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최근 대량의 유전자 분석이 가능해지면서,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분야는 미래의 암 치료제나 맞춤의학, 인체의 질병 발생 원인 및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유용한 도구로 각광받고 있는 연구 분야입니다. 이는 생물정보학 기술과 결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유전적 변이 검출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본 연구도 이러한 NGS 기술을 바탕으로 위암 세포주 및 한국인 위암 조직을 해독, 해석하여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에 의한 위암 발생 및 암화에 기여하는 대량의 유망 표적 유전자군을 분석하였습니다.
현미부수체란 인간의 전체 유전자 중 같은 염기가 반복되어 있는 부위를 말합니다. 이 부위의 염기가 결손되거나 삽입된 것이 복원되지 않아 염기서열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면 정상적인 단백질이 만들어지지 못해 암이 발생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특히 위암, 대장암 등에 많이 나타나는 유전체 불안정성의 대표적 유형으로 한국인의 위암의 10-15%가 현미부수체 불안정성의 의한 위암으로 분류됩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전체 및 전사체 단계의 유전자를 비교 분석 및 통합적인 유전자 발현 분석을 통해 위암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예후 예측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차의과학대학교 차암연구소 (CHA Cancer Institute, CHA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는 유방암, 위암, 폐암, 대장암 등을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하는 연구소입니다. 저희 연구소는 암 연구의 세계적인 석학이시며, 최초의 한국인 전장 유전체를 분석하신 김성진 교수님 (차의과학연구원 원장 및 차암연구소 소장) 아래 해외 초빙 교수님 2명, 차병원 임상 교수님 2명, 연구 교수님 2명, 박사 후 연구원 8명 및 석, 박사 학생들과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구 내용은 1)암 기전에 매우 중요한 TGF-beta 신호전달 체계 2)암 줄기 세포 (Cancer stem cell) 3)암 유전체 (Cancer genomics) 등으로 이를 통해 다양한 암의 발생 기전 및 관련 유전자를 분석하여 암의 진단, 예후 예측 및 치료형 표적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대 및 유전체 분석 및 해독의 선두인 테라젠바이오와 활발한 연구 교류 및 협력을 통해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Cancer genomics라는 낯선 분야를 접하면서 많은 실수 및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분야는 혼자서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분야에 계신 분들과의 협력이 없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을 통해 또 다른 것을 하나씩 배워 나가는 것에 많은 매력을 느꼈고, 이것이 결실을 맺었을 때 더 큰 보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저의 연구자의 길을 되돌아 보면 현재의 나를 있게 해준 것은 연구에 대한 태도가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과학자들은 참으로 지루하고 길고 긴 자신과의 싸움 끝에 얻는 하나하나의 결실을 기뻐하며 연구를 계속 수행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10번 아니 100번의 시도 끝에 1번의 결실.. 다른 분야 사람들이 보면 참으로 비효율적인 분야인 것 같기도 합니다. 이러한 분야라는 것을 알면서도 연구를 수행하고 성장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내가 이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행복하다고 느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행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행복하기 때문에 이 길을 갈 수 있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도전하길 바랍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이번 연구는 NGS를 기반으로 분석한 위암 유전자에서의 염기의 삽입 및 결실에 대한 보고를 하였습니다. 이러한 NGS를 통해서 유전자의 SNVs, CNVs, 발현 및 alternative splicing 등 많은 것 또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계속적으로 위암 관련 표적 유전자 발굴 및 검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위암 진단 및 치료에 있어 더 많은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먼저 과학에 대한 열정과 진정한 과학자를 몸소 보여주시며 가르침을 주시고, 또한 한 사람의 과학자만이 아닌 두 딸의 엄마로도 최선을 다할 수 있게 배려해주신 김성진 원장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함께 해 주고 많은 도움을 준 연구소 식구들께도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딸로서 며느리로서 부족한 저를 한없는 사랑으로 도와주신 부모님과 또 한 사람의 연구자이자 항상 함께 해 주고 지지해 준 남편 최준호, 예쁜 우리 딸들에게도 저의 무한한 사랑과 고마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