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관련 분야의 소개, 동향, 전망을 설명,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
이 논문은 지역사회에서 중증폐렴으로 입원하는 환자들의 원인균 분포에 대한 논문으로, '바이러스성 폐렴이 세균성 폐렴과 비슷한 정도로 흔하고 사망률도 세균성 폐렴과 비슷하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이 논문의 초점은 influenza 이외의 호흡기 바이러스들(rhinovirus, parainfluenza virus, human metapneumo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human coronavirus, enterovirus, and bocavirus)입니다. 폐렴의 원인으로서의 호흡기 바이러스의 역할은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여러 연구들이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사용하여 폐렴 환자에게서 호흡기 바이러스가 흔히 검출된다는 보고를 하였지만, 상기도에서 얻은 검체로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를 하여 실제로 호흡기 바이러스가 폐렴의 원인인지 아니면 우연히 상기도 감염의 원인균으로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본 연구는 기관지폐포세척술(bronchoalveolar lavage, BAL)로 얻은 하부기도 검체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PCR를 함으로써 실제로 바이러스가 중증 폐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힌 임상연구입니다. 앞으로 폐렴분야에 있어 가장 중요한 issue는 이들 호흡기 바이러스들의 역할과 치료가 될 것 입니다.
2. 연구를 진행했던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대해 소개 부탁 드립니다.
본 연구는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내과계 중환자실 팀의 연구로 호흡기내과의 중환자의학팀과 감염내과의 공동연구입니다. 서울아산병원 내과계 중환자실팀은 얼마 전 가습기 세정제로 인한 중증 폐렴을 규명한 팀이기도 하고,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와 인적역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3. 연구활동 하시면서 평소 느끼신 점 또는 자부심, 보람
좋은 동료와 훌륭한 스승을 만나는 것은 커다란 행운입니다. 지금 일하는 곳은 그래서 좋습니다.
4.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배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저는 감염학을 전공하는 사람입니다. 감염학은 아주 재미있는 학문으로 미생물학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궁금한 것을 못 참는 호기심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분야입니다.
5.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중증 폐렴을 주제로 3년째 임상연구를 하고 있고, 임상미생물 팀과 molecular work을 함께하려 합니다.
6.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뛰지 않고 걸어서 좀더 나아가고 싶습니다. 11년 터울의 늦둥이를 낳고 나서, 고마운 일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