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성과뉴스 |
랭킹뉴스 |
|
생명과학 |
의약학 |
농수식품 |
산업 |
정책·오피니언 |
|
 |
치매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병은 아직 발병 원인이 규명되지 않아 완벽한 예방과 치료가 불가능하며,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아밀로이드 베타로 구성된 병원성 아밀로이드 섬유 응집체는 신경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연쇄적인 작용으로 발병된다는 아밀로이드 가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
국제 사회가 ‘인간-동물-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원헬스(One Health)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중 케냐는 원 헬스의 원칙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최근 의학저널 (401권 10372호)은 「원 헬스:...
|
 |
ChatGPT는 2022년 11월 미국의 인공지능 연구 회사인 오픈AI에서 발표한 대화형 언어 모델입니다. 사람의 대화를 흉내낸다는 기본적인 방향 자체는 기존의 언어 모델과 달라지지 않았지만 대단히 자연스러운 대화 흐름을 보여줘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
 |
꽤 최근까지 나는 내 자신이 의대 출신임에 대해 은연중에 의식 아닌 의식을 하고 있었다. 의대출신이면 이정도는 해낼 것이라는 타인들의 기대치가 상당히 민감하게 다가왔다. 기대치나 타인의 시선 따위...
|
 |
한국뇌연구원(KBRI, 원장 서판길)은 감각·운동시스템 연구그룹 라종철 책임연구원과 포항공과대학교 백승태 교수가 마우스 모델을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해 뇌전증 발병 원인의 하나인 선상 피지선 모반 증후군의 신경병리적 발병기전을 처음 규명했다...
|
 |
인슐린 수용체(Insulin receptor)는 체내의 혈당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막단백질이다. 췌장에서 분비된 인슐린은 근육, 지방, 간 등의 말단조직에 존재하는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고, 활성화된 수용체는 세포신호전달을 통해 세포가 흡수하는 포...
|
 |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박해심 교수팀(심소윤 대학원생, 최영우 연구전담교수)과 엠디헬스케어 김윤근 대표 연구팀이 호중구성 천식 환자에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유래 세포밖 소포’가 기도 염증 억제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
 |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지원 교수팀(강민수 교수, 병리과 나희영 교수, 삼성서울병원 병리과 안수민 교수)이 정상 담낭 상피 세포가 전암성 병변을 거쳐 원발 담낭암, 전이성 담낭암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발표했다. 이는 돌연변이를 갖고 있는 종양 클론의 시간/공간적 변화 추적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로, 환자에서 보다 효과적인 표적항암제를 선택하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독일 라이프니츠 천연물·감염생물학연구소(Leibniz-HKI)는 6일(현지 시각) “피에르 스톨포스 박사 연구진이 박테리아에서 잿빛곰팡이병을 물리칠 천연물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
 |
심해 미생물이 햇빛이 닿지 않는 깊은 바다에서 어떻게 생존하는지는 학계의 수수께끼였다. 해양 미생물 대다수는 광합성으로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받지만 심해 미생물에게 광합성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심해 미생물 생존의 비밀은 바다에 풍부한 수소(H2)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
 |
급성골수성백혈병은 인구의 고령화로 늘고 있는 혈액암 중 하나다. 항암과 조혈모세포이식의 표준치료가 어려운 노인 환자에게 희망이 되는 신치료법이 국내 처음으로 소개됐다.
|
 |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동시에 갖고 있는 다제내성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강남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한상훈 교수팀은 ‘국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다제내성균 증가: 장기 다기관 코호트 시계열 분석’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어업회사법인 해천마, 제주대학교와의 공동 연구팀이 '빅벨리해마'에서 항산화 효능을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제주도에서 대량 양식에 성공한 '빅벨리해마' 유래 펩타이드가 항산화 활성 효능을 가진 것을 확인했다.
|
 |
미국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의 연간 치료 비용은 약 1억원이다. 매우 비싼 가격이지만 모든 환자에게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건 아니다. 특정 유전자가 많이 발현되는 환자에겐 탁월한 항암 효과를 보이지만, 해당 유전자가 적게 발현되거나 없는 환자에겐 효과가 매우 낮다.
|
![[기고]박사후연구원 경력 지원, 선택 아닌 필수](/upload/board/files/news/nes_9/thumb/photo0348719_1.jpg?1675398353) |
2021년 5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에 '연구 프레카리아트'(Research Precariat)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이는 고용이 불안정한 기간제 박사후연구원(post-doc)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OECD는 '신진 연구자의 경력 불안정성 해소 방안' 보고서를 통해 세계적으로 많은 박사후연구원이 불리한 고용 조건과 불확실한 경력 경로로 말미암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
 |
각 대학들이 약사 면허를 받지 못하는 약대생이 나올 수 있는 '혁신신약학과' 설치 준비에 착수한 가운데 이와 별도로 정부가 올해 상반기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을 공개한다.
|
|
|
|
|
|
|
|
|
|
|
|
답변율 80.2% |
<3일간> |
질문수 41 | 답변수 106 |
|
|
|
|
|
|
|
BRIC View |
동향리포트 |
학회참관기 |
리뷰논문요약 |
외부보고서 |
|
|
|
|
|
|
|
|
 |
고려진 (이화여자대학교) Exp. Mol. Med. |
 |
이수영 (이화여자대학교) Exp. Mol. Med. |
 |
오덕환 (강원대학교) Crit. Rev. Food.. |
 |
김선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Ocul. Surf. |
|
|
 |
강건우 (연세대학교, 주..) Adv. Funct. Mate.. |
 |
임광범 (성균관대학교,..) Adv. Mater. |
 |
허재영 (KAIST) Med. Image Anal... |
 |
이유림 (을지대학교) Environ. Res. |
 |
박승현 (연세대학교 의과..) J. Med. Virol. |
 |
임준형 (서울대학교) Exp. Mol. Med. |
 |
곽순구 (서울대학교 의과..) JACC-Cardiovasc... |
 |
조윤기 (경북대학교) Bioeng. Transl... |
|
|
|
|
|
|
|
|
|
|
9/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IC은 Bio정보 공유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갈 협력단체를 찾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