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를 통해 여러분의 궁금증 및 지식을 자유롭게 나누어 주세요.
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 자세한 이용안내는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클릭).Q
안녕하세요. 현재 영어 논문 해석을 하고 있는데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이렇게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분광광도분석법 중에서 Auto-aggregation 과 Co-aggregation 가 나오는데 자동응집과 공동응집이 맞는 건가요? 관련 분석을 잘 몰라서 검색을 해보았는데 설명이 잘 나와있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 ..ㅠ 두 응집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2023.10.03
Q
안녕하세요. mutagenesis를 위한 PCR cycle 돌리고 dpn1 처리 한 후에 tranformation 을 해야하는데, transformation protocol 이 회사마다 다르게 쓰여있더라고요. 50ul CP cell에 Dpn1 처리한 DNA 1ul 만 넣고 transformation 하라는 것도 있고 50ul CP cell에 DNA 2ul 를 처리한것도 있고, 100ul CP cell 에 DNA 2ul 를 처리한것도 있던데 원래 이렇게 양이 큰 상관이 없나요?? 어느 protocol 에는 DNA 양을 늘려볼수는 있으나 4ul 는 넘지 말라는 말도 있더라고요. 그리고, DPN1 처리하고 나면 총 DNA total volume 이 51ul 가 되는데, 여기서 transformation 에 2~4ul 만 사용하고 나면 나머지 47~49ul 남은 산물은 4도 냉장고에 보관해두어도 재사용이 되는건지요??? DPN 처리 후라서 뭔가 달라지는가 싶어서요. 아시는분들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지나치지 않고 답변해주시는분들께 미리 감사드립니다. !
2023.10.03
Q
2023.10.03
Q
제가 알고 있던 것은 sds-page 후에 gel band 시각화 방법에는 크게 ponseau s, coomassie blue 가 있다. 1) coomassie blue는 용액 속 alcohol,acid 성분으로 인하여 gel에 protein이 고정되어 WB 분석을 계속 할 수 없다. 하지만 ponseau s는 gel에 protein이 고정되지 않아 WB 분석을 계속 할 수 있다. 이렇게 입니다. 하지만, 더 서치해 본 결과 2) coomassie dye 방법은 protein을 회수하여 질량분석방법이나, 서열분석이 가능하다고 나옵니다. 그래서 제 질문은 제가 서치한 내용인 1)과 2)가 맞는 말인지, 둘 다 맞다면 gel이 protein에 고정이 되어있는데 어떻게 질량분석과 서열분석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2023.10.03
Q
indirect ELISA 하실 때 다들 샘플 OD값- blank OD값(=항원을 코팅 안한 well에 대한 OD값)으로 사용하시나요? 아님 샘플 OD값만 사용하시나요?
2023.10.03
Q
미생물생육에 사용되는 배지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어 여쭤봅니다. 미생물 배지성분 중 탄소원과 질소원을 동시에 가열살균하면 안된다고 배웠는데 그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2023.10.03
Q
키트를 사용해서 Dna를 추출할때 proteinase 처리과정이 없으면 어떻게 되나요? 순도가 많이 낮아지나요?
2023.10.03
Q
안녕하세요. 유기화학실험에서 혼합물의 분리 실험를 합니다. 근데 6번 과정에서 왜 pH가 1일 될때까지 염산을 가해야 하는지, 그리고 왜 6M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10번 과정에서 왜 pH가 2,3 될때까지 염산을 가해야하는지, 왜 6M인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12번 과정에서 왜 pH가 8이 될때까지인지, 왜 4M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혹시 감압필터와 감압증류 차이점과 어떻게 하는지 아시는 분 있나요?? 제발 답변 부탁드려요ㅠㅠㅠ
2023.10.02
Q
안녕하세요. 실험을 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실험실 첫 학생이라 물어볼 곳이 없어서 여기에 남깁니다! qPCR을 하려고 cDNA(1ug) total 20ul를 합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pooling을 하였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A1+A2+A3=20+20+20=60ul B1+B2+B3=20+20+20=60ul C1+C2+C3=20+20+20=60ul 이렇게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각 10배 희석을 하려고 하는데요 이 부분 이 좀 헷갈려서요 1. 부피로 생각해서 or 합쳐진 cDNA농도(3ug)로 생각해서 540ul Water+60ul cDNA=600ul 2. 각각의 농도로만 생각해서 각(1ug) 140ul water+60ul cDNA=200ul 이 중 어떤걸로 생각해서 희석해야할지 헷갈립니다. 고수님들 어떻게 희석을 해야할까요 도와주세요ㅜㅜㅠ
2023.10.02
Q
화장품 개발 중에 있는데 해당 원료 구매가 가능한 업체가 있는지 알고 싶어서 글 올립니다. 테트라소듐파이로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데하이드로아세틱애씨드
2023.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