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이 한창 잘나갈 때 그 팀의 캐치프레이즈가 ‘꿈은 이루어진다’였어요. 스포츠 경기라면 근사해 보이겠죠. 하지만 과학은 달라요. 끝에 한마디를 꼭 붙여야 해요. ‘늘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라고. 특히 ‘세포’라고 하는 건 진짜 어려운 거예요. 트랜지스터를 갈아 끼워서 라디오를 고치는 것과 다르다고요.”
―환자나 가족들에게도 똑같이 말하시나요.
“어쩔 수 없지요. 저도 환자와 가족에게 ‘지금은 안 된다’고 말할 때마다 마음이 매우 아파요. 그분들이 어깨가 축 처져 진료실을 떠나는 뒷모습을 보면 며칠 동안 잔상이 지워지지가 않아 마음고생을 해요. 그러나 헛된 희망은 환자와 가족에게 두 번 상처를 줄 뿐이에요.”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도, 치료까지 그렇게 오래 걸릴까요?
“줄기세포를 만들 수는 있어요. 그것을 신경세포같이,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키는 것도 이제 가능해요. 그런데 환자의 몸 안에 만들어진 세포를 이식하는 방법을 전혀 몰라요. 동물에 해보니까 (세포가) 다 죽는 거야. 좋은 부품을 만들었는데 제대로 기계에 끼워 넣을 방법이 없는 셈이에요. 줄기세포 치료에 돈이 아주 많이 들더라도 병이 낫기만 하면 좋겠죠. 하지만 그런 줄기세포 치료 기술이 존재하지가 않아요. 은퇴를 기회로 이 말을 남기고 싶어요. ‘줄기세포 치료는 현재가 아니라 미래의 의학이다. 당분간은 안 된다’라고.”
이게..작년 중순쯤의 문신용교수님 인터뷰입니다..
그런데 현재 국내의 줄기세포연구로..상업화를 꿈꾸는 대형 업체들의 r&d센터의
몇몇 오래된 연구자들은..오히려 문신용 교수님이 틀렸다고하더라고요..
제가 국내의 연구자분들..그리고 배아줄기세포연구가 합법적으로 가능한
미국에나가서 연구중인 국내 줄기세포연구자분들의 이메일을 알게되어서 직접 여쭤본결과 그러했습니다..
부품을 만들었는데 그걸 끼워놓는 기술이 부족한것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리진 않을거라네요..
부품을 만드는것자체가 가장 어려운일인데 그 부품을 만들게된시간도 30년도 안됬다고했고..
과학과 의학은 발전에 가속도가붙고..예전보다 지금은 지원이나 여러방면의 인프라가
비교도 안된다고했습니다..
물론 적지않은 시간이 걸리겠고..확신할수는없지만 10년내에..혹은 더빨리 가능할거라는분도 있었습니다..(상용화는 더 미래의일이겠지만)
사실 제 생각에도..부품을 만드는것이 정말 어려운것이지..그걸 끼워놓는것은
많은 실험이 있다면 분명 가능해지는것아닐까요..
더욱이 지금 전세계가 줄기세포 전쟁이라고 하는만큼..줄기세포연구에 혈안이 되어 미쳐있는만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