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 Microbiology > Bacteria
세균의 OD측정 후 colony counting -> 표준곡선
레벨1 주리 ()
안녕하세요 도움을 얻고자 질문드립니다.
세균의 OD값을 측정하고 colony를 카운팅해서 표준곡선을 그리는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우선 배양하던 균(C.gracilis) 10ml을 1ml의 PBS에 harvest했고 이걸 균 원액이라 했습니다.
원액을 1/10 씩 희석해서 4번까지 튜브에 만들었어요
그리고 각각의 튜브에서 200ul씩 따서 OD값을 측정했습니다.
0번 튜브 : 균 원액 -> OD : 1.758
1번 튜브 : 균 100ul + PBS 900ul (1/10) -> OD : 0.43
2번 튜브 : 균 100ul + PBS 900ul (1/10^2) -> OD : 0.053
3번 튜브 : 균 100ul + PBS 900ul (1/10^3) -> OD : 0.007
4번 튜브 : 균 100ul + PBS 900ul (1/10^4) -> OD : 0.004
그 다음에 각각 튜브에서 20ul씩 따서 PBS 80ul와 섞어서 희석 후
10ul씩 blood agar plate에 spreading했습니다.
배양 후 colony를 카운팅 했고 아래와 같이 결과가 나왔습니다.
0번 튜브 : 균 원액 -> OD : 1.758 -> 924 cfu
1번 튜브 : 균 100ul + PBS 900ul (1/10) -> OD : 0.43 ->240 cfu
2번 튜브 : 균 100ul + PBS 900ul (1/10^2) -> OD : 0.053 -> 29 cfu
3번 튜브 : 균 100ul + PBS 900ul (1/10^3) -> OD : 0.007 -> 7 cfu
4번 튜브 : 균 100ul + PBS 900ul (1/10^4) -> OD : 0.004 -> 2 cfu
이렇게 나왔는데 희석배수를 곱해주면
원액같은 경우에 4.6 x 10^5 cfu/ml 이렇게 나오더라구요
표준곡선 그린거 첨부 할께요 (왼쪽은 첫번째 실험 결과이고, 오른쪽은 다시 한 실험 결과에요)
문제는 실험에 사용하는 다른 세균들은 2 x 10^9 / 10ul로 양이 많은데
(다른 세균은 제가 colony counting한게 아니고 예전에 누군가 구해놓은 식이에요)
제가 이번에 카운팅한 세균은 이에 비해 매우 많이 부족하다는 거에요
실험 방법이 잘못 된건지.. 두번의 실험에서 비슷한 결과가 나와서 저 콜로니 갯수가 맞다고 한다면 바로 MOI에 적용할 수 있는건지 궁굼합니다.
(예를들어 2.4x10^5의 cell이 seeding 되어 잇고, MOI 1000으로 infection시
O.D값 x 4.6 x 10^5 : 1000(ul)=2.4 x 10^8xwell 수 : A(ul) 이렇게 식을 세우면 되는건가요?
세균의 크기가 문제가 되는 건가요? 다른 세균들보다 C.g가 2~3배 크기는 해요
조언 부탁 드립니다~~
#OD
#CFU
#표준곡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