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려주신 사진이 보이지 않아서, 제대로 된 답변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1. 폰슈 처리에 의해서 큰사이즈 (300kda)부분에서 band 또는 끌림 현상이 보여지지 않는다면, transfer 문제가 맞아 보입니다.
transfer 조건들을 몇가지 변경해 볼 수 있습니다.
Wet transfer를 하신다면, 60 - 80V, 250mA 정도로 1-2시간 transfer를 수행하실 것 같은데,
1) 20-25V로 낮춰서 overnight transfer를 해볼 수 있습니다.
2) transfer buffer에서 메탄올 없이 진행하면 큰 사이즈가 더 잘 transfer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 transfer buffer에 SDS를 소량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사진이 안보여서..
원형으로 나온다면 기포 때문일 가능성이 높고,
번져서 생긴 문제이면,
장갑이 오염되었거나, PVDF membrane의 활성화가 덜 되었거나, membrane-gel을 카세트에 넣을때 membrane이나 gel이 울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진이 보이지 않아 짐작만 해 봅니다.
3. western blot blocking solution 판매하는 제품들 중, 짧은 시간에 깨끗하게 blcoking을 진행할 수 있는 제품들이 blocking이 약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제품의 품질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들면 동일한 g/vol 으로 %를 설정하면 BSA보다 skim milk가 더 강하게 blocking 됩니다.)
blocking solution을 변경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일반적으로 BSA를 많이 사용하며, FBS, NBCS 등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GAPDH는 흔히 사용하는 positive control 이어서 큰 문제는 없지만,
항체 구매 회사를 바꿔보거나, positive control을 다른 것으로 사용해 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