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벨4
CHM91
-
2023.05.29 10:02
<p>ladder는 같고 product만 다른건가요?</p>
<p>ladder를 기존 ladder가 아닌 새로운 ladder를 사용하여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ladder도 degradation이 발생합니다. 피펫팁의 오염등으로 원인일 수 있습니다. 또한 product를 첫번째 사진의 것을 사용하여 테스트하여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p>
<p>3장의 사진에서 사용된 ladder와 product가 모두 같은가요? </p>
<p>만약 모두 같은 ladder와 product를 사용한 것이라면 EtBr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EtBr의 농도를 약간 높여 테스트해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p>
<p>전기영동 탱크를 깨끗이 씻고 알콜로 한 번 헹구어서 사용하세요.</p>
<p>전기영동 탱크에 TBE나 TAE를 새로 넣어서 사용하시고,</p>
<p>젤을 충분히 끓여서 아가로스 조각이 다 녹은것을 확인하시고 젤을 만드세요.</p>
<p>세번째 젤사진에는 EtBr이 부족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p>
-
레벨3
해조칼슘풍덩
(대학원생)
-
2023.05.29 12:27
<p>안녕하세요 선생님들 많은 관심 주셔서 감사합니다. </p>
<p> </p>
<p>먼저 CHM91 선생님 질문 답변;</p>
<p> 기존 전기영동과 현재 전기영동의 사진은 각 다른 product (product의 양 부족으로 같은 product를 사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를 사용한 것입니다. 하지만 겔의 방법은 같아 첨부한 것으로 혼란을 드렸다면 죄송합니다.</p>
<p>한번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ladder를 새거로 바꾸기도하며, EtBr 농도를 높여 테스트해보겠습니다.</p>
<p> </p>
<p>강시 선생님 질문 답변;</p>
<p>아쉽게도,, 첨부한 사진의 경우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세척 -> 증류수 -> 에탄올 과정을 거쳐 건조 후 새로 제작한 버퍼를 채워 실험을 진행한 사진이였습니다..ㅠㅠ 아가로스 또한,, 녹이는 과정에서 덜 녹은게 없게끔, 중간 중간 교반을 돌려 완전히 녹은 것을 확인하였습니다..</p>
<p> </p>
<p>그리고 마지막에 말씀하신 EtBr의 경우 현재 전기영동 왼쪽 오른쪽 사진이 둘다 같은 플라스크에서 부은 것인데도 저렇게 나온것은 넣는 양이 부족해서 그럴 수 있다는 말씀일까요...? </p>
<p> </p>
<p>금일 선생님들께서 말씀하신대로 아래 사항 다시 진행해보겠습니다. </p>
<p> </p>
<p><strong>1. ladder 교체</strong></p>
<p><strong>2. EtBr 농도 약간 높이기</strong></p>
<p><strong>3. 탱크 세척 후 에탄올로 2차 세척</strong></p>
<p><strong>4. 버퍼 새로 제작 후 사용</strong></p>
<p><strong>5. 아가로스 조각 녹는 거 다시 확인해보기</strong></p>
<p> </p>
<p><u>추가로 gel 제작시 사용하는 증류수가 다들 어떻게 되시는지 알 수 있을까요?</u></p>
<p>저의 경우 1차 증류수를 사용하긴 하는데, 혹시 몰라 현재 증류기 통 세척을 완료하였으며, 금일 겔 제작시 3차 증류수 또는 free water를 사용할 예정입니다..</p>
<p> </p>
-
레벨4
CHM91
-
2023.05.29 18:20
<p>저희 실험실에서는 겔 제작시 그냥 Milli-Q wat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p>
-
agarose
(비회원)
-
2023.05.30 10:33
<p>agarose 불량으로 DNA 분해되는 것도 경험했어요.</p>
<p> </p>
<p>옆 실험실서 agarose 빌려다가 실험해보세요!!</p>
-
레벨5
SCIENTIST00
-
2023.05.30 23:12
<p>젤 제작시 1차증류수? 3차증류수를 쓰시나요?</p>
<p>agarose power에 TAE를 넣어 가열해서 만드는 것이 보통 레시피입니다. </p>
<p>running buffer와 동일한 버퍼를 사용합니다. </p>
-
레벨3
해조칼슘풍덩
(대학원생)
-
2023.05.31 12:42
<p>안녕하세요 선생님들</p>
<p>기존에 선생님들께서 말씀하신대로 실험을 진행하였을때 1차 증류수에서 3차 증류수로 겔을 제작하였고, 전기영동 챔버 버퍼의 경우 1차 증류수로 제작해 영동을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ladder도 새걸로 교체해서 진행했습니다.</p>
<p>(EtBr 농도의 경우 이상이 없어 기존 농도로 진행했습니다. )</p>
<p> </p>
<p>그러나 뜻밖의 결과가 나와 다시 이렇게 글을 작성합니다.</p>
<p>pcr product와 새 ladder, 기존에 사용하던 ladder가 둘다 영동했더니 bnad들이 전부 깔끔하게 나와 다음 영동하는 product에는 혹시모를 변수를 피하고자 새 ladder만 사용하여 영동을 진행했습니다</p>
<p>그런데 또 다시 질문에 올렸던 사진과 같이 product( 잘 나왔던 것과 다른 product) bnad와 새 ladder가 안나오는 경우가 있더라구요.</p>
<p> </p>
<p>갑작스럽게 생각이 든건데, 제가 최근에 PCR을 많이 돌리게되어 바로 영동해보지 못하고, 냉장에 1주일 정도 보관 후 영동을 하게 됐는데</p>
<p>이러한 장기간 냉장보관으로 인한 PCR product의 깨짐으로 band의 끌림을 제외하고 ladder가 깨져 안나올 수도 있는 것인지 궁금하여 선생님들의 의견을 듣고자 답글 남깁니다. </p>
-
레벨3
해조칼슘풍덩
(대학원생)
-
2023.05.31 12:46
<p>agarose 선생님에 대한 답변;</p>
<p>기존에 가지고 있던 아가로스의 경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p>
<p>다음에 새로운 아가로스로 교체시 선생님의 말씀도 반영하여 생각하겠습니다.</p>
<p> </p>
<p>SCIENTIST00 선생님에 대한 답변;</p>
<p>아가로스 겔 제작시 10X TAE buffer를 1X TAE buffer로 희석하여 겔 제작시 사용 합니다! </p>
<p>전기영동 챔버 또한 1X TAE buffer를 사용하며, 이번 실험에는 겔 제작시 3차 증류수로 희석한 1X TAE buffer를 사용하였고, 전기영동 챔버에는 1차 증류수로 희석한 1X TAE buffer를 사용해 실험진행하였습니다! </p>
<p>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