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신경면역연구팀 (다발성경화증/시신경척수염 연구실)
SNUH Neuroimmunology group은 신경면역학을 연구하는 연구팀으로 주로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시신경척수염 (neuromyelitis optica, NMO), 미엘린희소돌기아교세포당단백질 뇌척수염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encephalomyelitis, MOG-EM) 질환의 진단과 치료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항아쿠아포린4 IgG 항체 [유세포분석법], 및 항미엘린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항체 [유세포분석법] 등과 같은 실용 검사법에 대한 신의료기술로 승인 및 기술 이전을 성공하였으며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이전은 국내의 다양한 병원에서 실제 의료기술로 사용 중입니다. 이 외에 환자 PBMC/CSF single cell RNA sequence기법을 통한 bio-informatics 분석을 통해 인체유래물 및 실험모델에서의 새로운 치료 target / 질병 매개 기전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팀은 국내외의 leading group과의 활발한 인적-지적 교류를 통해 보다 단시간에 새로운 분야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흡수하여 성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active collaborator는 다음과 같으며 새로운 기술의 습득 시 protocol을 보면서 혼자 하는 것 보다는 기존 전문가들의 hands-on을 한번이라도 꼭 참관을 하고 tip을 받아서 수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Oxford 대학의 Neuroimmunology Lab Co-chair인 Dr. Patrick Waters (autoantibody assay) - KAIST의 박종은 교수님 연구팀 (single cell genomics)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현제 교수님 연구팀 (multi-omics 및 spatial genomics) - New York University의 Dr. Littman (전 미국면역학회장, 2016 Vilcek Prize 수상자) 의 LAB 에 P.I. 장기 연수 수행 - 한림대학교 오상욱 교수님 연구팀 (CART therapy) - 고려대학교 김우섭 교수님 연구팀 (B lymphocyte and antibody immunity) - Mayo clinic Dr. Sean Pittock and Dr. Eon Flanag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cohort study) - 한양대학교 최제민 교수님 연구팀 (T lymphocyte and autoimmunity) - 코아스템켐온(주) (세포치료제 회사) ---------------------- 홈페이지: http://www.smkimlab.org 인스타 ID: snuh_neuroimmunology_group Youtube: https://www.youtube.com/@%EA%B9%80%EC%84%B1%EB%AF%BC-p9q P.I.의 publication에 대한 google link: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user=AV2tk8oAAAAJ&hl=en pubmed link: https://pubmed.ncbi.nlm.nih.gov/?term=sung+min+kim%2C+neurology&sort=date --------------------------- ********************************************************************************************************************* 12월 6일 오후 3시 Bric 한빛사 강의 동영상 링크 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께서는 강의 해 관련 질환과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ibric.org/s.do?sQGYBIBQjl *********************************************************************************************************************
1. 자가면역으로 신경이 손상된 신경면역질환 에서 cell therapy를 통한 신경 재생
2. 자가항체 매개 신경면역질환에서 engineered cell을 이용한 질병 완치
3. Human immune cell 기반 novel treatment target 발굴
4. 항체 매개 자가면역 질병 진단기술 개발
1. 주요 공통 실험 기술 (인턴 기간 동안 교육 프로그램 운영):
1) Mouse 기반 기본 in vivo 실험 기술, Tissue preparation, Immunofluorescence technique,
1) Immunofluorescence staining 및 confocal microscope imaging
2) Human sample 기반 ex-vivo 실험,
3) Human brain tissue를 이용한 연구
4) Single cell genomics의 data생산 (원할 경우 data 분석에 참여)
등의 skill을 배우고 관련된 연구에 주저자 혹은 기여도에 따라 공저자로 참여할 기회가 있습니다.
2025-01-31
* 학위증명서, 성적증명서, 이력서, 연구경력서 (연구경력 또는 연구경험 중심, 해당자에 한함, 양식 없음), 논문초록목록(해당자에 한함) 1. 대학원 입학 전 인턴 연구원 기간이 있습니다. 인턴 연구원 기간동안 추후 학위 과제 주제를 미리 개발하고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여 빠른 시일 내에 학위를 받는 데 필요한 조건 (논문 포함)을 충족하고 가급적 빠른 시기에 학위를 마무리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2. 인턴 연구원 기간동안 다음과 같은 교육/Hands on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다발성경경화증 동물 모델 제작/Scoring/유지 : P.I. 직접 지도, MOG35-55, MOG1-125, 및 SJL-PLP 모델 모두 가능 - FACS 및 최신 기법인 spectral FACS (BD A5 기종 사용, spectral unmixing으로 한번에 30개 이상의 target에 대한 동시 검사 가능) 교육 및 hands-on 실습 - Mouse brain, spinal cord, 또는 whole head (본 LAB 자체 개발 protocol로 meninges 및 skull bone marrow 모두 관찰) processing, sectioning, 및 염색 (Processing 과정 P.I. 직접 지도) - 인간 PBMC 처리 기법 (optional) - Single cell genomics 및 spatial genomics연구를 계획하는 지원자에게는 KAIST 박종은 교수님 LAB 또는 서울대의대 김현제 교수님 LAB에 파견 또는 협력 연구를 통한 교육 (optional) - Mouse naive T cell로 부터 Th17 cell로의 분화, intracellular signalling staining (FACS를 충분히 익힌 분들에게 본 LAB의 protocol로 hands on 실험) - Neuroimmunology 분야의 key article review 및 발표 연습 3. PI를 포함하여 젊은 분위기의 LAB입니다. 새로운 도전에 open되어 있으며 성실함을 존중하지만 불필요한 위계질서는 없는 합리적인 분위기입니다. 4. 제출 서류를 메일(sueh916@gmail.com)로 보내주세요. 유선 문의사항은 (02)2072-1828로 연락해주시면 됩니다. 5. 서울대학교 입학 조건인 TEPS 점수는 298점 (구 551점)입니다. 6. 국외 학회 참석 및 발표 적극 장려하며 이에 따른 경비를 지원합니다. 7. 면접 대상자는 개별적으로 메일로 연락 드리며, 기타 문의사항은 메일을 통해 연락바랍니다. 8. 졸업 후 해외 유수연구기관에 Post doc fellow로 일할 수 있도록 PI가 적극 지원 및 진로를 같이 물색합니다. 9. 질환에 대한 설명 및 연구실 publication은 연구실 홈페이지 www.smkimlab.org 를 참조하세요 10. 대학원 과정 중 다음과 같은 지원이 있습니다. - 구내식당 식사 하루 3끼 모두 제공합니다.. 대학원 기간 동안 별도의 식비 지출이 필요 없습니다. - 인근 카페에서 커피 takeout - 학업 및 연구와 연관된 교육 과정 적극 장려 - 등록금전액 지원 + 생활장학금 + 지방학생의 경우 주거지원금 일부 추가 지원 - 해외학회 참여 지원: 연 1회, 국내학회 참여 지원: 연구 주제와 부합할 경우 제한 없음. (초록 발표 권장) 11. 정원이 모두 모집될 경우 조기 종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