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사 인터뷰
이번 연구는 식물이 가지고 있는 카로티노이드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lutein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생합성 과정 중 마지막 과정이 hydroxylation인데 이 과정에서 cytochrome P450 enzyme이 관여할 거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증명하였습니다. 재밌는 사실은 in vivo 상에서 이 enzyme들은 lutein을 만드는데에만 관여하고 다른 카로티노이드들을 hydroxylation 시키는 데에는 별 관여를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또한 lutein을 만들기까지 두번의 연속된 hydroxylation은 그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아쉽게도 in vitro에서 이들 cytochrome P450 활성을 확인하지 못해서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힘들지만, 비록 enzyme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substrate specificity가 broad 하다 하더라도 생체내에서는 한가지 substrate (a-carotene)에 좀더 선택적으로 역할을 할 걸로 생각되어집니다.
- 연구과정에서 생긴 에피소드지난 10년간의 축적된 지식에 근거한 reverse genetic approach가 큰 효과를 보았습니다. 그러나 깊이있는 literature review가 없었던 상황에서 세운 가설로 인해서 처음 얻은 결과에 대한 misinterpretation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나서 좀 더 깊이있는 지식을 얻은 후에 다시 처음 얻은 데이터를 보았을 때 가장 핵심적인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아마도 초창기에 좀 더 열심히 공부했더라면 1년 전쯤에 끝났어야 할 일이었습니다.
2. 본 연구가 이루어진 소속기관 또는 연구소에 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제가 소속되어 있는 실험실에서는 일반인에게도 항산화물질로 잘 알려진 토코페롤과 카로티노이드에 대해서 연구를 하고 있는데, 이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또 어떻게 쓰여지는지를 돌연변이의 동정과 해석을 통해서 밝혀내고 있습니다. 토코페롤과 카로티노이드는 고등 동물이 자체 생산할 수 없고 오직 음식물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필수 비타민으로 구분되는데, 아쉽게도 우리가 주로 먹는 작물 (벼, 옥수수, 밀)들에는 극미량이 들어있습니다. 유전자 조작 농산물에 대한 우려가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도 이들 micronutrient의 biofortification은 특히 곡물에 의존하는 아프리카나 제3세계 사람들에게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이슈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는 생산량 증가에 관여한 유전자들 뿐만 아니라,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bioavailability 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찾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3. 이 분야로 진학하려는 후학들 또는 유학준비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씀을 해 주신다면?
지도교수님이 제가 하고 있는 분야의 review paper를 모 저널에서 요청을 받아서 쓰고 계셨었는데, 제가 읽어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인용 논문 리스트 중에서 몇가지는 새로운 논문들이라 미처 읽지 못한 것도 있어서 지나가는 말로 " 이런 게 있었네" 라고 했는데, 그 얘길 들으시더니, "너가 나보다 더 잘 알아야 되는 거 아니냐" 면서, 핀잔을 주셔서 부끄러운 적이 있었습니다. 자기가 하고 있는 분야의 모든 걸 안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지만, 학문적 호기심을 잃지 않고 알고자 하는 노력을 꾸준히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4. 연구활동과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이 있으시다면?
지도교수님께서 졸업은 교수가 시켜주는게 아니라 자기가 하는 거라면서 부담을 주셨기 때문에 향후 1~2년간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의 마무리를 하게 될 거 같습니다.
5. 다른 하시고 싶은 이야기들....
제가 있는 실험실에서 이 일을 시작한 지 12년 정도 되었고, 저를 포함해서 현재까지 4명의 연구자가 해왔었습니다. 가장 초기에 발표된 논문부터 차례로 읽어보면 마치 연재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인데 그 이유는 디스커션에 나와있는 내용이 항상 그 다음논문의 핵심 줄거리였기 때문입니다. 가설을 세우고 그걸 검증하며 그 과정에서 나온 의문점들로 다시 가설을 세우고 하는 이런 일들이 재밌는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Received for article February 25, 2006 |
관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