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 Mol. Biol.-Protein > etc.
Protein pH 변화
레벨1 exeOOexe (일반인)
1. Protein pI : 5.5~6.0
2. Protein pH : 4.4
3. Buffer pH : 4.0
buffer exchange 시 protein pH shift 관련하여 여쭤봅니다.
20mM Sodium acetate buffer (pH 4.0) 으로 pH가 4.4로 맞춰진 단백질의 buffer를 amicon tube로 교환했을 때 filter 아래로 나오는 elute는 pH 4.0으로 확인이 됩니다.
그런데 filter 위의 protein pH를 측정했을 땐 4.4~4.5 로 buffer pH 보다 높게 나오는 현상이 있는데 원인이 뭘까요 ?
또한 30 mg/mL 농도에서 시작해서 0.5 mg/mL 까지 희석했을 때 10 mg/mL 이하부터는 pH가 4.0으로 맞춰지는데 이것 또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Buffer 농도를 높이기에는 제형 연구에 사용할 거라 20 mM 까지만 테스트해봤습니다.
처음엔 Acetate buffer의 pKa가 4.76이고 buffering 범위가 3.7~5.6이라 buffer pH를 4.0으로 맞추기에는 범위의 말단에 있어 pH 범위가 더 넓은 citrate buffer로도 교환해봤는데 결과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Buffer 종류가 아니라 단백질 자체의 구조적 요인 또한 고려를 해봐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접근해서 생각해야 할지 감이 안 옵니다.. 친절히 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Buffer
#Protein
#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