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나..
(비회원)
-
2018.04.11 17:14
저도 현재 연구직에 종사하며 몰, 퍼센트 농도는 자주 쓰지만
쓰는 방법으로만 써서 맞다고 확신 할 수는 없겠네요 ㅎ
제 방법이 맞나 궁금해서 답변 달아보아요 ㅎ
1. 10%의 수용액이라하면 100 ml에 10 g의 인산이 녹아져 있다는 것이고
1M 농도의 수용액이라하면 1L에 97.99 g의 인산이 녹아져 있다는 뜻입니다.
10%의 수용액과 1M의 수용액의 volume을 맞춰주면 거의 비슷한 양의 인산이 녹아져 있네요
97.99 g : 1 M = 100 g : x M
x = 1.02 M
10 %의 수용액은 1.02 M 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ㅎ
2. 이론은 윗 문제와 동일 합니다.
23 g /100 ml 의 수용액으로 115.03 g/ 1L의 수용액을 만드는 것이므로
230 g/1 L로 맞춰주면 1/1.99 (230/115.03) 로 dilution을 해야하고
1L 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므로 502.5 mL이 필요하게 됩니다.
저는 밀도를 고려 하지 않고 계산을 했는데
수정하실 분 계시면 수정해주세요 ~ ㅎㅎ
-
흠...
(비회원)
-
2022.08.12 00:59
몰농도의 계산식은 '용질의 질량(mol)/용액의 부피(L)'입니다.
1. 수용액 상태이므로 보통 밀도를 1g/ml라고 두면 10% 인산 수용액을 1L라고 할 때, 인산은 100g이므로 100/97.99=1.02...(mol)입니다. 따라서 약 1.02/1=약 1.02M이 됩니다.
2. 1번 문제와 마찬가지로 밀도를 1g/ml로 두고 필요한 수용액의 부피를 x(L), 23% 제1인산암모늄 수용액을 1L라고 잡으면 230/115.03=1/x이므로 약 x=0.50L=500ml가 나옵니다.
+ 몇몇 농도의 계산식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몰농도는 '용질의 질량(g)/용질의 화학식량*용액의 부피(L)'이고 몰랄농도는 '용질의 질량(g)/용질의 화학식량*용매의 질량(kg)', ppm, ppb 농도는 각각 용질의 질량(g)/용액의 질량(g)에 10^6, 10^9를 곱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마 윗 분과 계산 값이 조금 다른 것은 소수점을 얼마까지 따졌느냐의 차이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입니다.
p.s. 추가로 수정하고 싶은 내용이 있으신 분은 아래에 덧붙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