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현대인에게 암은 함께할 수밖에 없는 질병이기에 암에 대한 이해와 치료 전략의 확립이 필요합니다. 특히, 암줄기세포는 암의 재발 및 전이 그리고 항암제 내성 원인으로 최근 대두되었으며, 암줄기세포 표적 치료법의 임상적용 필요성이 부각 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암 전이 및 항암제 내성을 나타내는 암줄기세포의 특징을 밝히고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암특이적 항암제 개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향후, 암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항암요법의 임상적용이 이루어 질것으로 사료됩니다.
암줄기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분석한 본 연구는 보편화 되지 않은 않은 여러 실험기법으로 인해 직접 실험 프로토콜을 책과 논문 등을 참고 하여 작성하고,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겪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등 연구 초기 어려움으로 포기할뻔한 연구였습니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에도 열심히 실험에 함께 참여해준 정유정 박사과정생과 한진 교수님을 비롯한 여러 교수님들의 도움이 있어 좋은 결실을 맺은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인제대학교 심혈관 및 대사질환센터는 2010년 대학 중점연구 사업에 선정되어 미토콘드리아를 중심으로 암을 비롯한 심장질환, 운동,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 질환을 조기 진단하고 예후를 예상하기 위한 심혈관 모델링 연구도 병행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센터는 여러 협력 연구기관들과 함께 여러 질환에 관련된 미토콘드리아 기능 연구를 수행하여 인간의 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끝으로, 저는 암세포와 심장손상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3년만에 다시 한빛사 인터뷰를 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습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연구로 많은 연구자분들께 인사할 기회가 오기를 기원합니다. 연구활동의 느낀점과 보람은 3년이 지난 지금도 그 때와 같습니다. 연구를 통해 얻는 것보다는 힘들고 지칠 때가 더 많지만, 잘 이겨내고 좋은 연구결과를 얻을 때 매우 기쁘고 즐겁습니다. 또한, 제 연구결과가 암 환자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희망을 안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암이라는 질병에 힘들어 하는 여러 환자분들을 위해 더 열심히 연구를 수행하고 더 노력할 것입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모든 연구 분야가 그렇겠지만 생명연구분야는 특히 어렵고 힘듭니다. 하지만 생명 연구는 그 연구를 통해 병의 원인 등을 규명하고 치료제등 개발하는데 이용되는 등,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힘들지만 보람찬 일을 하고 생명의 신비를 연구하고 싶다면 망설이지 말고 뛰어 드십시오. 그리고, 어느 곳에 있든 본인이 한국인을 잊지 말고 항상 성실히 연구하길 바랍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암연구는 아직도 가야 할 길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습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은 미지의 세계로 남아있습니다. 암세포와 암줄기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 연구와 이들의 조절 유전자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항암제 개발을 위한 타겟을 제시하고 신규항암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올해 정년 퇴임을 하신 지도교수님이신 경희대 김지영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끝으로 부족한 저를 많이 도와 주는 센터의 여러 교수님과 박사님들 그리고 학생들 모두에게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연구로 찾아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