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COVID-19)는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호흡기 감염병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기도와 폐에 염증반응들이 일어나게 되고 그 증세가 심해지면 사이토카인폭풍같은 과잉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염증반응 신호인 NF-κB- 및 SREBP2 활성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25-hydroxycholesterol (25HC)를 폐 조직 타켓 물질인 Didodecyldimethylammonium bromide (DDAB)과 함께 나노 소포체를 형성하였고 물질이 환자의 PBMC에서 염증을 줄일 수 있음을 밝혀 중증 코로나환자의 증상 치료의 가능성을 입증하였습니다.
에피소드 : 코로나 관련 연구를 20년 3월경부터 시작하였는데 지금은 많은 논문들이 나왔지만 연구계획단계에서는 여러 분야의 논문들이 나오지 않은 상황 이였습니다. 정확하고 실수없이 세밀한 실험 계획과 더불어 실패 없는 실험들을 했어야 하는데 in vivo 실험이 생각처럼 진행되지 못하여 연구실 학생들과 함께 밤새워 실험했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또 리비전 기간이 채 한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데이터를 마무리하고 정리하면서 굉장히 초조했던 기억이 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석사과정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던 충남대학교 약학대학은 충남권 약학분야의 거점 교육 및 연구기관으로서 우수한 연구 성과들을 발표하고 있으며 저희 연구실은 이재영교수님소속의 제제설계학연구실로 기존 약물, 신약 후보 물질의 제형 설계, 제조 및 평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코로나 연구를 하며 내가 하는 실험과 노력들이 현재 치료제가 없는 이 상황에서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으며 그 자체로 보람차고 뿌듯합니다.
4.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특별한 누군가가 아니여도 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성실하게 연구에 임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아직 학위과정 중이라 시작하는 후배들에게는 몸과 마음이 힘들고 매번 겪는 실패와 반복속에서도 실험이 싫지 않다면 끝까지 도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연구소에 있으며 Organ-on-a-chip을 이용한 연구들을 진행 중입니다. 두개 이상의 cell line을 하나의 환경에서 co-culture 하는 chip 에서 다양한 염증반응 및 질환들을 연구할 예정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이번 연구를 이끄시고 많은 지원과 도움을 주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이원화박사님 감사드립니다. 학교에 계신 이재영교수님, 송규용교수님 언제나 최선을 다해서 학생들(저희들)에게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원대 박희호교수님 논문지도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희 연구소에 계신 김홍남박사님 앞으로 잘부탁 드립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함께 연구했던 학생분들 같이 고생했던게 벌써 추억이 되었네요. 그리고 공동1저자인 한솔샘 고맙고 얼른 다시 만나요. 친구들아 매번 논문 나왔다고 할 때마다 진심으로 축하해줘서 고마워. 부모님, 가족들 응원해주고 자랑스럽게 생각해줘서 사랑하고 고맙습니다.
#COVID-19
#Sepsis
#Nanotherapeutics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