 mRNA 백신도 큰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할 일이 많은 것 같고 재밌는 분야인 것 같아요. 또 학계 분위기도 되게 좋고요. 생물학 현상의 가장 기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아갈 수 있다는 점도 매력인 것 같습니다. 메커니즘 알아가기를 좋아하는 후배라면 재밌게 연구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제가 맡고 있는 시퀀싱 데이터 분석에 대해 말씀드리면, 단일세포 시퀀싱 등 점점 복잡하고 큰 데이터들이 만들어지고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실험과 분석을 둘 다 잘해야 된다는 부담이 많이 있는 것 같아요. 저도 아직 답을 찾아가고 있는 중이지만 가장 중요한 건 생물을 좋아하고 깊이 공부하는 게 아닐까 싶어요. 자기가 좋아하는 쪽으로 따라가다 보면 내가 가지고 있는 게 사용되는 자리가 있을 꺼라 생각합니다. 부담을 많이 느끼기 보다는 재밌게 하려는 쪽으로 생각했으면 좋겠어요.
5. 연구 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제가 몸을 쓰는 걸 좋아해서 실험을 배워보고 싶습니다. 우선은 정리할 논문도 있고 졸업도 준비해야 해서 어떨지 모르겠지만요. 졸업 후에는 해외로 포닥을 나가고 싶은데 아직 구체적인 조사나 계획은 세우지 못했네요. 최근에는 Directed evolution에 관심이 생겨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Pri-miRNA
#microRNA
#DROSHA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