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를 통해 여러분의 궁금증 및 지식을 자유롭게 나누어 주세요.
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 자세한 이용안내는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클릭).V
가장 사나운 실험 동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mouse계열을 많이 썼었는데 무조건 C57BL/6라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손을 엄청 물어뜯겼거든요ㅋ...
2023.09.21
Q
안녕하세요, 석사과정으로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연구하고 있는 A라는 gene의 transcription factor들을 알아보고 싶은데 transcription factor finder tool이 있다고 하여 수소문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구글링 할수록 trasnscription factor motif finder 밖에 찾을 수가 없네요.. 저는 motif말고 그 motif에 붙는 transcription factor을 알고 싶은데 혹시 괜찮은 tool 아시는 분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2023.09.24
Q
웨스턴 도중 봐야하는 단백질 크기가 천차만별이라 부득이하게 젤을 8장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이제 석사 입학한 지 한 달도 안돼서 단백질 12개를 한 번에 보는 게 처음이라 제가 세운 계획이 맞을 지 확인받고 싶어 글을 남깁니다! 196kDa, 110kDa, 84kDa -> 6% gel, 80v (run), 90v 100min (transfer) 11~27kDa -> 15% gel, 60v (run), 100v 60min (transfer) 33~43kDa -> 12% gel, 60v (run), 100v 60min (transfer) gel은 모두 1.0mm이고 단백질은 웰당 15씩 걸었습니다 크기가 10kDa 대의 작은 단백질을 보는 것이 처음이기도 하고 15% gel을 이용하는 건 처음이라 이렇게 디자인해보았는데, 트랜스퍼 시간이 너무 긴 건 아닐까, 전압이 너무 높은 건 아닐까 고민이 되네요 랩에서 아예 처음 보는 단백질이라 아직 단백질 양과 같은 트러블 슈팅이 한 번도 행해진 적이 없어 더 긴장입니다ㅠㅠ 냉정한 조언과 지적 부탁드리겠습니다!!
2023.09.24
Q
본 글은 [2023.09.24 17:29] 관리자에 의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2023.09.24
Q
미생물의 식물 생육 증진능에 관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 논문에 biofilm 형성에 관련한 내용도 추가해보고 싶어서 실험방법을 공부했는데 대부분 97well과 같은 microplate를 활용해 microplate reader에 넣어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 같더라구요.. 하지만.. 저희 실험실에는 UV-spectrophotometer는 있지만 microplate reader는 없습니다.. 실험 방법을 보니 멸균 환경에서 키울 수만 있으면 microplate에 키우든 1ml cuvette에 키우든 결과값을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혹시 실험을 해보신 분들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09.24
Q
카페인을 물벼룩에게 먹이고 심장박동을 관찰하는 실험을 했는데 카페인이 심장박동을 빠르게 한다는 제 가설대로라면 카페인 함량이 높아질수록 물벼룩의 심장이 더 빨리 뛰어야됩니다. 하지만 실험을 진행 했을 때 오히려 카페인 투여 전보다 느려진 물벼룩들이 다수 있는데 이건 왜 이런걸까요...
2023.09.24
Q
DMEM에서 키우던 세포를 RPMI로 키우고 있는데, 천천히 적응 하려고 계대할 때 9:1, 8:2, 6:4, 4:6, 2:8로 다섯번 계대 후에 RPMI로 100% 계대 해도 되나요??
2023.09.23
Q
프리징한 셀을 실온에 조금 방치를 해버렸습니다. 뒤늦게 발견하고 보니까 녹기는 다 녹았는데 안에 있는 셀이 다 죽었을까요?..
2023.09.23
Q
안녕하세요 이번에 미생물학 실험을 처음하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바실러스균 Streaking실험을 했는데 제가 한게 잘 된것이지 잘 못된것인지 구분이 안되서 질문드려요 만약 잘 못된 실험결과라면 왜 잘 못된건인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ㅠ
2023.09.23
Q
PCR 시료 만들 때 D.W가 들어간다고 아는데 이번 실험에선 TE buffer+세균 세포+lysozyme 이 섞인 sample 22 ul(세포를 파괴한 것) 과 Go Tag master mix(Tag+NTP)-2X 희석 시킬 수 있는 용액-25 ul 그리고 27F,149R 각 각 1.5 ul total volume 50 ul인 시료를 만들었습니다. D.W가 안 들어가도 되는 건가요? 그리고 Go Tag master mix에 대해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예를 들면 nX 희석 시킬 수 있는 용액?이면 먼저 total volume 기준으로 정하고 primer 과 sample 양을 결정하는 건지... 왜 primer가 각각 1.5 ul가 들어가고 sample은 22 ul인지... Go Tag master mix가 정확히 뭔지... 정보를 찾는데 없네요 흑흑
2023.09.23
Q
e.coli를 agar에 도말하여 agar disk diffusion test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현재 e.coli stock이 냉동 보관되어 있는데, e.coli stock을 녹여서 LB 액체 배지에 배양한 후, agar plate에 도말하는 게 맞나요?? 아니면 녹인 e.coli stock을 배지에 streaking하고 colony따서 액체배지 배양을 하고 사용해야 하나요?
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