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벨8
SPEED
-
2019.12.19 13:52
점선과 실선은 무엇인가요?
STD curve를 잘못 그린것 같습니다.
- stationary phase에 있는 cell(10^8 CFU/mL) 수를 미리 측정해놓고..
: 10^8/ml의 OD600이 얼마나 나오고 각 point에서 몇 plate씩 spreading했나요?
-
레벨2
tape
(대학원생)
-
2019.12.19 14:49
실선은 OD값과 세균수(로그값)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점선은 추세선을 나타낸 것인데 선형관계를 나타낸 것인데 저렇게 나왔습니다..
8 h에서 OD값은 3.1*10^8 CFU/mL였습니다
plating은 각 희석배수 마다 2개씩 했습니다
뭘 잘못한 건가요??ㅜㅜ
-
레벨8
SPEED
-
2019.12.19 15:01
- 8 h에서 OD값은 3.1*10^8 CFU/mL였습니다.
1. OD값이 얼마였나요?
2. 그리고 8h는 정지기인가요?
3. 2plate씩은 수가 너무 적고 OD vs cfu를 구하려면 5plate 정도는 해야 오차가
적습니다.
그리고 실험한 순서를 좀더 정확히 서술해 주세요.
-
레벨2
tape
(대학원생)
-
2019.12.20 14:33
1. 8 h에서 OD값은 17.167이었습니다
2. 네 staionary phase입니다
3. 제가 8h에서 10^8CFU/mL라는 것을 먼저 확인했습니다.
그 후에 새로 배양을 해서 8h 배양한 후 10^7, 10^6, 10^5, 10^4....이렇게 serial dilution을 하고 각각 plate 2장에 spreading하고 OD값도 측정을 하였습니다.
- 또 궁금한 점이 있는데
제가 배양을 할 때 6h에 stationary phase에 딱 도달을 해서 8h때인 것을 사용했는데 다른 논문을 보니 stationary phase라고 하면 24h배양한 걸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았습니다.(E.coli의 경우)
그래서 stationary phase라면 24h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plate를 5개는 하는게 좋다고 하셨는데 각 희석배수마다 5개씩을 해야한다는 말씀인가요?? 즉, 10^1~10^3까지라면 3X5=15개를 해야한다는 것인가요??
- 추가적으로 plating말고 미생물의 death phase를 확인할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ㅠㅠ
계속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