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마당 진로
연구는 이렇게 하는 것이다??
계란 (비회원)
배아복제 성공하고 바로 논문 발표하지 않고 세턴 교수 방문한 다음에 직접 시연하고서 발표한 치밀함. 다시 노무현 대통령에게 확인 받는 센스.. 정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의 황우석이 그냥 운이 좋아 황우석이 된 것이 아니었군요.. 난자 기증 받을 때에도 여덟살짜리 못 걷는 아이 병원에 데리고 가 이 아이 걷게 하기 위해선 난자가 필요하다고 해 기증 받았답니다. 씨돼지 사건은 행정절차와 운송비(오천만원)를 감당할 수 없어 주머니에 넣고 온 것이 아니라 체세포를 떼어서 병에다 넣어 왔답니다. 문익점의 심정으로.. ------------------------------------------------------------ "황우석 교수 “인간 체세포 복제, 발표보다 1년 앞서 성공”" [동아일보] “인간 체세포 복제는 이미 2003년 2월에 완성했던 일이다.” 서울대 황우석(黃禹錫) 석좌교수가 인간 체세포 복제에 성공한 것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훨씬 전인 2003년 2월이었다고 처음 밝혔다. 30일 서울대 기숙사인 관악사 주최 강연회(콜로키움)에 강사로 초청된 황 교수는 그간의 연구과정과 성과에 얽힌 뒷얘기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황 교수는 2004년 2월 사이언스지에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줄기세포 배양’ 연구 내용을 처음 소개했다. 황 교수는 “당시 영장류의 8세포 분열 이후 단계의 실험 성공은 ‘신성(神聖) 영역’이라 불리던 불가능의 단계였다”며 “그러나 이미 30개의 체세포 복제에 성공해 국립과학연구소 DNA 검사를 통해 복제 확인을 한 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직접 방문해 그 성과를 확인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세계 생명공학계는 유대인들의 영향력이 막강해 이들에게 배척당하면 학계에서는 퇴출”이라며 “당시 유대인이자 이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미국 피츠버그대 제럴드 새턴 교수가 ‘영장류 체세포 복제는 불가능하다’는 논문을 사이언스지에 발표해 이를 뒤집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같은 해 5월 새턴 교수가 임상실험 대체용 원숭이 복제를 의뢰하기 위해 우리 실험실을 방문했을 때 인간 난자 12개를 복제하는 실험을 직접 보여줘 그로부터 인정받게 됐다”며 당시의 가슴 졸였던 사연을 공개했다. 세계적인 과학 잡지 사이언스에 난치병 환자의 체세포를 복제하는 방식으로 치료용 배아줄기 세포를 생산하는 데 성공한 내용으로 표지논문을 장식한 뒤 국내에서 처음 가진 이날 강연회에는 1000여 명의 학생들이 참여해 2시간 동안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대졸(예정)자 취업교육] 바이오QC전문가 16기 교육생 모집(~12/11, HPLC, 질량분석, 분자진단, 면역진단, 세포배양, 분석법 Validation 등)
[광명융합기술교육원] 24학년도 바이외의약시스템과 신입생 모집 (~12.22, 배양 : 미생물 및 동물세포 배양, 정제: 단백질 분리정제 및 분석)
[싸이티바 X 벡크만쿨터 웨비나] 세포 생존률 및 수율을 높이는 최적의 전략: 세포 분리부터 조직 분해, 자동화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