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Vol.21, No.8 (2019년 8월)
표지설명 : 큰조뱅이입니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Breea setosa. 높이 50-180㎝, 뿌리잎은 꽃이 필 무렵 시들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 모양의 피침형입니다. 꽃은 7-10월경 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는 두상꽃차례에 홍자색으로 피며, 암수딴포기입니다. 열매는 마르고 씨가 한 개씩 들어 있는 수과입니다. (촬영자 : 덩굴 박종섭) |
|
|
 |
 |
|
|
 |
세포 배양 자동화 기술 최신 동향 |
유정수, 정희진 (홍익대학교) |
세포 배양 기술을 표준화하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여 이를 자연과학 및 공학뿐만이 아니라 재생의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는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
|
|
|
|
|
|
|
|
|
|
|
 |
항암 면역치료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암의 특징 |
정의경 (JW홀딩스(주)) |
항암 면역치료는 면역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T 등이 임상적으로 큰 효능을 보이며, 항암치료의 패러다임 변호를 가져왔다. |
|
|
|
 |
p53 돌연변이를 타겟하는 효과적인 암 치료 |
도민재 (KAIST 화학과) |
종양 억제 유전자 TP53은 암에서 가장 빈번하게 돌연변이가 발생하는 유전자다. 야생형(wild type) p53은 여러 경로로 종양 발달을 억제할 수 있다. |
|
|
|
 |
인간의 전사 인자 |
공정렬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
전사인자(TF, transcription factor)는 특정 DNA 서열을 인식하여 염색질(chromatin)과 전사를 제어하고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복잡한 시스템을 형성한다. |
|
|
|
 |
질병 연구를 위한 오믹스 통합 분석 |
박상민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
유전체학(genomics), 전사체학(transcript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대사체학(metabolomics)과 같은 오믹스(omics) 기술의 발전은 매우 상세한 분자수준에서 환자맞춤형 의학(personalized.. |
|
|
|
 |
이공계 대학원 진학 관련 인식도 조사결과 |
BRIC (생물학연구정보센터) |
본 설문조사는 이공계 분야에서 대학원 진학에 대한 동기 , 과정 , 환경 등을 파악해보고 , 전문가 인력양성을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합니다. |
|
|
|
|
 |
 |
|
|
|
|
|
 |
엄요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PNAS |
 |
장선복 University of Pittsburgh.. Nat. Struct. Mol. Biol. |
 |
이소연 UNIST PNAS |
|
 |
김혁순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Sci. Adv. |
 |
박순정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Nat. Commun. |
 |
이승희 국립보건연구원,.. EMBO Mol. Med. |
|
 |
홍기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dv. Sci. |
 |
기재홍 연세대학교 Biomaterials |
 |
김원지 서울대학교,.. Eur. Resp. J. |
|
|
|
|
 |
 |
|
 |
|
[IBS(KAIST), Nature] 치매 유발하는 뇌 속 노폐물 배출 경로 찾았다 |
[성균관대, Nature] 심장질환 발병원인 규명 및 새로운 치료 표적 제시 |
[KIST, 세종대, Biomaterials] 유전자 가위 개량해 여러 종양세포 동시 공격… 항암 치료 새 길 찾았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J. Hepatol.] 신약개발에 필수적인 고기능 ‘간 장기유사체’ 개발 |
[IBS, 경북대, KIST 공동, Cell Rep] 특정 장소에 끌리는 뇌세포 작용 밝혔다 |
[차의과대 분당차병원, J Clin Invest] 암 성장·전이 차단 단백질 역할 규명…"항암치료 새 전략 제시" |
[한국뇌연구원, 존스홉킨스 등, Autophagy] 자가포식 유전자 이용…치매·루게릭병 치료 가능성 확인 |
[KAIST , Cell Rep] 발달과정 세포 간 정보전달 원리 규명...‘호메오 단백질의 이동성’에 대한 해묵은 학계... |
[서울대, 연세대, 미 예일대, PNAS] 비만 치료 실마리 될 ‘바이페린 단백질’의 효능 발견 |
[건국대, Sci. Adv.] 염증성 피부질환 제어하는 면역조절 기전 발견 |
|
|
|
|
|
|
 |
 |
|
 |
정현정 교수 My research interest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strategies for biomedical purposes, especially in healthcare. The first area is the development of novel sensing technologies for diagnosis of major human diseases (e.g. cancer, infectious diseases), as well as their applications in molecular profiling of target biomarkers. |
|
|
|
|
|
BioWave는 매월 BRIC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 BRIC회원들에게 메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메일링 서비스 신청은 회원정보수정에서 BRIC 뉴스레터 수신에 체크하시면 됩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