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우리 몸의 세포 면역기능은 T 세포 수용체의 항원인지와 함께 동시자극신호 및 동시억제신호 조절을 통해 전체적인 T 세포의 기능이 조절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절 기전을 면역 관문 (immune checkpoint)이라고 합니다. 면역 관문은 과도한 자가 면역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존재하지만, 암세포는 면역 체계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면역 관문을 이용하여 종양 미세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면역 회피 (immune escape)를 유도합니다. 2010년 이후 항PD-1 그리고 항CTLA-4와 같은 다양한 면역 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들이 개발되어 기존의 항암 치료 또는 표적 치료에 저항을 보였던 환자에서도 효과를 보였지만, 치료 반응이 없는 환자에서 치료 초기에 암이 진행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팀은 비염증성 종양을 염증성 종양으로 전환하고, 면역 관문 억제제에 의해 활성화된 면역 세포를 면역억제 미세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항암 바이러스를 이용한 종양 미세환경 조절을 통해 종양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고, 면역 관문 억제제와의 병용 치료로 면역 항암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항암 바이러스가 면역 관문 억제제의 병용 파트너로써 면역 항암 치료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김찬 교수님과 전홍재 교수님께서 공동 책임자로 계시는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의 중개 종양면역 연구실 (Laboratory of Translational Immuno-Oncology)은 종양 미세환경을 연구하여 보다 효과적인 차세대 면역항암치료제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 세포들의 구조적o기능적 특성 규명, 종양 혈관신생 및 림프관신생 조절 기전 연구, 유전자 조작 동물의 표현형 연구를 통해 종양 미세환경 내 새로운 표적 발굴 및 역할 규명, 종양 미세환경 리모델링을 통한 차세대 면역항암치료법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 연구실은 다양한 면역치료 암 모형과 종양 미세환경 분석 및 시각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다른 연구자들과 차별성을 가지고 면역 항암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를 수행하면서 임상 의사들과 기초 연구자들 사이의 토론과 협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기초과학의 연구 결과를 임상 연구로 연결하기 위한 중개 연구 (translational research)는 짧지 않은 연구 기간과 임상 적용의 어려움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임상 의사들과 기초 연구자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하고 서로 토론하여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결과를 이루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교수님들과 연구원들이 많은 시간 토론하고 적극적으로 협력해 주신 덕분에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가 기존 면역 치료에 내성을 보이는 암환자들에게 새로운 면역항암치료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기에 앞으로도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들을 계속해서 해나가고 싶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연구를 하고 싶은 동기와 어떠한 연구를 하고 싶은지에 대해 충분히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연구를 하다 보면 연구 진행이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거나 벽에 부딪히는 상황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연구를 시작하게 되는 동기는 본인이 직면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참고 버티는 힘이 되어주고, 이를 통해 얻게 되는 결과물들은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추진력을 더해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본인이 원하는 연구에 대해 뚜렷한 목표를 설정하고 나아간다면, 앞을 알 수 없는 긴 터널 같은 연구 생활에 있어서 만족할만한 결과로 보답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번 연구 결과에서 항암 바이러스를 통해 종양 미세환경을 리모델링하고 종양 내 활성화된 T 세포를 증가시킴으로써, 면역 관문 억제제의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기전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한 기존 면역 치료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양한 암종에서 새로운 면역 항암 파트너와 함께 그에 맞는 합리적인 치료법을 연구하고자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그 동안 도움을 주셨던 많은 분들께 이번 한빛사 인터뷰를 통해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이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과 도움을 주신 김찬 교수님과 전홍재 교수님께 먼저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연구기간 동안 힘든 시간을 함께 해준 중개 종양면역 연구실의 양한나 박사님과 공소정, 이나금 연구원, 그리고 이유성, 이승준 학생에게도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끝으로 항상 저를 지지하고 응원해주신 친가와 처가 식구들, 무엇보다 사랑하는 아내 솔이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관련 링크
연구자 키워드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