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를 통해 여러분의 궁금증 및 지식을 자유롭게 나누어 주세요.
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 자세한 이용안내는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클릭).V
가장 사나운 실험 동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mouse계열을 많이 썼었는데 무조건 C57BL/6라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손을 엄청 물어뜯겼거든요ㅋ...
2023.09.21
Q
안녕하세요. 현재 석사과정 중인 대학원생입니다. Liposome 합성 과정에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저희 랩에서 관련 연구를 하는건 처음이라 주변에 물어볼 곳도 없고 배경 지식이 부족합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릴게요 ! Liposomal formulations were prepared by the thin film hydratation method [25] with some modifications. Briefly, DOPA, DLPC, Chol, Cholesteryl and Chol-PEG600 were dissolved in chloroform solutions (100 mg/ml) and mixed at the desired molar ratios (Table 1). 논문의 M&M 부분입니다. 저는 Table에 있는 NL2,n 비율로 합성하고자 하는데, 몰비 계산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몇 g씩 넣어야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2023.09.22
Q
안녕하세요. 학구연구생 4개월차 초보입니다… 바이러스의 부분 시퀀싱을 위해 바이러스의 RNA prep 후 cDNA 합성하고 primer 이용해서 PCR하고 전기영동으로 밴드까지 확인했습니다. 전기영동 후에 타겟 밴드만 잘라서 시퀀싱 업체에 의뢰하여 결과를 받았습니다. 두개의 밴드에 대해 F primer, R primer 로 각각 읽어 총 4개의 결과를 받았습니다. 근데 하나의 밴드에서는 결과가 잘 나왔지만, 나머지 한 개 밴드의 결과가 아예 다르게 나왔습니다. 블라스트를 돌리면 바이러스가 아닌 호모 사피엔스의 BAC이 나옵니다. 사용한 primer를 나온 호모사피엔스 BAC 시퀀스에 스냅진으로 붙여보았는데 F primer는 붙지 않았고 R primer는 약간의 미스가 있지만 붙었습니다…(바이러스 시퀀스에는 F,R 둘 다 미스없이 다 붙습니다)Primer는 논문에서 사용했던 정보를 가지고 사용했습니다. 유전자 형질전환이나 다른 실험은 하지 않았고 Vero cell에 infection 후 CPE 확인했습니다. 같은 시료에서 진행한 결과가 다르게 나와서 시료의 문제는 아닐거라고 생각되는데… 시퀀싱의 문제일 가능성이 큰가요? 아니면 보낸 타겟 밴드 겔의 오염 때문일까요?
2023.09.22
Q
안녕하세요:) 제한효소 실험을 하는데 DNA 10배 희석하는 과정을 놓쳤어요… DNA가 1마이크로그램이 아니라 10마이크로그램으로 되어버렸는데 전기영동 할 수 있을까요?
2023.09.22
Q
안녕하세요. 연구실에서 AGS 세포주를 이용해서 염증성 지표 확인(NO assay)을 하고 있습니다. 실험법은 RAW264.7 세포주에서와 하던 것과 같이 일반적인 NO assay를 하고 있는데 AGS 세포주에 TNF-a를 이용해서 염증유도(IL-8 검출)는 되지만, NO asaay를 했을 때 NO 변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AGS 세포주에서 NO assay를 한 참고문헌도 꽤 있어서 참고하고는 있는데 RAW264.7 세포주와는 달리 AGS 세포주에서 NO assay를 할 때 특별히 주의해야할 것이 있을까요? 맞는지 틀리는지는 모르지만 AGS 세포주에서는 NO assay 하는게 아니다, 라는 의견도 주위에 있는데 이게 맞는걸까요? 여러 선배님들의 따뜻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09.22
Q
안녕하세요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해서 이렇게 질문을 올려 봅니다 GFP와 같이 tag 사이즈가 큰거를 transfection을 진행 하였을떄 위로 밴드가 생기는거는 당연한데 원래 본사이즈에 나오는 밴드도 mock에 비해서 발현양이 증가하게 나오는데 이게 가능한걸까요? 아님 제가 먼가 실험을 잘못하고 있는게 있을까요?
2023.09.22
Q
안녕하세요.. 황색포도상구균의 증식량과 독소 생성량을 측정하는 실험을 계획, 진행중에 있습니다. 균의 독소 검출법은 pcr 하여 유전자 검출하는 방법으로 결정했는데 독소 생성량 측정이 문제네요.. 1. microslide gel double diffusion test 2. RPLA test kit 이렇게 두가지로 알아봤는데 정량실험의 자세한 방법을 찾기가 어렵네요ㅠㅠ 독소 생성량 측정법에 또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HPLC 등..) 도와주세요...
2023.09.22
Q
hippocampus에서 neuron 분석 중인데 Image J를 통해서 sholl analysis 중입니다. 근데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Inter. 값이 자꾸 소수점이 나오네요.. 구글 검색해도 잘 모르겠는데 소수점 안나오게 어떻게 설정하나요? 사람 하나 살리는 셈 치고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2023.09.22
Q
안녕하세요. Protein A affinity를 이용한 antibody 정제 시 통상적으로 low pH (acidic) 에서 protein A와 IgG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이용하여 elution을 하는데요. 이 원리가 중성이 아닌 pH에서의 약한 결합력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면 basic한 pH에서도 elution이 가능할까요? 혹은 해당 사례가 있을까요? 검색을 해보았는데 reference를 찾기 힘들어 질문을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09.22
Q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농도 질문 드려요. 총 볼륨 1mL 속 a분말 22.5% b분말 7% c분말 4% 의 농도로 solution을 만들고싶은데 이럴때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1.제가 기존에 하던 방법은 a분말 225mg,b분말 70mg, c분말 40mg 을 모두 섞고 물 1ml을 첨가하였으나, 총 부피가 1mL을 넘어 문제입니다. 2.각각의 분말마다 stock을 제조하여 final con에 맞게 제조하고싶으나 분말들의 용해도가 떨어져 stock 제조에 한계가있고, 만든다치더라도 총 볼ㄹ륨1ml이 넘어갑니다… 3.그래서 생각한게 1번 방법처럼 하되, 물을 1ml 넣지말고 1ml 눈금선에 맞춰 넣으면 어떨까하는 의견입니다. 도와주세요ㅠㅠ
2023.09.22
Q
안녕하세요 조직을 Cryosectioning후 slide에 붙이고 나서 Staining을 진행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Dako mounsting solution을 올리는데 조직이 눈에 안보이게 투명해지는데 해결방법을 알고 계시는 분이 있을까요? Human tumor tissue이고, Slice두께는 5um 입니다.
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