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 시료를 유기용매(t-butyl alcohol, bp 25도)에 녹인 후 동결건조 시켜 lipid mixture를 얻고자 합니다.
저의 동결건조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ipids in t-butyl alcohol을 deep freezer에 얼린다 (-80도, overnight)
2) 동결건조기 (HC3110) 에 넣어 건조시킨다 (-110도, overnight)
여기서 두가지의 질문이 있습니다.
1) 보통 동결건조 후 결과물은 솜사탕 재질의 power 처럼 나오던데, 가끔씩 vial의 바닥에 눌러붙은 기름덩어리(?) 처럼 생성될 때가 있습니다. 후자처럼 나오는 경우 동결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일까요?
2) 이론적으로 동결건조는 동결-1차건조-2차건조 를 거친다고 알고 있습니다. 2차건조는 1차건조 후 감압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온도를 올려서 남은 수분을 날려주는 과정인것 같은데, 제가 수행한 protocol은 1차건조까지만 하는것 같은데요. 보통 이렇게까지만 해도 실험실에서 했던 결과물은 잘 만들어졌습니다. 이럴 경우 2차건조는 따로 하지 않아도 괜찮은건가요?
만약 2차건조를 한다면, 감압상태에서 온도를 올리는 공정은 어떻게 진행하면 되는걸까요..?
추가적으로, 저희가 가지고 있는 동결건조기 (HC3110)은 전원을 키면 바로 -110도까지 쭉 떨어지던데, 원래 동결건조기들은 온도 설정하는 기능이 따로 없이 바로 최저온도까지 쭉 떨어지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