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이번에 발표한 논문은 '효과적인 표면개질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나노/바이오 소재의 폭넓은 응용을 위해서는 목적에 맞게 표면을 개질하는 기술이 필수적인데요, 기존의 기술은 몇 가지 단점이 있었습니다. 제한된 재료에만 표면을 개질할 수 있다든지, 아니면 특정 작용기를 가지고 있는 리간드를 꼭 이용해야 한다든지 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가 현재까지 많이 이루어져 왔고, 그에 대한 하나의 방법으로 저희는 '카테콜아민'이라는 화합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카테콜아민' 화합물을 이용한 표면개질 연구는 지난 2007년 Science 지에 처음 보고된 이후 세계 여러 연구진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노/바이오 분야에서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에너지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방법을 더욱 사용하기 쉽게 개량하여 'one-step' 과정만으로 목적에 맞게 표면을 개질 할 수 있는 방법을 보고하였고, 이에 대한 다양한 예들을 국내외 5개 기관이 함께 공동으로 수행하여 그 범용성까지 제시하였습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제가 연구를 수행한 곳은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소속의 생체모방 나노에너지 연구실입니다. 홍합, 게코도마뱀, 담쟁이덩굴, 연꽃 등과 같은 생물들의 독특한 성질을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여러분야에 접목시켜보는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실패한 실험이란 없다'
현재 속해 있는 연구실의 교수님께서 자주 해주시는 말씀입니다. 우리가 원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 뿐, 모든 실험은 그것이 말해주는 의미가 있다라는 것이죠.
연구를 시작하는 후배들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이기도 합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이 분야는 기초연구라기 보다는 응용이 주가 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현재 내가 가지고 있는 system이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어떤 분야에 잘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update해 나가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다양한 주제의 세미나를 두루두루 들어보시길 권합니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박사과정 초기에는 자신이 다룰 수 있는 technique의 범위를 최대한 넓게 확장시켜보시기를 권합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앞으로도 계속 생물체 내에서 발견되는 특수한 성질의 규명 및 응용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어느 때나 가장 최선의 길로 저를 인도해주시는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지금의 연구기회를 주신 KAIST 화학과 이해신, 최인성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마지막으로 힘든시기를 잘 이겨내 준 아내와 곧 태어날 아기에게도 감사와 사랑의 말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