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 및 연구 활동에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
Forward genetic screens (mouse ENU mutagenesis): 논문에서 제가 연구한 humdy mutant mouse는 mouse ENU screen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제가 아는 한 Dr. Kathryn Anderson Lab (Sloan-Kettering)에서 embryonic development을 연구하기 위한 mouse forward genetic screen을 최초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운이 좋게 저희 Lab에서 공동 연구를 시작하여 screen 전반부터 직접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는 하였지만 screen 전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mouse strain의 DNA polymorphism를 이용한 genetic mapping 과정을 통해 gene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Phactr4's function during neurulation: 저는 Central Nervous System (CNS)의 기초를 만드는 morphogenesis을 뜻하는 neurulation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것은 과연 인간이 어떻게 그 자신의 brain이 만들어지는 과정의 질문을 풀 수 있을 능력의 brain 가지고 있느냐 하는 매우 흥미 있는 과제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ENU screen에서 얻은 수많은 mouse mutant들 중에서 neurulation defects을 가진 한 mutant (humdy mutant)를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Neurulation 기간 동안 neural tube의 Dorsal/Ventral axis에 따라 differentially regulated proliferation이 관찰되었으나 그 중요성이나 유전적 증거가 보고되지 않았었습니다. 제가 Phactr4 gene을 cloning 함으로써 differentially regulated proliferation이 neurulation 과정에 중요하다는 것을 처음 보고하게 되었습니다. Phactr4의 조절기작으로 humdy mutant의 Phactr4 gene에서 ENU에 의해 induced되고, protein phosphatase 1 (PP1) interaction을 disrupt하는 missense mutation를 발견하였고, PP1 downstream target, Rb가 misregulation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더 나아가 MD fellow, Jessica Goodmand에 의해 Rb downstream, E2F genetic rescue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이 differentially regulated proliferation이 직접적으로 neurulation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떻게 Phactr4와 PP1이 Rb phosphorylation regulation에 관여하는지, 과연 Phactr4가 암발생 과정에서 PP1, Rb와 함께 tumor suppressor 역할을 하는지 등 흥미 있는 질문들이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Cornell Medical College는 북동쪽 맨하탄에 위치하여 대학원 과정을 Sloan-Kettering Institute와 함께 공유하고 있습니다. 바로 길 건너 Rockefeller University와 함께 Tri-Institutional Area를 형성, 수준 높은 세미나를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수업도 공유하며, 예를 들어 제가 들었던 Tri-Institutional Developmental Biology 수업은 매 강의시간마다 외부에서 그 분야에 가장 뛰어난 업적을 세운 과학자들을 직접 초청, 많이 배울 수 있는 수업이었던 것 같습니다.
제 지도교수 Dr. Lee Niswander는 Limb Development 분야에 큰 공헌을 세운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Investigator이고 얼마 전 Lab을 Sloan-Kettering Institute에서 University of Colorado Health Science Center로 이전하였으며 최근 들어 neural tube development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어떤 성과나 대가를 기대하기 보다는 연구하는 그 과정을 즐길 수 있고 곡 성공이 아니라 실패를 통해서도 많이 배울 수 있는 열정이 있는 분이면 누구나 잘 하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4.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Independent scientist가 되도록 지도해준 제 advisor, Dr. Lee Niswander께 감사하고 Ph.D. thesis committee members: Dr. Kathryn Anderson (Sloan-Kettering) and Dr. Pengbo Zhou (Weill Cornell)께 고맙습니다. 저에게 격려와 inspiration이 되어준 최광민 박사님, 류형돈 박사님, 한진환씨, 송윤재 박사, 박현호 박사에게 고마움을 전하며 마지막으로 제 곁에서 항상 힘이 되어주신 부모님, 누나 매형들, 아내에게 늘 감사합니다.
Received for article August 3, 2007 |
관련 링크
관련분야 연구자보기
소속기관 논문보기
관련분야 논문보기
해당논문 저자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