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를 통해 여러분의 궁금증 및 지식을 자유롭게 나누어 주세요.
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 자세한 이용안내는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클릭).Q
안녕하세요. 유기화학실험에서 혼합물의 분리 실험를 합니다. 근데 6번 과정에서 왜 pH가 1일 될때까지 염산을 가해야 하는지, 그리고 왜 6M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10번 과정에서 왜 pH가 2,3 될때까지 염산을 가해야하는지, 왜 6M인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12번 과정에서 왜 pH가 8이 될때까지인지, 왜 4M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혹시 감압필터와 감압증류 차이점과 어떻게 하는지 아시는 분 있나요?? 제발 답변 부탁드려요ㅠㅠㅠ
2023.10.02
Q
안녕하세요. 실험을 하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실험실 첫 학생이라 물어볼 곳이 없어서 여기에 남깁니다! qPCR을 하려고 cDNA(1ug) total 20ul를 합성하였습니다. 그 다음에 pooling을 하였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A1+A2+A3=20+20+20=60ul B1+B2+B3=20+20+20=60ul C1+C2+C3=20+20+20=60ul 이렇게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각 10배 희석을 하려고 하는데요 이 부분 이 좀 헷갈려서요 1. 부피로 생각해서 or 합쳐진 cDNA농도(3ug)로 생각해서 540ul Water+60ul cDNA=600ul 2. 각각의 농도로만 생각해서 각(1ug) 140ul water+60ul cDNA=200ul 이 중 어떤걸로 생각해서 희석해야할지 헷갈립니다. 고수님들 어떻게 희석을 해야할까요 도와주세요ㅜㅜㅠ
2023.10.02
Q
화장품 개발 중에 있는데 해당 원료 구매가 가능한 업체가 있는지 알고 싶어서 글 올립니다. 테트라소듐파이로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데하이드로아세틱애씨드
2023.10.02
Q
안녕하세요 미생물 실험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글리세롤+균주 배양액 스탁을 딥프리저에 보관하며 사용 중입니다. 실험 방법이 맞는지 여쭤보고자 글 올립니다. 틀린 부분이 있으면 지적 부탁드려요 실험 시에 균주 배양 방법 1. 동결건조 스탁을 녹인 후 루프를 이용해 고체배지에 스트리킹하여 48시간 배양 (24시간 키워서 잘 자라면 24시간만 하기도 하는데 시간을 하나로 고정해야 할까요..?) 2. 고체배지에서 싱글 콜로니 따서 액체배지 10 mL에 풀어서 24시간 배양 3. 위 배양액을 본실험에 사용 - 위 방법이 맞다면 스트리킹한 배지를 바로 버리지 않고 파라필름을 감아 냉장보관한 다음 실험 시 액체배양 할 때 또 사용해도 되는지, 된다면 보관기간은 얼마나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2023.10.02
Q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회사에서 첫 업무를 charactorization을 하게 된 신입입니다. 동물 실험만 주로 해서 투여 물질에 대한 charactorization은 처음 하게 되었는데요.. liposome을 NTA로 charactorization할 때, 확인해야 될 요소들과 FDA guidance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DLS로는 "PDI가 0.3 이하" 라는 FDA guidance를 확인하였지만, NTA는 제가 찾아 본 논문 상에서 지침 사항이 없었습니다. 관련 논문도 좋습니다. 제가 놓친 부분을 말씀해주실 선배님들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10.02
Q
이번에 DiOC6를 이용해서 확인해야될게 있는데 FACS 기계에서 히스토그램 겹치는법을 모르겠습니다.. 다른 논문에서는 겹쳐서 figure로 올리던데 어떻게 했다고는 안써있어가지고요 그림처럼 두가지를 측정하고 겹쳐서 상대적으로 비교를 해볼려고 하는데 그럴려면 이 FACS 데이터를 가지고 Flowjo를 이용해야되는걸까요??
2023.10.02
Q
사진 첨부했습니다. 1ml 항생제 액체 배지에 하루동안 배양을 했는데 plasmid를 뽑을 려고 cell down을 하니 균이 모아지지 않고 풀어지며 pellet화가 되지 않아 DNA를 뽑을 수 가 없습니다. 이런 경험이 있으신 분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3.10.01
Q
석사 1학년.. 초보자 입니다. 현재 제가 하고 있는 실험은 vector와 insert를 ligation 하고 E.coli Transformation 하고 있습니다. 모든 균은 다 stock에서 새로 긁어 와서 키웠고 오염도 없었고 DNA 농도나 순도 확인, 전기 영동 확인 후 ligation을 진행하였고 제가 쓰는 competent cell은 DB.1인데 electroporation을 진행하여 Transformation을 하였습니다. 후에 뜨는 colony를 1ml 항생제 액체 배지에 하루 동안 키웠고 plasmid를 뽑는데 cell down 하면 균이 모아지지 않고 풀어집니다. 그 다음 스텝을 진행할 수 가 없습니다. 액체 배지, enzyme, buffer다 오염은 없었습니다. insert만 다를 뿐 같은 실험을 하는 선배는 아무 문제없이 잘만 되고요.. 그 선배랑 디스커션 해도 도통 문제를 모르겠습니다. plasmid isolation 실험에서 cell down 시 균이 모아지지 않고 풀어지는 현상, 원인이 무엇인가요? 연휴 내내 실험실에 나와서 하는데 죽을 것 같습니다. 도와주세요
2023.10.01
Q
안녕하세요, 현재 PCR primer를 디자인 해주는 툴을 제작 중인데, 궁금한 점이 생겨 글 남겨봅니다. 0. 보통 primer를 디자인 할 때 GC의 비율을 50% 내외로 하고 대략 65%를 넘어서지 않도록 디자인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혹시 이건 도저히 못 쓰겠다 싶은 GC 비율의 상한선과 하한선이 있을까요? 1. 이건 약간 별개의 질문이긴 합니다만, 보통 한 쌍의 primer를 디자인하는데 몇 번 정도의 시도를 거치시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2023.10.01
Q
안녕하세요 실험하다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려요 qPCR을 하다가 보면 1. 샘플 별로 형광값이 다르게 나오는것은 피씨알 프라이머나 프로브가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 발생하는건가요? 튜브 색깔에 의해서 형광값이 다르거 나올수 있나요? 2. NTC에서 38사이클 근처에서 마지막에 조금 올라오는것은 오염 이라고 봐야 할까요? 다른원인이 있을까요? 안나오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궁금한게 많은 초보자 입니다 많은 답변부탁드립니다 고수님들!!
202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