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_-
(비회원)
-
2022.11.16 08:47
항상 적지만 논문 내용을 물어보고 싶으면 논문 링크를 다는 게 좋습니다.
-
레벨2
지놔가놔지
-
2022.11.16 17:01
특정 gene을 KO 시킬때는 먼저 KO 시킬 지역의 양 끝에 LoxP라는 시퀀스가 포함되도록 치환시켜 줍니다. 이 때 gene 양쪽에 LoxP가 삽입된 형태를 Flanked by Lox (Floxed) 라고 부릅니다. 이 Floxed된 지역은 Cre라고 부르는 단백질에 의해 recombination 되면서 deletion이 유도되고 결과적으로 KO 됩니다.
따라서 위 논문에 나온 마우스를 보면
CD47 KO : CD47 gene이 전체적으로 KO된 mouse (모든 부위에서 KO- 배아단계부터 cre가 발현하여 모든 지역에서 KO이 일어난 개체)
CD47 f/f : Floxed CD47 gene을 가지고 있는 mouse 개체 (Cre가 없기때문에 KO가 유도되지 않아 WT과 비슷한 control mouse로 주로 확인)
CD47 ΔIEC : 논문을 잠깐 보니 villin-cre는 intestinal epithelium 특이적으로 Cre가 발현되도록 설게된 Cre입니다. 따라서 intestinal epithelium 특이적 CD47 KO mouse 개체입니다.
CD47 ERΔIEC : ER Cre는 estrogen receptor에 반응하여 발현되도록 설계된 Cre로 실험자가 원하는 시점에 Tamoxipen 같은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recombination (KO)를 유도할수 있도록 설계된 개체입니다. 따라서 해당 개체는 tamoxipen을 넣어준 이후 intestinal epithelium에서의 KO가 유도된다고 보면 될것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