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벨5
실험은안될때가더많아
-
2022.12.01 15:46
trypsin은 FBS포함되어 있는 media로 inactivation 후 제거해주는 편이 낫습니다.
보통 처리한 trypsin: media 1:3~ 1:4비율로 inactivation후 centrifuge -> supernatant aspiration -> resuspension 의 과정을 거치는 것을 추천합니다.
더 완벽히 제거하려면 resuspension을 PBS나 media에 한 뒤 다시한번 centrifuge ->supernatant aspiration -> resuspension -> seeding을 가시면 좋구요.
남아있는 trypsin이 이후 실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최대한 inactivation, 제거가 필요합니다.
부착 세포배양의 기본 메뉴얼은
DPBS washing
0.25% Trypsin 5ml / 100cm^2 37도 incubation
Complete media washing 및 원심분리 입니다.
최적의 세포배양법은 일부 랩마다 틀릴수는 있지만 기본은 비슷할것입니다.
Tyrpsin 만 가지고 원심까지 가면 시간이 너무 길어질수 있어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9999
(비회원)
-
2022.12.01 16:22
윗 분들 말씀처럼
Trypsinization 후에 Media를 넣는 이유는
Media에 넣어준 Serum이 Trypsin을 불활성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이 때 미디어 볼륨은 트립신과 동량 이상이면 됩니다.
다만 요새 Serum free complete media도 나오는 실정이라 이런 경우에는 FBS를 따로 넣어주어야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추측해봅니다.
-
레벨8
SPEED
-
2022.12.01 17:03
- 희석하는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cell을 detach한 후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
1. FBS로 trypsin inactivation 후 원심분리 및 culture
2. 1차 원심분리 후 최대한 media + trypsin 제고 후 PBS로 최소 3회 이상 washing 및 culture
- 위 1, 2 모두 무방 합니다.
-
레벨3
쥐팤
(대학원생)
-
2022.12.01 19:49
그렇군요 .. 방법을 바꿔야겠습니다.
답변해주신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