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알려져있는 마우스에서 종양형성을 유도하는 모델을 연구실에서 한번도 진행한 적이 없어 제가 연구실 최초로 레퍼런스 기반으로 모델을 제작하고 있는데요.
이미 여러차례 해당 기법을 사용하여 종양형성모델을 제작한 논문이 다수 존재하는 상황에서 해당 모델을 재현해내는 수준만으로 석사졸업이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현재 상황은 기존에 있던 연구실 학생들이 다른 방법으로 제작한 종양유도모델에서 타겟유전자가 발현량이 너무 낮아 제가 진행한 새로운 종양유도모델에서 검증을 진행하고 있으나 마찬가지인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꾸 교수님께서는 이제 와서 졸업학기인 저에게 이런 식이면 졸업 못한다는 식으로 압박을 주고 있습니다.
기존에 안되던거를 저에게도 강요하는 상황이고, 물론 실험을 잘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으로 테크닉이 부족하다느니 실험을 개판으로 한다느니 하는 폭언을 듣고 있으니 너무 지치고 힘이 들어서 그만 두고 싶은 심정이라 단순이 재현만 하는걸로도 졸업이 가능한 편이라면 교수님께 말씀드리고 졸업을 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