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를 통해 여러분의 궁금증 및 지식을 자유롭게 나누어 주세요.
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 자세한 이용안내는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클릭).V
가장 사나운 실험 동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mouse계열을 많이 썼었는데 무조건 C57BL/6라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손을 엄청 물어뜯겼거든요ㅋ...
2023.09.21
Q
레포트를 써야하는데 실험에 대한 퀴즈를 내주셨거든요 근데 잘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ㅠ 실험은 SCR1, TKL2, REI1에 대한 cDNA를 합성하였고, glucose에서 키운 세포, glucose에서 galactose로 환경을 변화시킨 세포에서 합성하였어요. 그리고 pcr하여 증폭 곡선을 보고 비교하는 건데 퀴즈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거라서ㅜ 퀴즈 문제는 이랗게 실험을 하였을 때, 만약 전혀 다른 유전자인 ‘HXT5’에 대한 real time PCR을 진행할 경우에는 어떤 실험결과가 나올지 쓰시오예요. 제가 생각한 거는 애초에 SCR1, TKL2, REI1 세 유전자에 대한 cDNA만 합성되니까 리얼타임 pcr 결과가 증폭되지 않고 계속 baseline에 머물러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데 어떤가요?ㅠ
2023.09.26
Q
Promega NADP/NADPH assay (G9081)에서 total nadp+ nadph 측정하려고 하는데 그냥 luminometer로 찍으란 말만 나와있어서요 발광은 파장대를 따로 지정하지 않아도 측정이 되나요??
2023.09.26
Q
우유에 LAB(박테리오신 생성균주 포함)와 타겟물질을 함께 접종하여 발효유를 제조한 후 이 발효유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기초 단계라 실험이 전부 확정되진 않았지만 항산화, 항균, 항염증 실험을 계획 중에 있습니다.) 균주 접종 후 37도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발효 후, serial dilution을 통해 생균수를 측정하고 남은 시료는 원심분리 시켜 상등액만을 취해 -80도 딥프리저에 보관하며 각 실험 때마다 하나씩 해동하여 사용하려고 합니다. <질문입니다> 1. 보관 시, syringe filtering은 필수적인 과정인지와 0.45 / 0.2 필터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한지 궁금합니다. 2. 상등액의 pH를 6.5~7.5 정도의 중성으로 맞춰줘야 한다는 내용을 봤는데 특정 실험에서만 해당되는 내용인건지와, (항균 실험에서는 맞춰줘야 하는거 같은데 항산화나 항염증 등에서도 적용이 되는지요) 꼭 맞춰야 한다면 pH를 애초에 맞추고 동결보관을 해야하는 것인지, 보관은 그대로 하되 실험을 위해 해동했을 때 pH를 맞추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처음부터 혼자 배워가고 있어서 모르는 것이 많네요 ㅠㅠ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09.26
Q
안녕하세요. 펩타이드 물질 정제 중 그레디언트 메서드 사용 중 베이스라인이 계속 뜨네요... 조건 컬럼 YMC-triart C18(250*4.6mm) 온도 25도 유속 0.5ml/min 이동상 A : Water(0.1%TFA) B : ACN(0.1%TFA) B(0~30min 0-70%) 샘플인젝션량 10ul(2mg/ml) 기기 Agilent 1100 series 조건은 이렇게 됩니다. 10min 정도까지는 잠잠하다가 12min쯤 부터 급격하게 베이스라인이 떠버립니다. 흡광도값은 100~300mAU 사이로 올라갑니당... YMC 컬럼회사에 문의를 넣어서 이동상 B제조시 소니케이트(탈기)를 할 시에 TFA를 넣고 해서 그렇다고 하기에 다시 제조하여서 실행해도.. 같은 샘플을 가지고 실행할 때 나오던 피크들 RT값은 동일하게 측정이 되는데... 베이스라인이 떠버려서 어떻게 해야할까요...
2023.09.25
Q
아래 두 항체로 conjugated antibody 조합 가능한지 확인부탁드려요. 1. PE Mouse Anti-Human A 2. FITC Mouse anti-Human B 원래 1차, 2차 따로 붙일 때 두개 항체를 쓸 경우 host를 다르게 해야 안겹치는건 알겠는데 2차 형광 항체가 conjugation이 될 경우는 서로 같은 host여도 상관이 없나요?
2023.09.25
Q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Human HCC tissue 조직으로 IF 진행중에 있는데, OCT를 이용해 Fresh Frozen sectioning을 진행하였고, 5um로 slice하여, Fisher brand의 superfrost plus microscope Slids(Cat : 22-037-246)에다가 붙여서 RT에서 30분간 Dry한 후에 바로 Primary Staining을 진행하였습니다. 이과정에서 drying할때까지는 조직이 slide에 잘 붙어있는데, Primary Staining을 하려고 Pap pen을 그은구획의 가운데에 직접 Antibody mixture를 뿌렸는데요, 뿌리면서 조직이 slide에서 분리되어 solution위에 뜨는 경우가 다수 있습니다. Drying 시간이 너무 짧아서 일까요? 아니면 Slide 종류를 바꾸는 것이 좋을까요? 다른 문제가 있을까요?
2023.09.25
Q
전용 광학기기가 없어서 cell 실험용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사용중이에요 (skanlt) 시험은 비색법이구요, cape cod chromo lal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찌저찌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 돌려서 그래프는 그렸는데 사실 이게 맞는지도 잘 모르겠고,,^^...이걸 엑셀에서 정리해야하는데 첨부터 확신이 없다보니 뒷단계도 못하겠어요ㅜㅜ구매처에 물어보는게 빠르긴한데 지금 회사가 망해버려가지고 대납을 못하고 있어서..ㅠㅠㅠㅠㅠ엎친데 덮친격입니다..개인적으로 사례할테니 봐주실 분 계실까요..?ㅠㅠㅠ
2023.09.25
Q
westernblot 시에 band가 사진처럼 번진듯이 나오는 이유는 뭘까요? (맨 밑 줄 band) 특정 단백질 볼 때만 저렇게 나와서 1차 antibody 문제인줄 알았는데 또 어떨때는 멀쩡히 나오더라구요. 저희 실험실에서 주로 보는 단백질이라 저렇게 랜덤으로 나오면 곤란한데 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이 있으면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2023.09.25
Q
단백질 정량실험에서 분광광도계 돌린 그래프 결과가 이론대로 잘 나왔었는데 엑셀 파일로 받고 다시 그래프로 만드니 아래처럼 다른 값이 나와오네요ㅠㅠ 어디서 잘못된건지 알고싶습니다.
2023.09.25
Q
안녕하세요 저희 실험실에서 현재 지방간염에 대해 실험하고 있는데 HepG2를 사용하여 PA를 자극원으로 확인중입니다. 그런데 항상 실험결과가 일정하지 않고 불안정합니다ㅜㅜ 혹시 cell culture 방법이 잘못인건지 확인부탁드립니다. dmem 10% FBS, 1% PS (low glucose)로 키우고 있고 washing은 dmem 0% FBS (low glucose)로 2~3일 주기 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다른 분들을 보니 DMEM high glocose로 키우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 때문인걸까요?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ㅜㅜ
2023.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