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으로 막힌 혈관을 재관류 시키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최선의 치료법은 풍선확장술 및 스탠트 삽입과 같은 외과적 시술이지만 시술 후 약 1년 이내에 50% 정도의 환자에서 vascular remodeling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Vascular remodeling 은 vessel injury 후 다양한 요소들 (growth factors, extracellular matrix 및 cytokines)에 의해 혈관 재협착이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remodeling 과정은 vascular smooth muscles cells (VSMCs)의 proliferation, migration 그리고 apoptosis에 의해 혈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이 중 VSMCs이 vessel injury에 반응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neointima hyperplasia를 형성하면서 vascular remodeling을 유발하게 됩니다. 최근 20년동안 혈관 손상 후 일어나는 vascular remodeling의 molecular mechanism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도 VSMCs의 증폭을 막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저희 연구실은 focal adhesion kinase (FAK) 단백질 활성에 의한 VSMCs의 phenotypic switching과 differentiation 조절 과정에 연관된 분자기전을 이해하려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최근 저희가 발표된 논문을 간략히 설명 드리자면, C57BL/6 마우스에 vessel injury를 유도한 후 FAK inhibitor를 투여하거나 또는 SMC-specific FAK의 kinase activity가 존재하지 않는 마우스에서 neointima hyperplasia가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규명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활성이 저해된 FAK이 핵으로 이동하여 cyclin D1의 전사를 조절하는 단백질인 GATA4의 proteasome degradation을 유도함으로써 VSMCs의 proliferation과 migration을 억제함을 증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FAK의 활성 조절을 표적으로 하는 것이 vascular remodeling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질환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저희 연구실은 미국 South Alabama 대학교의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https://www.southalabama.edu/colleges/com/departments/biochemistry/lim-lab.html). 저희 College of Medicine은 소속된 연구자들과의 공동연구가 매우 활발하며 NIH 지정 연구센터인 Lung Biology Center가 이곳 연구 분야들 중에 가장 크고 유명한 곳이기도 합니다. College of Medicine 소속인 Mitchell Cancer Institute에서는 기초 암 연구와 더불어 임상시험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구 규모 또는 인원이 비교적 소규모이지만 매주 관심 분야별 모임을 통해 많은 연구진들이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여 다양한 생명 과학 연구분야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모든 연구들이 거의 비슷하지만 이번 연구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갔습니다. 실제 이 프로젝트는 2012년도에 시작이 되었고 많은 분들과의 다양한 토론을 통해 저희가 세운 가설을 명확하게 증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고민을 많이 함으로써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이번 논문의 발표를 통해서 미약하지만 질병 치료와 극복에 기여할 수 있어서 보람을 느낍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제 경험에 비추어 말씀 드리자면, 연구의 가설의 설정에서 실험으로 증명하기까지 많은 시행착오와 몇 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 과정 중에 실험이 잘 안되어서 슬럼프에 빠지거나 지치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때 일수록 혼자 고민하시지 마시고 주위 동료들과 혹은 교수님들과 대화하고 토론하면 분명 한단계 더 성장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FAK의 활성화에 의해 조절되는 후보 단백질의 변화에 따른 VSMCs의 phenotypic switching 조절과 동맥경화 발병과의 연관성과 치료 방법에 관하여 연구 중에 있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많은 분들의 도움이 없었으면 이 논문이 완성되기 힘들었을 거 같습니다. 먼저 항상 옆에서 저의 멘토가 되어주시고 연구 방향을 제시해 주시는 임쌍택 교수님과 안은영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공동 1 저자이며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김정현 박사님과 Dr. James M. Murphy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저희 실험실에 일년간 방문 교수님으로 와 계시고 격려와 조언을 아낌없이 해주시는 김준섭 교수님께도 감사합니다. 열심히 실험을 도와주는 우리 실험실 막내 대학원생Yelitza A.R. Rodriguez에게도 감사합니다.박사과정동안 절 지도해 주신 경상대학교 박윤배 교수님과 제가 미국으로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신 박상원 교수님과 김현준 교수님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고향에서 저를 위해 걱정해 주시는 부모님과 장인어른, 장모님께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힘들게 아들 돌보면서 제가 연구에 전념할 수 있게 해주는 아내 제지현 박사에게 고맙고 사랑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앞으로 더 나은 연구자가 되도록 더욱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