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Q
cDNA를 PCR하는데 F+T primer을 넣고 이게 GAPDH의 역할 한다고 적혀있는데 이 프라이머의 정식 명칭이 궁금합니다.
2023.12.09
Q
IMAC 진행 후 SDSPAGE 결과에선 타겟 밴드(진한 밴드) 아래 쪽으로 불순물들이 나오는데, IMAC 결과를 SEC 진행시킨 다음에 SDSPAGE시켰더니 타겟 밴드보다 더 무거운 쪽으로 나오네요; SDSPAGE 환경에선 단백질 결합 죄다 깨지는걸로 아는데.... 불순물들이 뭉친걸까요?
2023.12.09
Q
아래 사진에 첨부한 것이 저희 조에서 PCR 후에 제한효소 처리하고 전기영동을 내린 결과입니다. Blue colony는 3.0 kb에서 확인되었는데 White colony의 결과가 모두 달라서 해석이 어렵더라구요.. white 2는 3.0 : vector, 2.0 : insert 라고 추정했고 위쪽에 하나 밴드가 더 있는 것은 다른 단백질의 오염이거나 open circle이라고 추측해보았습니다. white 3 는 supercoiled 이라고 추정해보았는데 이 해석이 맞는 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white 1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3.12.09
Q
안녕하세요. 세포독성 실험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MTT assay에서 positive control에 처리할 drug solution 조제에 사용한 용매가 유기용매라서 독성을 보이는 경우 조제에 사용한 용매를 negative control 에 처리를 해줘야 할까요? 2. Blank로는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negative control well 그리고 세포가 없는 배지+drug 조제에 사용한 용매+MTT+DMSO well 이 맞을까요?
2023.12.09
Q
안녕하세요. 황색포도상구균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중입니다. 황색포도상구균 배양이 37도 정도인것은 알고 있는데 보관에 대해서는 찾아봐도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요. 균을 37도에 보관해도 되는 것인지요? 초보 연구자라서 고수님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ㅠㅠ
2023.12.09
Q
TOPO cloning의 개념을 공부하려고 하는데, TOPO cloning을 검색하면 TOPO TA cloning이 나와서요 TOPO cloning = TOPO TA cloning이 같은 개념인가요?
2023.12.09
Q
Immunoblot이 Immuno assay랑 같은 건가요? Immuno assay에는 ELISA랑 Western blot analysis가 대표적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Immunoblot이라고 검색하면 Western blot이 나와서요 Immunoblot = Immuno assay인가요? 아니면 Immunoblot = Western blot 인가요?
2023.12.09
Q
IEF-2DE가 제가 생각하기로는 Isoelectric focusing(IEF)와 two dimensional electrophoresis(2DE)인 것 같습니다만, 2DE 이 자체가 IEF랑 SDS-PAGE를 혼합해놓은 실험기법아닌가요? 저렇게 적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2023.12.09
Q
안녕하세요! unknown compound가 뭔지 알아보기 위해서 EI/CI GC-HRMS를 해서 결과를 받았는데 대체 어떻게 알아내야 하는지 어려워서 질문을 남깁니다.. 지도교수님은 혼자서 알아내라고 하셔서 알아보는데 제가 잘 못 찾는건지 아무리 찾아봐도 원리만 나와있지 실제로 EI와 CI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해서 알아내야 하는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ㅠㅠㅠ Amino acid 2개가 결합한 물질이라고 예상하고는 있어서 CI 값 중 제일 높게 나온 m/z에 맞춰가며 예상해보고 해당하는 EI m/z값 중에 비율이 높은 m/z값으로 fragmentation 되는지 하나하나 구조식 끊어보면서 하고있는데 이렇게 하는게 맞는걸까요..? CI m/z 제일 높은 값보다 EI m/z 값이 더 높은 것도 있어서 이런 경우에는 EI m/z 값 중에 제일 높은 숫자로 분자량을 예측해서 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EI m/z 값이 280 0.03 275 0.01 260 45 259 43 . . . 154 100 . . 70 68 이런 식일 때도 분자량이 280에 해당하는 물질이라고 생각하고 진행해야 하는걸까요?? 저는 0.03 같은 값은 거의 없다고 생각해서 260이라고 생각하고 분석했는데 교수님이 값이 낮다고 데이터 아니냐고 이렇게 하면 안된다고 하시는데 그럼 저의 23개의 분석 데이터가 대부분 제일 높은 값이 0.1이 채 넘는게 없어서 이렇게 하는게 맞나 싶어서요,,ㅜ 여러 분 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ㅜㅜ
2023.12.08
Q
안녕하세요. 천연항생물질을 가지고 디스크확산법으로 실험하게되었는데 학교 문이 잠겨있어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실험계획대로 3일 동안 배양하면 오늘이 3일 째라 꼭 결과 확인을 해야하는데 주말까지 학교 문이 잠겨있어 월요일에 확인해야하는 상황이네요. 월요일까지 배양하게 되면 총 6일동안 배양하게 되는데(포도상구균 배양한 배지 위에 종이디스크에 천연항생물질 떨어뜨린 상태. 항온기에 30도로 들어있습니다) 이렇게 오랫동안 놔두면 결과가 다르게 나오나요?
2023.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