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현재 말기 간 질환 환자의 치료방법으로는 간 이식만이 유일한 방법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설치류 및 인간 일차 간 세포 이식이 임상 시험에서 간 이식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일차 간세포 이식은 간 기능의 단기적인 교정, 기증자 조직의 부족, 생체 내 이식의 낮은 효율 등과 관련된 수많은 문제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있습니다.
따라서 간 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 기반 치료제의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s, ESCs),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간엽줄기세포 (Mesenchymal stem cells, MSCs), 간 전구세포 (Hepatic progenitor cells)을 연구하였습니다.
최근 일본의 한 그룹에서 3가지 저분자물질(small molecule)의 조합을 통해 Rat과 Mouse의 일차 간세포로부터 bi-potent hepatic progenitor cells로의 reprogramming에 성공하였다는 보고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본 그룹의 방법은 인간 간세포에는 적용되지 않음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저희 실험실에서는 이번 연구에서 small molecules과 growth factor의 조합을 통해 간 세포와 담도 세포(biliary epithelial cells)로 분화가 가능하며 염색체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배양이 가능한 인간 간 줄기/전구세포로의 reprogramming을 보고하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저희 실험실은 인간 간 세포로부터 간 전구세포로의 성공적인 배양 시스템을 확립하였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통하여 개인맞춤치료 전략에도 적용 가능한 세포임을 시사하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본 연구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HY Indang Center of Regenerative Medicine and Stem Cell Research의 센터장이신 최동호 교수님의 지도아래 수행되었습니다. 본 연구실은 최동호 교수님 지도하에 세포치료를 위한 기능성 세포를 만들기위해 여러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저분자 유래 간 전구세포를 통해 세포치료제로서의 연구와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3D bio-printing을 통하여 인공 간 연구도 함께 진행중입니다.
본 연구실은 또한 HY Indang Center of Regenerative Medicine and Stem Cell Research (
https://hyindang.olly.kr/)을 설립하였으며, 연간 개최하는 symposium을 통해 여러 연구자와 교류하며 활발한 연구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연구활동을 하면서 가장 많이 느끼는 자부심은 아직 세상에 공개되지 않은 무언가를 처음 발견하고 그 발견의 의미를 제일 먼저 알 수 있다는 것이 가장 보람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하는 모든 실험들이 항상 좋은 결과 혹은 생각한 이론으로 흘러가지 않지만 그것 또한 하나씩 알아가는 과정이기에 조금씩 전진할 때마다 많은 동기부여와 감사함을 느낍니다.
아직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야 하지만 이 연구를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목표로 하는 궁극적인 질병 치료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많은 자부심을 느끼고 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아직 저도 많은 배움을 받아야하는 학생의 위치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언을 하기엔 많이 부족하지만, 짧지만 학위과정을 하면서 느낀 점은 학사를 취득한 뒤 석사 그리고 박사과정에 이르게 되면 누군가가 가르쳐 주기를 마냥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여러 논문과 연구 동향들을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가져야 하며 그것을 토대로 지도교수님과의 논의를 통해 스스로 공부한 것을 발전해야 함을 느꼈습니다. 또한 스스로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타 연구자와 논의를 통해 자기 생각에만 갇혀 있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그 점을 잊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본 연구에서 확립한 인간 간 줄기세포를 통해 Crispr 등과 함께 융합하여 유전성 난치질환들의 세포치료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계획이며, 나아가 Disease modeling 등에도 활용할 계획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아직 나아가고 배워야할 것이 많은 저에게 이러한 기회가 찾아왔다는 것이 너무 감사하고 앞으로 더욱 노력해야겠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대학원 학위과정을 시작하면서 부족한 면이 많았던 저에게 하나하나 세밀한 부분까지 지도해주시고 공부와 연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일깨워 주신 최동호 교수님께 먼저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하고 싶고, 실험실 내적인 면에서 항상 조율해주시고 아낌없는 조언을 해주신 정재민 교수님, 옆에서 항상 많은 논의와 생각을 공유하는 교진이형, 힘든 일을 먼저 맡아서 해주는 상태, 실험실에서 많은 도움을 주는 임지혜 박사님, Elina, 창희, 본 연구에 큰 도움을 주신 이승범 박사님, 서대관 박사님께 감사하다는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같은 연구자의 신분에서 힘들 때 서로 격려와 응원을 해준 도경이와 석용이에게도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항상 부족한 저를 위해 새벽마다 기도로 응원해주시는 부모님께도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2018년 10월부터 한 평생을 함께하기로 약속한 아내 이영림에게도 항상 끊임없는 응원과 헌신에 감사하고 사랑한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다음에도 한빛사에 올라갈 논문을 기대하며 항상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