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마당 진로
[re] 토종 노벨상 잠재 후보를 들라하면...
거위 (비회원)
처음 포스트가 무슨 자극적인 글도 아닌데, 다들 왠 오버입니까? 오리지날 포스트를 보면 현재 김빛내리 박사님이 지금처럼 꾸준히 한 10년 잘하시면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지 않을까 한다라고 평범한 글이잖습니까. 그리고 인용지수도 그렇지 2003년에 낸 논문이 116번 인용됐으면 많이 된것 아닙니까? 2003년에 한국사람이 낸 논문이 1만번 이상인 사람들도 조용히 있다는 것은 저도 잘 모르는 일입니다. 어떤 분이십니까? bartel같으신 분의 논문도 1년 조금 넘는 시간에 3만번 인용된것은 아닐거라고 봅니다. 자라보고 놀란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라는 맘은 이해하겠지만, 오리지날 포스트는 그리 놀랄 포스트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냥 세상이 궁금하니까 연구하는거지, 무슨 노벨상은... > >"2002년에 내신 EMBO J 논문이 현재까지 128번 인용되었고, > 2003년에 내신 Nature 논문은 현재까지 116번 인용되었습니다" > >이 정도는 2002년 논문이 128번 인용되었다면..뭐 >그리고 한국인 과학자 1만번이상 인용된 사람들도 조용히 있는데 > >요즘 서울대 애들 젖소 복제 하더니만... > > > >>절대로 김박사를 폄하하려고 하는것이 아니고, 무슨주장을 하려면 >>잠시라도 생각좀 해보고 하는 습관좀 들입시다. >>Ruvkun, Bartel, Hannon 이세사람을 아신다면 아마 그런이야기 >>꺼내지도 않았을테고, 노벨상수상자 아니 보통 가능성이 있는사람들의 >>인용수가 보통 3만번을 넘어간다는것은 아는지.. >>꿈을 꾸는것은 좋은데 좀 알고서 꿉시다. >> >>>토종 노벨상이라... >>>요즘 우리나라 생물학계에서 가장 좋은 업적을 내시고 >>>계신분중의 한분은 김빛내리 박사님이 아닐까 합니다. >>>간단하게 조사해보았더니, 김박사님이 >>>2002년에 내신 EMBO J 논문이 현재까지 128번 인용되었고, >>>2003년에 내신 Nature 논문은 현재까지 116번 인용되었습니다. >>>이런 양질의 연구를 꾸준히 한 10년 계속하시면,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 평화상에 이은 두번째 노벨상의 영광, >>>과학분야에서는 첫번째 노벨상의 영광이 김박사님에게 >>>돌아갈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현재의 microRNA biogenesis 연구에서 >>>microRNA의 발생학적, 또는 진화적 의미를 >>>보여주는 연구가 뒤바침되어야 할 것이고, 그리고 >>>바란다면, 의학적 implication까지를 밝히셔야 할거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이런 일들은 김박사님의 능력으로 보아 충분히 >>>잘 하실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그나저나 내 2003년 논문은 이제 겨우 20번 인용되었는데, >>>언젠가 3자리수로 올라가기는 하려나... >>> >> >
[다온비에스 공간생물학 미니 심포지엄] Access the full richness of biological complexity with spatial multiomics
[광명융합기술교육원] 24학년도 바이외의약시스템과 신입생 모집 (~12.22, 배양 : 미생물 및 동물세포 배양, 정제: 단백질 분리정제 및 분석)
[대졸(예정)자 취업교육] 바이오QC전문가 16기 교육생 모집(~12/11, HPLC, 질량분석, 분자진단, 면역진단, 세포배양, 분석법 Validation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