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EGFR 유전자 돌연변이는 가장 흔한 비소세포폐암의 돌연변이지만, 그 중 10%에서는 드문 EGFR 변이가 존재합니다. 드문 EGFR 변이들은 Exon 18-21내의 매우 이질적인 그룹으로, 흔한 EGFR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에서 사용하는 표적치료제에 대한 치료 성적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Osimertinib은 3세대 EGFR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로써,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에서 우수한 치료효과가 입증되었으나, 드문 EGFR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습니다.
본 연구는 드문 EGFR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Osimertinib의 효과와 안전성을 본 2상 임상연구 입니다. 연구는 2016년 3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국내 다기관에서 모집된 드문 EGFR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20.6개월을 관찰한 결과, 최종 분석에 포함된 36명의 환자에서 전체 객관적 반응율이 50%에 해당하였고, 질병 조절률은 89%, 무진행생존기간은 8.2개월 이었습니다. 반응 지속기간은 11.2개월 이었고, 28명 (78%)의 환자에서 종양 감소가 일어났습니다. 흥미롭게도, 드문 EGFR 변이 중 Exon 21의 L861Q 돌연변이에서는 전체 객관적 반응율이 78%, 무진행생존기간이 15.2 개월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고, 또한, 9명의 뇌전이가 있었던 환자 중 평가 가능한 5명에서 두개내 전체반응율이 40%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드문 EGFR 변이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연구 결과로 생각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본 연구는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의 안명주 교수님을 Principle investigator로 진행되었으며, 그 외 국내 여러 기관의 혈액종양내과 교수님들께서 참여하신 연구입니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는 새로운 암 치료의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임상시험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신약개발에 필요한 초기 임상들부터 대규모 3상 시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안명주 교수님 실험실은 폐암 및 두경부암에 있어 기초 및 임상연구 모두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여러 훌륭한 업적들이 계속 나오고 있는 곳입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본 연구는 연구자 주도 임상 (investigator-initiated trial) 으로써, 연구의 아이디어, 설계 및 결과 분석까지 모두 국내 연구자의 힘으로 이루어 냈습니다.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안명주 교수님을 비롯하여 모든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열정과 노력이 있었고, 결국 좋은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폐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부심과 보람을 느낍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종양내과 의사로서 환자 진료를 병행하며 혼자 힘으로 연구를 수행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연구의 시작부터 끝까지 여러 연구자 동료, 선후배 및 연구 간호사들과 끊임없이 대화하고 격려하며 다같이 노력해야 하고, 늘 변화하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지속적인 공부도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폐암 치료 중 특히 표적치료제에 대한 연구 및 내성 기전 등의 공부에 관심이 많아, 이에 대한 신약 개발에 더욱 정진하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연구에 참여해주신 모든 환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연구를 이끌어주신 안명주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리며, 같이 노력해주신 공동 연구자분들께도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인생의 전부라고 할 수 있는 제 부인 조인혜 선생과 이제 18개월 된 귀여운 쌍둥이, 아들 한율이, 딸 혜아에게도 사랑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