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_-
(비회원)
-
2022.08.03 18:03
어... 제 기억상 프리즘에서 서바이벌 데이터를 테이블에 입력할 때 저런 식으로 하지 않았습니다.
예전에 해둔 데이터들이 지금 쓰는 컴엔 없어서 자세힌 기억이 안 나는데 0과 1로
각 개체의 죽음 또는 추적불가와 생존을 매일 입력했었던 걸로 기억하네요.
피씨알 돌리는 거 끝나면 퇴근해서 어케 했었나 확인해볼게요.
-
ㅇㅇ
(비회원)
-
2022.08.03 21:53
맞아요 윗분말씀대로 0 과 1 로 표현해서 하셔야합니다.
그 프리즘에 샘플 그래프 불러올 수 있는데 그거 불러와서 함 보셔요
-
-_-
(비회원)
-
2022.08.04 00:39
늦게 퇴근해서 게임하고 아침햇살 한 통 마시느라 늦었네요 미안합니다 -_-;
암튼 첨부파일 그림을 보시면 좀 감이 올 겁니다.
그룹의 개체 총 숫자 이런 건 아예 안 씁니다. 그건 프리즘이 알아서 카운트해요.
데이터 테이블 포맷을 서바이벌로 바꾸고, X열엔 관측한 날짜,
(저는 이 데이터 만들 때 격일간 관찰하여 홀수날마다 데이터포인트를 얻었습니다)
Y엔 그룹을 나누었고, 각 그룹의 개체에서 죽은 개체가 발생했을 때 1로 표기했습니다.
이 때 1로 표기된 이벤트는 반드시 한 행(row)당 하나만 존재해야 합니다.
그래서 같은 날짜, 그림에서 예를 들자면 27일에 사망개체가 각 그룹을 통틀어 여섯이라면
date에 27일을 여섯 번 각기 다른 행의 X열에 복붙하고, 각 행마다 하나의 1만 존재하도록
표기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1들(또는 뭐 행불자/추적불가자 표현은 2던가 0이던가 그렇고)을 쭉 쓰고 끝내면
프리즘이 알아서 1의 횟수를 각 열마다 카운트해서 총 개체수를 세고, 서바이벌리티를
세로축삼아 커브를 아래와 같이 만들어줍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셨나요? 따라서 질문자분의 테이블을 여기에 맞춰보자면...
먼저 테이블 포맷을 서바이벌리티로 바꾸고, X열에 죽음이 발생한 날짜를 전부 적고,
이후의 Y열들, 그러니까 그룹ABCDE들의 칸에 죽음이 발생한 날짜의 열에 1을 각각
한 행당 하나씩 써서 마킹하시면 제대로 된 그래프가 나올 겁니다.
-
레벨2
I아니
(대학원생)
-
2022.08.05 16:23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원하는 그래프를 얻었습니다 :)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