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생명체는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적응하기 위해 나노단위의 도구를 개발하고 완성하였습니다. 또한 input에 대한 output으로 구조적 변화를 겪는 핵산 스위치에 의존합니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는 핵산의 변화에서부터 단백질의 구조변화 및 형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중간산물들과 결합됩니다. 이러한 구조변화는 가역적이며 특이성 및 속도가 있기 때문에 복잡한 환경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DNA nanotechnology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재구성할 수 있는 DNA device, DNA switch를 개발 및 연구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DNA molecule sensor 나 switch에 이용하기 적합하기 때문에 공부를 하며 알아가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DNA을 기반으로 하여 간단한 logic gate를 MPU 내에서 시연하였고, Neural network, neuromorphic circuits 와 같은 복잡한 계산을 할 수 있는 회로의 개발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제가 연구하고 있는 곳은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바이오전자광학 연구실이며, 송영준 교수님 지도하에 DNA computing, DNA storage, Photolithography, DEP 등 일반적인 바이오 실험실에서는 할 수 없는 재밌는 실험 주제를 가지고 연구하는 실험실입니다. 현재 우리 연구실에는 교수님을 비롯하여 연구원 1명과 대학원생 3명, 학부연구생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자의 프로젝트를 가지고 주도적으로 실험을 하며, 특이하게도 학부 때 복수전공을 하던 친구들이 많이 관심을 가져주는 랩실입니다. 물론 저처럼 아닌 친구들도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실험 결과가 나오는데 까지는 생각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저 또한 학부연구생부터 매달려온 이 논문에 시간을 할애하였습니다. 제 짧은 지식으로는 단순하다고 생각됐던 DNA 나노구조가 더더욱 복잡하게 작동하며 공부와 실험을 하면 할수록 제가 부족한 점이 여실히 드러나는 그런 시간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허나 역시 랩실 생활에서의 가장 큰 보람은 실험결과를 내면서 그에 맞는 이론과 지식을 찾아서 정리하면서 깨달음을 얻는 그 순간이 가장 뿌듯하고 즐겁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아직 저 조차도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생각되어 감히 조언을 할 수가 없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마디 붙이자면, 실험이 될 때보단 안될 때가 ‘당연히’ 많다는 생각을 가지고 좌절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 논문에서 했던 실험에서 좀 더 scale을 확장시켜 logic gate 뿐만 아니라 computing code 일종인 baudot code를 이용하여 DNA nanostructure를 이용한 실험을 할 예정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제게 기회를 주시고 계속해서 방향과 해결책을 제시해주시는 송영준 교수님께 가장 큰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더욱 더 노력하겠습니다. 실험이 잘 안되거나 모르는게 있을 때 물어보면 같이 고민해주던 정우, 도연이, 태석이형 항상 고맙고 남은 대학원생활 더 잘 지내봐요.
마지막으로 언제나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주시는 우리 가족 너무 감사하며, 다른 랩실에서 열심히 연구하고 있는 여자친구이자 랩실 선배인 채은이에게 이 자리를 빌려 감사하고 사랑한다는 말을 전합니다.
#DNA storage
#DNA computing
#Microfluidics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