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Glia (astrocyte와 microglia)는 건강한 뇌조직에서는 뇌신경세포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생존 등을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손상 및 병리적 상황에서는 오히려 각종 pro-inflammatory cytokine을 분비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증 오히려 유해한 세포로 활성화된다 (M1 활성화) 한편으로 glia는 neurotrophic factor를 분비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도 활성화 (M2 활성화)될 수 있음이 보고되어 M1 Glia를 M2 Glia로 전환시켜 병변뇌조직 환경을 개선하게 하는 전략이 차세대 신경질환 치료의 새로운 파라다임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파킨슨병 모델에서 Glia (astrocyte와 microglia)에서의 SGK1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반응을 유도하였고 이에 따른 다양한 효과를 통하여 Glia를 유해한 세포(M1 활성화) 에서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의(M2 활성화) 전환과 α-synuclein단백응집체의 제거를 통하여 뇌조직 환경 개선을 유도한 파킨슨병에서의 치료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학문적인 연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특허와 상업화를 통해 실제 임상치료에 적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고 실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연구과정 중에 기억에 남는 것은 AAV바이러스를 제작하여 α-synuclein파킨슨병 모델에서 SGK1을 억제하고 처음으로 IHC로 관찰하였는데 현저하게 α-synuclein응집체가 제거된 결과를 보고 연구원들과 함께 매우 기뻐했던 기억이 인상깊게 남아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이번 연구는 한양대학교 의생명연구원 줄기세포 및 조직재생연구단에서 이상훈 교수님의 지도아래 진행하였습니다. 제가 소속되었던 실험실은 이상훈 교수님을 중심으로 오랜 기간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의 연구를 진행해왔고 임상치료의 적용을 목적으로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파킨슨병의 치료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 대한 큰 강점으로는 이상훈 지도교수님의 연구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과 아낌없는 연구비 지원을 통해서 연구하는 동안 큰 어려움없이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었고 연구자로서 지도교수님과 활발한 토론을 하며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수평적인 연구 환경으로써 이를 통해서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를 하며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연구자로서의 자격에 대한 질문을 던졌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나이를 먹을수록 평범하지는 않는 직종에 대한 불안정함이 부담스럽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불안정함을 특별함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했고 연구를 진행하며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기쁨과 그를 통한 느껴지는 보람은 어떤 다른 일과도 바꿀 수 없는 자부심과 보람을 선사합니다. 특히 연구결과들이 논문으로 마무리 되고 또한 이 결과가 질병의 치료에 직접적으로 적용 되는 과정을 통해서 더욱 큰 자부심과 보람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연구실에 들어오기 전에 뇌질환치료 연구에 대한 열정과 갈망이 있었지만 스스로 자격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쉽게 결정하지 못했었습니다. 하지만 좋은 연구실에서 지도교수님의 열정적인 지도와 좋은 환경을 통해 조금씩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좋은 연구결과도 도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저처럼 연구에 대한 열정과 갈망이 있지만 다른 여러가지 이유를 통한 망설임과 두려움들 때문에 주저하시고 계신 분이 있다면 너무 고민하지 마시고 일단 연구실에 들어가서 최선을 다해 연구를 진행 해보셨으면 합니다. 비록 연구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 때도 많지만 열정으로 최선을 다한다면 어떤 다른 곳에서도 얻을 수 없는 큰 보람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고 이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저는 현재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에서 박사후과정으로 임용되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주제로는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에서의 pathologic한 상태에서(α-synuclein, Amyloid-β등)활성화 된 Microglia가 astrocyte를 유해한 astrocyte(A1 type) 변환을 유도하고 이렇게 유도된 astrocyte(A1 type)의 신경세포의 사멸과의 관계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이러한 유해한 astrocyte(A1)의 차단을 통해 파킨슨,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많은 뇌신경퇴행성질환을 치료하는 치료법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람배아/역분화줄기세포(hESC/iPSC)로부터 유래된 신경줄기세포 및 성상교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특정 유전자의 억제를 통해서 파킨슨병에서의 세포이식 및 환경개선을 통한 파킨슨병 치료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이 잘 진행되어 좋은 결과로 도출되어 다시 한빛사에 소개 되고 더 나아가 뇌신경퇴행성 질환들의 치료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다면 매우 기쁠 것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모든 연구과정 가운데 함께하시고 인도해주신 하나님께 감사 드립니다. 연구를 진행하며 여러가지로 부족한 저를 지도해주시고 연구자로 존중해 주셔서 연구에 대한 보람과 기쁨을 알려주신 이상훈 지도교수님께 큰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함께 연구하며 울고 웃으며 실험을 진행했던 오찬이, 마무리까지 최선을 다해준 윤선이, 그리고 세심한 지도로 이끌어주신 장미윤 박사님, 실험실 생활 내내 항상 삶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으시고 힘과 용기를 주신 지윤동 선생님 그리고 한양대학교 이상훈 교수님 실험실의 랩 식구들 모두에게 큰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저를 사랑해주시고 기도해 주시며 지지해주시는 사랑하는 부모님, 미국에서 어려운 시기에 잘 정착하도록 도와주고 항상 응원해주시는 누나와 매형, 항상 저희 가족을 사랑하고 기도해주시는 장모님, 응원과 사랑을 아끼지 않는 처제, 동서. 사랑하는 가족들의 변함없는 사랑과 응원에 큰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이러한 인터뷰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응원과 격려를 주시는 한빛사에게도 감사드리고 마지막으로 제가 가장 사랑하는 아내인 정화에게 나와 항상 함께해줘서 고맙고 항상 사랑과 믿음과 응원을 줘서 감사하고 딸 하영이와 함께 많이 많이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serum/glucocorticoid related kinase 1(SGK1)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교세포(Glia)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