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이 연구는 mRNA splicing에 영향을 미치는 mutation을 The Cancer Genome Atlas (TCGA)의 data를 분석하여 연구한 논문입니다. 암에서 splicing에 영향을 미치는 mutation의 landscape 및 그러한 mutation이 주로 intron retention이라는 기작을 통해서 tumor suppressor gene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힌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우연한 기회에 연구실 선배님 이셨던 이은정 박사님과 이 일을 진행하게 된 것이 저한테는 가장 큰 행운이었습니다. 매주 teleconference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논의가 필요할 때는, 바쁘신 와중에서도 흔쾌하게 시간을 내어 주셨습니다. 이은정 박사님과 Peter Park 교수님 두 분 모두 여러 일로 바쁘신 상황에서, 이 연구를 신경 써 주시는 것에 대해서 감사했고 한편으로는 죄송한 마음도 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좋은 성과가 나와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이 연구는 국립암센터에서 병역특례를 하면서 시작 되었고 삼성병원에서 마무리 되었습니다. 국립암센터와 삼성병원은 연구소와 병원이 같이 있는 기관입니다. 병원 내에서 암 환자분들을 볼 수 있었는데, 그럴 때마다 더 열심히 연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분석하는 암 유전체 데이터가 환자분들에게 왔다는 생각을 하면, 연구를 할 때 불평하거나 힘들다는 핑계를 되지 말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곤 합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연구를 하면서 쉽다고 느꼈던 적이 없었기 때문에 항상 최선을 다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은정 선배님과 Peter Park 교수님에게 학문적으로 많이 배울 수 있었던 것이 가장 큰 수확이었습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면서 제가 부족했던 부분 (특히 writing 부분)들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던 것도, 제가 앞으로 더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Bioinformatics는 생물학적, 의학적, 전산학적 그리고 통계학적 지식이 두루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런 여러 분야에 대해서 자신이 학문적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또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저도 바쁘다는 핑계로 잘 지키지 못할 때가 많은데, 논문을 많이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암을 포함해서 질병에 대해서 연구를 지속하고 싶습니다. Large-scale로 genome 및 epigenome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학문적으로 많은 가르침을 주신 이은정 선배님과 Peter Park 교수님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번 연구를 이은정 선배님과 같이 할 수 있게 배려해 주신 홍동완 박사님,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도움을 주신 이동훈, 이종근 박 사님, 그리고 실험적으로 도움을 주신 박동현, 김연정 박사님, 박웅양 교수님에게도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저를 응원해 주는 부모님 및 나진원양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