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T-ALL)는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걸릴 수 있는 혈액암입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치료법으로 완치도 가능하지만 재발이 발생할 경우 확실한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재발된 암을 single-cell RNA-seq으로 조사하여 mechanism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제안하고자 이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하버드의대 교수님이시자 제 co-mentor였던 Dr. Aster가 T-ALL 환자를 대상으로 clinical trial를 진행 중에 있었는데 이는 NOTCH1을 targeting하는 약을 사용하였으며 저희 연구를 위해 환자 샘플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의 획기적인 발견은 싱글셀들을 일일이 살펴 본 결과 2개의 stem-like state의 성격을 띤 새로운 그룹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한 그룹은 특히 cell-cycle이 다른 cancer cell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면서 PI3K signaling에 의존하는 성격을 띄었고, 다른 그룹은 특이적인 oncogenic signaling을 갖춤을 보였습니다. 특히 2개의 그룹에서 다른 셀들에 비해 더욱 mature된 leukemia 상태를 나타내며 T cell exhaustion과 연관성이 큰 LGALS9 유전자가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습니다. 따라서 combination therapy로 이런 다양한 oncogenic states와 immune ecosystem을 targeting 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위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싱글셀 경험이 전무하였던 저와 저희 랩에서 실험 방법과 분석 방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쏟았습니다. 결국 RNA의 full-length을 확인 할 수 있는 Smart-Seq2 방법으로 진행을 하여 하나하나 cell들을 FACS로 sorting 하고 각각의 cell들을 처리하며 정말 많은 시간과 노동이 소요되었습니다. 프로젝트가 잘 마무리 되려고 하던 중, 제가 미국 박사 과정 때 받았던 풀브라이트 장학금의 조건인 조국에 돌아가 최소 2년 있어야지 다시 비자나 영주권 신청 자격이 주어져서 어쩔 수 없이 논문이 나오기 전에 미국을 떠나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랩 동료들과 제 지도교수님인 Dr. Knoechel의 도움으로 일을 잘 마무리할 수 있게 되었고 논문 발표도 성공적으로 되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제가 속했던 연구소는 Dana-Farber Cancer Institute로 하버드의대 소속 암센터 입니다. 이 기관은 주로 소아암 연구 및 치료에 앞장서고 있으며 항상 미국 내에서 최고의 연구 환경 및 실적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변에 하버드나 MIT 소속인 정말 많고 다양한 연구자들이 있어 어떠한 연구를 진행하든 collaboration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분야 전문가들에게 피드백을 손쉽게 받을 수 있었습니다. Broad institute에도 소속되어 있어서 연구 논의나 발표 등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다른 연구 프로젝트의 데이터와도 비교를 해보며 분석을 진행 할 수 있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예전부터 재발된 암 치료에 관심이 많았고 특히 소아암 치료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해보고 싶었는데 이를 맡아서 할 수 있어서 뿌듯했었습니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의 많은 연구자들의 발표와 의견들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져서 굉장히 많은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자기 꿈과 목표가 있다면 시간이 얼마나 걸려도 결국 이뤄낼 수 있으니 포기하지 마시고 즐기세요!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앞으로도 재발되는 암의 특이성 및 새로운 치료 방법에 대해서 연구를 해보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제가 앞으로 발견할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하루 빨리 소아암으로 고통 받는 아이들이 줄어들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관련 링크
연구자 ID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