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Q
안녕하세요! unknown compound가 뭔지 알아보기 위해서 EI/CI GC-HRMS를 해서 결과를 받았는데 대체 어떻게 알아내야 하는지 어려워서 질문을 남깁니다.. 지도교수님은 혼자서 알아내라고 하셔서 알아보는데 제가 잘 못 찾는건지 아무리 찾아봐도 원리만 나와있지 실제로 EI와 CI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서 알아내야 하는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ㅠㅠㅠ Amino acid 2개가 결합한 물질이라고 예상하고는 있어서 CI 값 중 제일 높게 나온 m/z에 맞춰가며 예상해보고 해당하는 EI m/z값 중에 비율이 높은 m/z값으로 fragmentation 되는지 하나하나 구조식 끊어보면서 하고있는데 이렇게 하는게 맞는걸까요..? CI m/z 제일 높은 값보다 EI m/z 값이 더 높은 것도 있어서 이런 경우에는 EI m/z 값 중에 제일 높은 숫자로 분자량을 예측해서 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EI m/z 값이 280 0.03 275 0.01 260 45 259 43 . . . 154 100 . . 70 68 이런 식일 때도 분자량이 280에 해당하는 물질이라고 생각하고 진행해야 하는걸까요?? 저는 0.03 같은 값은 거의 없다고 생각해서 260이라고 생각하고 분석했는데 교수님이 값이 낮다고 데이터 아니냐고 이렇게 하면 안된다고 하시는데 그럼 저의 23개의 분석 데이터가 대부분 제일 높은 값이 0.1이 채 넘는게 없어서 이렇게 하는게 맞나 싶어서요,,ㅜ 여러 분 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ㅜㅜ
2023.12.08
Q
안녕하세요. 천연항생물질을 가지고 디스크확산법으로 실험하게되었는데 학교 문이 잠겨있어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실험계획대로 3일 동안 배양하면 오늘이 3일 째라 꼭 결과 확인을 해야하는데 주말까지 학교 문이 잠겨있어 월요일에 확인해야하는 상황이네요. 월요일까지 배양하게 되면 총 6일동안 배양하게 되는데(포도상구균 배양한 배지 위에 종이디스크에 천연항생물질 떨어뜨린 상태. 항온기에 30도로 들어있습니다) 이렇게 오랫동안 놔두면 결과가 다르게 나오나요?
2023.12.08
Q
안녕하세요 제가 Lysozyme activity 측정 실험을 했는데 control의 OD와 60분간 반응시킨 OD만으로 activity를 구할 수 있는건가요? activity를 구하는 식을 잘 모르겠어
2023.12.08
Q
안녕하세요, 석사 1학년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이번에 논문보고 실험을 진행해야하는데 논문에 나와있는 프로토콜을 보고 시약을 만드는 중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찾아왔습니다 ㅠㅠ cellulase Onozukz R-10 1.5% macerozyme R-10 0.1% bovine serum albumin 0.1% 를계산하려하는데 mM 단위로 계산하는 방법은 알겠는데 %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ㅠㅠㅠ
2023.12.08
Q
180g 정도 되는 SD rat 한테 3가지 약물을 i.p injection해야하는데 total inject volume이 너무 과하지 않을까 걱정이라서 찾아보았는데, 보통 랫트의 경우 10cc/kg 이하가 되도록 i.p volume을 주도록 권장을 하더라구요. 180g이면 최대 1.8cc 정도인거 같은데, 3가지 약물 다 합치면 1cc 정도 들어갈거 같습니다. 이정도 볼륨이면 괜찮을까요? 랫트 핸들링 많이 해보신분들 있으시면 고견 부탁드립니다...ㅠㅠㅠ
2023.12.08
Q
현재 원하는 리셉터를 HEK293에 Transfection 후 특정 물질을 저농도/고농도로 Treat하여 나오는 칼슘신호를 Calcium assay로 관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사용하는 물질을 Treat했을 때 Transfection 유무에 관계없이 Control(Treat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칼슘신호가 지나치게 높게 나옵니다. 물질정보를 찾아보니까 인체에 독성이 있고 분자량이 약 1000g/mol로 타 물질들에 비해 높게 나오는데 독성과 분자량이 칼슘 신호에 영향을 주나요? 일단 다음 실험에 물질을 Sonication 해서 최대한 크기를 줄이라는 조언이 있었습니다. 다른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3.12.08
Q
가장 기초적인 질문일 수도 있지만, 질문 드립니다. 제가 DMEM과 DMEM/F-12를 사용하는 Skeletal muscle cell과 Hepatocyte를 이용하고 있는데, 미디어의 차이가 있어 어떤 걸 써야하는지. 혹은 같이 혼용해서 써도 무관한지 몰라 여기에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혹시, 미디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조건을 다 똑같이 하고 그 안에서 차이가 발생한다면. 이것 또한 의미가 있을지 몰라서요. 많이 부족하지만. 답변해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
2023.12.08
Q
안녕하세요 제가 발효제품을 관리하고 있는데요 평소 보이던 균이 아닌 다른 균이 확인되어 어떤 균인지 몰라 여쭙고 싶어 사진을 올려 봅니다. 사진상 효모 랑 간균 말고 ....브이자로 그리고 그물망으로 보이는게 어떤 균으로 보이는지 조언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12.08
Q
E.coli에 plasmid vector를 transformation하고 large scale수행 후 lysis를 하는데 Lysis방법이 3가지있다고 배웠습니다. Plasmid가 10kb이하면 lysis by boiling, lysis by alkali 방법을 사용하고 10kb이상이면 lysis by SDS방법을 사용한다는데 그럼 딱 plasmid 크기가 10kb인 경우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하나요? 세가지 방법 중 아무거나 사용가능한가요?
2023.12.08
Q
IMAC을 진행하고 SDS-PAGE 확인했을 땐 타겟 단백질과 더 가벼운 불순물들이 관찰되었습니다. 이후 SEC를 진행하고 다시 SDS-PAGE를 확인했는데 가벼운 밴드는 사라지고 더 무거운 밴드가 나오더라구요 SDS-PAGE 상에서는 단백질들이 다 형태를 잃어버리는 걸로 아는데, 어떻게 결합해서 더 무겁게 되었을까요? 아니면 제가 모르는 측면이 있을까요?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