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Q
안녕하세요 제가 발효제품을 관리하고 있는데요 평소 보이던 균이 아닌 다른 균이 확인되어 어떤 균인지 몰라 여쭙고 싶어 사진을 올려 봅니다. 사진상 효모 랑 간균 말고 ....브이자로 그리고 그물망으로 보이는게 어떤 균으로 보이는지 조언 요청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12.08
Q
E.coli에 plasmid vector를 transformation하고 large scale수행 후 lysis를 하는데 Lysis방법이 3가지있다고 배웠습니다. Plasmid가 10kb이하면 lysis by boiling, lysis by alkali 방법을 사용하고 10kb이상이면 lysis by SDS방법을 사용한다는데 그럼 딱 plasmid 크기가 10kb인 경우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하나요? 세가지 방법 중 아무거나 사용가능한가요?
2023.12.08
Q
IMAC을 진행하고 SDS-PAGE 확인했을 땐 타겟 단백질과 더 가벼운 불순물들이 관찰되었습니다. 이후 SEC를 진행하고 다시 SDS-PAGE를 확인했는데 가벼운 밴드는 사라지고 더 무거운 밴드가 나오더라구요 SDS-PAGE 상에서는 단백질들이 다 형태를 잃어버리는 걸로 아는데, 어떻게 결합해서 더 무겁게 되었을까요? 아니면 제가 모르는 측면이 있을까요?
2023.12.08
Q
plasmid mini prep 중에 solution 1, 2까지는 별 문제 없이 진행했었습니다. solution 3을 넣고 나서 cfg를 돌리고 나니, 평소 같았으면 pellet이 보이고 맑은 상층액이 보여야 하는데 pellet은 보이는데 상층액이 좀 탁했습니다. 뿌옇다고 해야하나. 그리고 뭔가 짜잘하게 떠다니는 것도 조금 보였구요. 일단 급해서 상층액을 column에 넣고 뒷 과정을 모두 진행했을 때 마지막 elution까지 하고 놓고 보니 물처럼 투명하더군요. 그래서 괜찮을 것 같아서 정량을 해보니 농도는 나쁘지 않고 260/280도 1.87이 나와서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 정말 괜찮을까요? 혹시 뭣 때문에 solution 3넣고 난 후에 뿌옇게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2023.12.08
Q
안녕하세요! 초짜 연구생입니다 이번에 조직으로 만든 western 샘플에서 자꾸 액틴이 triple band로 뜨는데 어디에서 문제가 있었던 걸까요?
2023.12.08
Q
안녕하세요, 마우스 실험중입니다. 마우스 혈액 채취 후 분석의뢰를 맡기려 하는데, 저희는 항상 헤파린 처리하였는데 업체쪽에서 헤파린 말고 EDTA처리를 해달라고 하였습니다. EDTA는 한번도 해보지 않아서 알아보는 중인데, 시그마에도 너무 많은 EDTA가 있고 또 solution은 어떻게 만드는지 혼란이 와서 혹시 plasma 분리를 위한 EDTA solution 만드는 것을 해보신 분이 계시다면 정보를 여쭤보고 싶습니다..!!
2023.12.07
Q
SIRC cell 로 실험을 하고자 thawing을 했는데 24시간 후에도 cell이 붙지 않고 떠있습니다. SIRC cell 은 ATCC의 CCL-60이고 배지는 EMEM 에 10%FBS와 penicillin, streptomycin 넣어주었습니다. product sheet에 있는 내용대로 진행했는데 cell이 붙지 않아 어느 지점에서 문제가 있는건지 파악이 안돼 질문 드립니다. SIRC cell은 보통 부착해서 자라는데 얼마나 걸리나요?? 24시간 후에도 부착되지 않았다면 죽었다고 보는게 맞을까요??
2023.12.07
Q
제목이 곧 내용입니다. 왜 자꾸 compound와 LPS 모두 처리하지 않은 군(빨간 박스)에서 phospho form ab가 detection이 될까요... 그냥 cell activation 문제로 봐야 되나요? 참고로 저는 microglia 항염 실험 진행 중입니다.
2023.12.07
Q
안녕하세요? 제가 2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트랜스퍼 멤브레인 차이가 결과에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2. 비가역적 단백질이 무엇을 의미하나요? 1. 질문 트랜스퍼에 사용되는 멤브레인에는 크게 3가지가 있는 것으로 압니다. 1)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2) PVDF 멤브레인 3) 나일론 멤브레인 해당 멤브레인들은 서로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멤브레인별로 결과 값에 큰 영향이 있는지, 어떤 경우 반드시 해당 멤브레인만 사용해야 한다! 등의 경우가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 질문 https://www.thermofisher.com/kr/ko/home/life-science/protein-biology/protein-biology-learning-center/protein-biology-resource-library/pierce-protein-methods/western-blot-transfer-methods.html 을 참고하면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설명에서 '비가역적 단백질'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구글링을 해봐도 해당 용어에 대한 내용을 제대로 찾지 못하여 여기에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3.12.07
Q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분리 후 추출 버퍼를 너무 많이 넣어서 농도가 많이 낮아진 상태입니다.. 혹시 ultracentrifuge나 이런 방법으로 농축하는 방법이 있나요? 찾아봤을 때는 amicon?이라는 제품을 이용하는 것 같은데 특정 size가 아닌 전체적인 농축 과정이 필요합니다..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