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벨8
SPEED
-
2022.09.23 13:26
- 어떤 배지에서 배양했나요?
- 분화 안된것으로 보입니다.
- anti-MHC로 확인해 보면 정확히 알수 있습니다.
-
레벨1
mintim99
(대학원생)
-
2022.09.23 16:10
SPEED님 감사합니다!
culture media는 high glucose DMEM (+10% FBS + 1% p/s)를 쓰고 있습니다.
C2C12 cell 특징이 세포들끼리 contact 되면 분화 미디어 없이도 분화가 유도된다고 들어서 아직은 세포를 분화 없이 키우는 목적이라 혹시 상태가 괜찮은지 알아보고 싶었습니다.
anti-MHC는 western blot 실험을 진행해야 확인 가능한건가요? 이 부분은 잘 몰라서요..ㅠ
-
레벨8
SPEED
-
2022.09.23 17:03
- 아래처럼 myoblast -> 분화가 되면 IHC로 확인 가능합니다.
[출처: January 2007 Journal of Cell Science 119(Pt 24):5106-13}

-
레벨1
mintim99
(대학원생)
-
2022.09.23 18:40
네, 저도 myoblast에서 myotube로 분화되는 morphology는 찾아봐서 알긴 알지만, 저는 현재 분화를 시작한 것이 아니라서 단지 high density 때문에 분화 유도가 됐는지만 알고 싶었습니다..ㅠㅠㅠㅠ
-
레벨8
SPEED
-
2022.09.23 18:55
육안으로는 정확히 알수없고 형태를 봐서 분화 전으로 보입니다.
cell passage가 높으면 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알고있습니다
확인해보세여
-
레벨5
안녕난세포야
-
2022.09.26 20:04
C2C12는 계대 넘기기 전에 confluency가 50-60%정도 유지하면서 셀끼리 뭉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매우 중요합니다.
어느정도 뭉쳤다고 하더라도 트립신 처리 후 충분히 incubation하여서 cell끼리 떨어지도록 해야하고 디쉬나 플레이트를 탁탁쳐서 떨어트리는 등의 방법은 비추드립니다.
그리고 myh 확인해보실 필요없이 저정도로 꽉차면 못쓴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이 cell line은 6-7계대로 사용하시고 그 이상은 불리는건 비추합니다.
그리고 10% FBS 에서는 튜브가 보일정도로 fusion단계가 잘 일어나진 않습니다. TGFbeta 수준이 높아서 근육분화나 fusion을 억제하기때문입니다.
그래서 보통 proliferaion은 10% FBS조성 메디아를 사용하고 differentiation할때는 FBS가 제외된 2% normal horse serum을 사용하여 분화를 유도합니다.
본내용 ATCC사 메뉴얼에도 있는데 실제로도 실험해보면 꼭 필요한 숙지사항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