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간섬유화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간내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세포외 기질의 과도한 침착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세포외 기질의 과도한 침착은 간내 구조 변형 및 간실질 세포의 감소로 간경변증으로 진행되어 간기능 부전에 이르게 합니다. 간섬유화의 발병 및 진행에는 다양한 세포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특히 간성상세포가 활성화 과정을 통하여 collagen, fibronectin 등의 세포외 기질을 생성하여 간섬유화의 주요 원인 세포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간성상세포에서 섬유화를 유발시키는 원인 분자 및 그 분자적 기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합니다.
특정 G 단백과의 결합을 통해 활성화되는 G 단백 결합 수용체 (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를 통한 신호 전달은 Gα 단백질의 활성에 의해 하위 신호와 세포 생리가 변화합니다. 따라서 Gα 단백질 발현의 증감은 세포 기능의 증폭 또는 경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Gα단백질 소단위체 중 가장 강력한 형질전환능을 가진 Gα12는 세포의 증식, 이동에 관여하여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간 생리 분야에서는 Gα12와 결합하는 GPCR 뿐만 아니라 이들 리간드들이 간성상세포의 활성화 및 간섬유화 환경에서 증가되어 있으므로, 간성상세포 내 Gα12 발현은 GPCR 관련 신호를 증폭 또는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간성상세포에서 Gα12의 발현과 기능 및 발현 조절 기전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즉, 본 연구에서는 간성상세포에서 Gα12의 발현 증가가 GPCR 관련 신호를 증폭시킴으로써 간섬유화 진행을 촉진하고, 이 과정에 간성상세포 특이적인 자가포식 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본 연구를 저널에 투고하여 게재되기까지 1년 가량이 걸렸습니다. 투고 후 받은 첫 번째 리비전이 너무 혹독하게 온 상태에 임신과 출산이 겹쳐진 터라 리비전을 해낼 수 있을지 여부도 불투명하여 모든 것을 포기하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가족, 동료를 비롯한 여러 분들께서 리비전을 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불어 넣어주시고 리비전 기간 동안 많은 지지를 해 주신 덕에 끝까지 마무리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분자약물학 연구실에서는 현재 9명의 대학원생이 김상건 교수님의 지도하에 열심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지방간, 간염, 간섬유화, 간암 등의 다양한 간질환의 병리학적 기전을 규명하여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골격근, 지방조직을 포함한 전신 에너지대사 항상성 유지에 관한 연구 또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곳에서는 이번 논문에서 주목한 Gα12/13 뿐만 아니라 non-coding RNA, 각종 전사인자 등 다양한 표적과 기전에 관심을 갖고 대사성질환 및 간질환을 포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 활동을 하면서 내가 세운 가설대로 실험 결과가 나와 주었을 때의 만족감과 보람은 수십번의 실패를 반복한 지난 날들을 잊게 합니다. 그렇게 노력하여 얻은 작은 발견들이 모여 새로운 하나의 가설을 완성하였습니다. 내가 완성한 가설이 인류의 생명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하나의 지식이 되었다는 데 보람을 느낍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대학원 생활은 오랜 인고의 과정입니다. 긴 시간동안 자신을 믿고 꾸준한 공부와 노력으로 힘든 시간들을 이겨내야 합니다. 또한 이 힘든 시기를 잘 다독여 줄 수 있는 동료들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내가 힘들 때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기를 뿐 아니라 동료가 힘들어 할 때 한 실험실 안에서 서로 다독여가며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그렇게 서로 동료들과 믿고 의지하며 대학원 생활을 해나간다면 대학원 생활의 무게를 조금이나마 덜어가며 할 수 있을 것입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번 학기에 졸업을 앞두고 있으며 졸업 이후 한동안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들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이 후 현재까지 진행한 간섬유화 이외의 다른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보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결혼, 임신, 출산, 육아를 병행하면서 이 논문을 완성하기는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이논문을 잘 마칠 수 있도록 많은 배려를 해 주신 김상건 교수님께 감사인사 올립니다. 또한, 결혼 이후의 연구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 도와주신 기성환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저의 실험실 멘토인 한창엽 교수님, 김태현 박사님, 허미정 박사님께도 감사말씀드립니다. 연구에 큰 도움을 주셨던 강건욱 교수님, 이금화 교수님, 조일제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또한 이 논문을 완성하기까지 많은 눈물과 좌절을 잘 이겨낼 수 있도록 가장 가까운 곳에서 힘을 주신 제 양가 가족들과 친구들께도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