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Q
Western blot을 할 때 protein marker만 나타나고 band가 나오지 않는 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2023.12.12
Q
제가 1000ug/ml를 만든다고 가정하였을때 가루시약일 경우 몰 질량: 74.5513g/mol 밀도: 1.98g/cm³ 분자량: 74.09 일때 공식이 어떻게 될까요ㅠㅠ 진짜 도와주실분 없나요??ㅠㅠㅠㅠ
2023.12.11
Q
bovine enamel specimen 을 제작할 때, saliva를 접종시킨 후 '10% CO2' 배양시키는데, 10% CO2 조건에서 배양해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2023.12.11
Q
미생물 배양 배지에 Sheep blood를 첨가할 때, Autoclave 전에 첨가하나요? 아니면 Autoclave 이후에 첨가하나요? 혈액이라 응고가 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2023.12.11
Q
U87-RFP cell을 Blab/c nude mouse의 dosal striatum에 이식 하여 orthotopic mouse를 모델링하였습니다.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기위해 IVIS® Spectrum In Vivo Imaging System(PerkinElmer)를 사용하여 형광촬영을 진행하려고하는데요, Cell stock이 워낙 오래된것이라 정보를 얻기힘들어 파장을 어떻게 잡아야 정확하게 촬영할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아직 종양이 충분히 자라지 않아서 확실하지 않지만(5 x 10^5 이식 후 14일 촬영), 기기에 세팅된 rfp파장으로는 백그라운드가 너무 많이 잡혔습니다. (500 - 600 파장으로 촬영했을때 수술부위 시그널이 가장 명확하게 나오긴했습니다.) 혹시 비슷하거나 동일한 실험을 진행해보신분들께 자문을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2023.12.11
Q
ATCC에서 받은 B16F10을 키우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6-well 혹은 12-well 시딩이 아직 익숙치 않아서 인지 시딩 4-6시간이 지나고 확인할때 세포가 많이 떠 있는 것을 종종 확인하게 되는데요. 저는 떠 있는 세포는 죽었다고 생각해서 계속 두면 붙은 세포에게도 Death 관련한 signal을 줄 수 있을꺼 같아서 배지를 전량 석션하고 새로운 배지로 즉시 교체 해왔습니다. 그런데 배지를 너무 빠르게 교환하면 안좋다고 최근에 들어서 시딩 후 6시간정도 지났을때 떠 있는 세포가 많으면 석션하고 배지를 갈아주는 행위가 떠 있는 세포를 그대로 두는것보다 더 안좋은 영향을 미칠까요??
2023.12.11
Q
DNA Sample만 한달 차 만들고 있는 초보 실험생입니다. 실험실에서 별도로 조언을 해주실 분들이 계시지 않아 이렇게 커뮤니티에 제 실험의 실패 요인에 대하여 여쭙고자 합니다. 실험의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Sample을 준비하였구여, 이때 Biofact 사의 DNA 키트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되 실험에 필요한 효소와 solution 들의 양을 2 배로 처리 하였습니다. (교수님의 조언에 따라서 Sample의 DNA 농도 값을 높이기 위함이었습니다.) 또한 순도 값을 높이기 위하여 DDW 세척 과정도 2회 거친 뒤 실험을 진행 하였습니다. (DNA 추출에 쓰인 프로토콜과 해당 회사의 DNA 전기 영동 결과 예시) 그런데 전기 영동 시에(0.5 TAE buffer 사용, 1 % agarose gel, 40 min, 100 V) DNA의 band가 번질 뿐만 아니라 degeration 된 듯한 형태를 보여주어서 어떠한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여쭙고자 합니다. (DNA 추출 sample의 전기 영동 결과 사진과 농도 및 순도값) DNA... 추출 좀 그만 하고 싶습니다.......흑흑....ㅜ 도어ㅘ주세요
2023.12.11
Q
이제 막 western blot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현재 BCA Assay 농도 구하는 것 까지 마쳤는데 sample 양 구하는법을 모르겠습니다. 4x buffer ->1x가 되게 하고... 토탈 볼륨은 20ul로 맞출것입니다. 설명해서 알려주실분 간절합니다
2023.12.11
Q
안녕하세요 랩에서 피부투과도 실험을 처음하고 저도 처음이라 경험자님들께 질문 드립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해 피투투과도 실험을 하고자 합니다. 랩에서 동물실험은 안하는 방향으로 하려고 해서 인공피부 셀룰로오스 멤브레인 PB-M도 고려중이긴한데 원하는 drug에 대한 레퍼런스 찾기가 어려워서 질문드립니다. 1. diffusion cell 실험용으로 나온 연구용 돼지피부(porcine skin)만 구매해서 실험하려고 하는데 동물실험 허가를 받아야하나요? 2. 셀룰로오스 멤브레인 PB-M 이외에 다른 인공피부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최신 멤브레인이 아니여도 괜찮습니다. drug의 형광 이미지만 찍을 예정입니다.
2023.12.11
Q
안녕하세요. 오일에 대한 지질 구성성분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는데요. 현재 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은 알겠는데. 아래 두가지 항목은 어떤걸 의미하는지 잘모르겠어서요. 1. Mono-, di- and triglycerides 2. Ethyl esters 각각 어떤걸 의미하는지.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