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급성일산화탄소 중독은 석탄연료 사용이 감소하며 줄어드는 추세였으나 2010년 이후로 증가하여 2018년 국내에서 7,000여명이 급성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치료받고 있습니다.
급성일산화탄소중독 환자들에게 심장손상(심근효소수치가 상승하거나 심전도상 변화)이 있을시 추적관찰을 해보니 없는 환자보다 사망률이 높다는 보고가 미국에서 2000년대에 있었고 최근에는 대만에서 국가기반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일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그런데 심장 손상 관련 임상에서 실시하는 심근효소검사나 심전도 및 심장초음파는 초기 변화가 있어도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정상화됩니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여러나라에서 발표가 되었고 또한 저희도 여러 연구를 통하여 입증을 하였습니다 (Emergency medicine journal 31 (3), 210-215, Clinical Toxicology 54 (6), 481-487, 및 Clinical Toxicology 56 (1), 30-36). 보통 일산화탄소중독에서 심장손상이 뇌손상에 비하여 관심을 받지 못한 것도 초기 변화가 있어도 대부분 정상화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왜 심장손상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지 늘 궁금하였습니다. 무엇인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숨어있는 심장손상이 있다는 생각을 늘 가졌습니다. 그러던 중 읽은 영상의학 관련 간단한 이미징 논문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 명의 급성일산화탄소중독 환자에게 중독 후 심장 자기공명영상 (MRI)을 촬영하니 심근손상이 남아있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저는 그것을 보고 환자들에게 이런 소견이 많이 발생한다면 이것은 중장기적인 예후에 특히 심장관련 이벤트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우선 이런 소견이 실제 얼마나 발생하는지 또한 특정 패턴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단기적인 예후를 확인하려 하였고 그래서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심장 MRI는 굉장히 정밀한 검사이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환자와 MRI실의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되지 않습니다. 연구과정 중에 뇌손상으로 의식에 변화가 있거나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었던 환자들에게 심장 MRI를 촬영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영상의학과 특히 방사선분들의 큰 도움으로 무사히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저희 병원 영상의학과 MRI실 방사선사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저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에서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희 교실은 크게 3가지 divisio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 저는 “Division of Clinical Toxicology and Hyperbaric medicine”에서 일하고 있고 또한 국내 유일의 연세대학교 산하 “고압의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of Hyperbaric Medicine and Science)”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저희 파트는 김현교수님, 이윤석교수님과 함께 열심히 일하고 있고 많은 임상중독 물질 중 일산화탄소중독에 관한 연구를 가장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그 중 저는 뇌와 심장독성에 대한 부분에 가장 많은 관심이 있습니다. 또한 일산화탄소중독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인 고압산소치료의 기전연구 및 새로운 프로토콜 개발에 힘쓰고 있고 임상연구 및 동물실험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급성일산화탄소중독 환자들에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른 임상과 선생님들과도 함께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이 번 연구의 공동1저자이신 심장내과 조동혁교수님, 영상의학과 고성민교수님도 늘 함께 환자들에 대하여 고민해주시던 고마운신 분들입니다. 이 분들 이외에도 재활의학과 용상열교수님, 정신건강의학과 김민혁교수님들은 환자의 진료에 너무도 큰 도움을 주시는 분들입니다. 현재도 많은 새로운 관련연구들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비록 많은 관심을 받는 분야는 아니지만 꾸준히 관련 연구들을 실시하면서 이 번 성과를 거둘 수 있어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앞으로 이 분야에서 밝혀나가야 할 것들이 많고 그러기 위해서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이 번 연구를 통하여 급성일산화탄소중독에서 실제 심장근육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고 그 패턴이 단순 저산소에 의한 것과 다르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결과였고 이는 일산화탄소가 심근을 공격하는 주 병태생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어서 나름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일산화탄소 중독은 꾸준히 환자가 존재하는 중독질환이지만 아직까지 관심을 갖고 꾸준히 연구하는 분들이 많지는 않습니다. 국내에도 함께 좀 더 깊은 연구를 할 수 있는 분들이 많아져서 우리나라를 통해 더욱 많은 의학적 진보가 이루어지길 기대합니다. 또한 저도 2023년에는 미국으로 이 분야 관련 연수를 계획하는 데 다른 많은 분들도 좋은 연구자들에게 많은 것들을 배워서 추후 한국에서 많은 것들을 이루어 나가면 좋겠습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번 연구에서는 환자들에게 1년 추적관찰을 실시했으나 좀 더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통해 심장 MRI 상 손상유무에 따라 환자의 예후에 차이가 나는 지를 알아보려 합니다. 이는 매우 큰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동물실험연구들을 함께 실시하여 심근손상의 원인기전을 분석하여 이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들을 연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입니다. 또한 일산화탄소 중독의 중요한 분야인 신경학적 병태생리에 대한 실험 및 임상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새로운 치료의 개발에 힘쓰려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제가 이 자리까지 올 수 있게 이끌어주신 저희 응급의학교실에 김현, 황성오, 이강현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또한 제 밑에서 늘 잔소리 많이 들으며 열심히 일해주는 이윤석교수 또 우리 연구소에서 열심히 동물실험하며 일해주시는 이지용선생님, 그리고 오주희, 김진재 연구간호사를 비롯한 모든 구성원들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열심히 일산화탄소중독 환자들을 함께 진료해주는 우리 응급의학과 전공의들 및 힘든 여건에서도 환자들에게 고압산소치료를 열심히 실시하고 있는 우리 병원의 고압산소치료센터 식구들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에게 굉장히 많은 가르침을 주시고 학문적으로 격려해 주시는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에 계시는 Dr. Thom 교수님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아래 사진은 제(교신저자: 차용성, 1열 가장 우측 흰까운)가 일하고 있는 저희 파트교수님(1열 좌측부터 이윤석교수, 김현교수, 차용성 교수) 및 연구소 그리고 고압산소치료센터 식구들과 같이 찍은 사진입니다>
#Carbon monoxide
#Heart
#Complication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