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Q&A는 연구 활동 중 생겨난 궁금증을 지식 나눔을 통해 해소하고 함께 성장하는 공간입니다.
Q
안녕하세요, 이제 막 실험이 익숙해지기 시작한 석사생입니다. 제가 세포에 약물을 처리해서 얼마의 시간 동안 약물 효능이 유지되는지에 대한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실험은 약을 치기 하루 전날 cell을 깔아놓고 시간별로 media에 약물을 희석하여 기존의 media를 전부 제거하고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현재 12 well plate에 total 1 ml로 cell을 깔아놓았습니다. 96시간까지 시간을 봤으면 좋겠다고 하시는데, 이렇게 되면 중간에 배지를 교체해주어야할텐데.. 96시간이면 4일의 시간이라 media를 무조건 한 번은 바꿔주어야할텐데, 그렇다면 처음에 약물을 처리할 때처럼 모든 media를 제거하고 약물이 희석된 media를 넣어주어야할까요? 아니면 기존의 media에 동일한 약물 농도의 media를 넣어주어야할까요? 아니면 media change를 안하실까요? 간절히 도움 부탁드립니다..
2023.12.11
Q
두유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데 발효 전 멸균을 위해 121도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를 돌립니다. 질문 1 그런데 자꾸 용기 밖으로 넘쳐서 곤란한데 대체 이유가 뭘까요 ㅠ 1 L짜리 병에 600 mL 넣었는데 평소에는 1L 병에 800 넣고 Peptone water 오토 돌릴 때도 넘친 적이 없는데 얘만 자꾸 이러네요...ㅠㅠㅠ 질문2 넘친 것 이외에 병 안에 남아 있는 내용물은 멸균되었으니 그냥 사용해도 될까요?
2023.12.11
Q
안녕하세요.. 초보 대학원생입니다.. 제가 아세톤 피피티할 때 cell lysate에 acetone 5-6배 볼륨 되도록 넣어주고 -20'C에서 오버나잇 해야되는데 실수로 30분정도 37'C에서 incubation 을 시켜버렸습니다.. 괜찮을까요? 찾아봤을 때 acetone 37'C 등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괜찮은지 다시해야되는지 고민이네요.. ㅜ ㅜ sample 은 cell lysate(8M Urea+protease inhibitor+phosphatase inhibitor+20mM NaBH4)의 조성으로 있습니다.. 흐어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2023.12.11
Q
안녕하세요 Facs관련해서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항상 FITC 와 PE 처럼 겹치는 부분이 많고 excitation 이 같은 (488 레이저)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compensation을 해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생긴의문은 레이저가 다르고 필터가 같다면 compensation은 필요한지요? 예를들어 apc와 perCP는 현재 제가 쓰는기계에서는 같은 필터를 사용합니다 제가 헷갈리는 이유는 짧은순간 488레이저로 쏘고 필터에서 PerCP를 읽고 / 637 레이저를 쏘고 APC를 기계가 각각 따로 인식할수있는건지, 아니면 같은 필터에 받아들이는 신호를 APC PerCP 구분없이 받아들이는 건지 궁금합니다 두서없게 적은것같지만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2023.12.10
Q
안녕하세요? 미생물공학 전공하는 대학원생입니다. 벡터를 제한효소로 double cut하여 target gene을 ligation으로 insertion하고자 합니다. 질문드릴 내용은 벡터를 double cut할 때, 두 효소간의 거리를 고려해야하는지가 궁급합니다. 현재 PstI, BamHI으로 double cut하고자하며, 두 효소 위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ctgcagatggatcc (ctgcag: pstI site, ggatcc: bamHI site) - "at"서열을 사이로 양쪽에 위치 지금까지는 통상 내부 서열을 제거하기 위해, 내부 서열 길이만큼 [예) 100 bp] 두 효소 위치가 서로 떨어져있었는데, 이번에는 두 enzyme site 사이에 유전자를 삽입하는 목적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벡터를 double cut할 때, 두 enzyme site간의 거리를 고려해야하는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추가하여 유전자 도입하고자 하는 위치에, pstI, bamHI site 밖에 없어서, 다른 enzyme site를 선택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2023.12.10
Q
IPTG에 대해 알고 싶어 질문해보았습니다. IPTG에 의해 GST가 과대발현 된다고 하는데 그러면 IPTG가 없는 대장균 배지에서는 GST가 발현되지 않는 것입니까? Tag promoter가 IPTG와 결합되서 발현되어 GST가 발현된다고 이해를 했는데 잘 몰르겠어 질문남겨봅니다.
2023.12.09
Q
cDNA를 PCR하는데 F+T primer을 넣고 이게 GAPDH의 역할 한다고 적혀있는데 이 프라이머의 정식 명칭이 궁금합니다.
2023.12.09
Q
IMAC 진행 후 SDSPAGE 결과에선 타겟 밴드(진한 밴드) 아래 쪽으로 불순물들이 나오는데, IMAC 결과를 SEC 진행시킨 다음에 SDSPAGE시켰더니 타겟 밴드보다 더 무거운 쪽으로 나오네요; SDSPAGE 환경에선 단백질 결합 죄다 깨지는걸로 아는데.... 불순물들이 뭉친걸까요?
2023.12.09
Q
아래 사진에 첨부한 것이 저희 조에서 PCR 후에 제한효소 처리하고 전기영동을 내린 결과입니다. Blue colony는 3.0 kb에서 확인되었는데 White colony의 결과가 모두 달라서 해석이 어렵더라구요.. white 2는 3.0 : vector, 2.0 : insert 라고 추정했고 위쪽에 하나 밴드가 더 있는 것은 다른 단백질의 오염이거나 open circle이라고 추측해보았습니다. white 3 는 supercoiled 이라고 추정해보았는데 이 해석이 맞는 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white 1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3.12.09
Q
안녕하세요. 세포독성 실험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MTT assay에서 positive control에 처리할 drug solution 조제에 사용한 용매가 유기용매라서 독성을 보이는 경우 조제에 사용한 용매를 negative control 에 처리를 해줘야 할까요? 2. Blank로는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negative control well 그리고 세포가 없는 배지+drug 조제에 사용한 용매+MTT+DMSO well 이 맞을까요?
2023.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