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농도의 계산식은 '용질의 질량(mol)/용액의 부피(L)'입니다.
1. 수용액 상태이므로 보통 밀도를 1g/ml라고 두면 10% 인산 수용액을 1L라고 할 때, 인산은 100g이므로 100/97.99=1.02...(mol)입니다. 따라서 약 1.02/1=약 1.02M이 됩니다.
2. 1번 문제와 마찬가지로 밀도를 1g/ml로 두고 필요한 수용액의 부피를 x(L), 23% 제1인산암모늄 수용액을 1L라고 잡으면 230/115.03=1/x이므로 약 x=0.50L=500ml가 나옵니다.
+ 몇몇 농도의 계산식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몰농도는 '용질의 질량(g)/용질의 화학식량*용액의 부피(L)'이고 몰랄농도는 '용질의 질량(g)/용질의 화학식량*용매의 질량(kg)', ppm, ppb 농도는 각각 용질의 질량(g)/용액의 질량(g)에 10^6, 10^9를 곱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마 윗 분과 계산 값이 조금 다른 것은 소수점을 얼마까지 따졌느냐의 차이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입니다.
p.s. 추가로 수정하고 싶은 내용이 있으신 분은 아래에 덧붙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