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Sestrin은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역할로 먼저 알려진 단백질로 최근에 mTOR signaling pathway의 역할이 밝혀지면서 세포의 항상성을 시작으로 암/비만과 같은 각종 질병들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많은 이들이 주목을 해오고 있습니다. 이번에 공동 연구를 통해서 Sestrin이 어떻게 활성산소 관련기능과 mTOR signaling 관련기능을 갖게 되었는지 단백질 구조를 바탕으로 설명을 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최근에 Sestrin이 Leucine Sensor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더 부각되고 있는 중입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이번 연구는 University of Michigan Medical School Biological Chemistry의 조운수 교수님 그리고 같은 학교의 Molecular & Integrative Physiology의 이준희 교수님의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되었습니다. 제가 속해있는 조운수 교수님 실험실은 Structural Biology 실험실로 X-ray Crystallography/EM을 통해서 Epigenetics 관련 단백질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공동 연구를 함께 진행한 이준희 교수님 실험실은 Sestrin과 mTOR signaling pathway 연구를 통해서 암/노화/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이번 연구는 제가 Sestrin의 구조를 담당했고 안소진 박사님은 Sestrin의 활성산소 관련 기능 연구를, 노승현 박사님은 mTOR signaling pathway 관련 연구를 담당한 프로젝트였습니다. 다수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공동 프로젝트는 저의 경우에는 처음이었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이를 기회로 앞으로 좋은 연구를 계속해 나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Structural Biology 하면 이전에는 한가지의 tool만 잘 알고 있어도 연구에 큰 지장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NMR, X-ray Crystallography, EM(Cryo EM)등 기존의 main tool 이외에 다양한 실험 방법등을 통해서 그동안 알기 힘들었던 부분들을 알아내거나 새롭게 보충을 해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Sestrin과 mTOR pathway에 있는 다른 단백질들과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