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성과뉴스 |
랭킹뉴스 |
|
생명과학 |
의약학 |
농수식품 |
산업 |
정책·오피니언 |
|
 |
AZ 백신(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의 COVID-19)을 접종받은 사람들 중 일부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불가사의한 혈액응고장애(blood-clotting disorder) 때문에, 연구자들은 'AZ 백신 접종이 그런 이례적인 반응을 정말로 촉발하는지'와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메커니즘이 뭔지'를 밝혀내느라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
 |
미국으로 짐을 보내는 방법에는 배와 항공편이 있다. 항공편은 대한항공을 일반석 이용 시 23KG 2개씩 가능, 유아는 카시트나 유모차도 더 보낼 수 있다. 항공권을 구입하고 나면 e 티켓을 이메일로 받는데, 티켓의 마지막 부분에 자세히 적혀 있다. 여기에서 화물용은 세변의 합이 158센치 이내, 기내 가방은 세변의 합이 115센치 이내로 가능하다.
|
 |
마치 공상 과학 소설에서나 등장할 것 같은 특이한 미생물이 발견됐다. 지구 표면에서 격리된 채 방사선에 의한 화학반응을 유일한 에너지원으로 삼는 미생물 집단이 수백만 년 동안 진화를 전혀 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
|
 |
안녕하세요. 포항공대 생명과학과의 최규하입니다. 식물의 감수분열 중 유전체 재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연구합니다. 2017년 2월에 시작해서 4년이 다 되어 가네요.
|
 |
연세대학교 조정호 교수(화공생명공학과) 연구팀은 사람의 의식적 반응을 모사하는 인공 신경계를 최초로 개발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반도체 소자를 사용해 인간의 신호전달 시스템을 모사한 연구로, 인공지능 반도체 소자와 인공 신체기관(인공 의수 및 인공...
|
 |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에 이상이 생겨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병이다. 뇌 속 혈관이 터지게 되면 약 30%가 그 자리에서 죽기도 해 ‘머릿속의 시한폭탄’이라고 불린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이 혈관 내에서 동맥류를 새로운 방법으로 채워서 시한폭탄을 해체할 수 있는 치료법을 내놓았다.
|
 |
대사성 질환은 물질대사 장애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만, 당뇨 및 고혈압 등 다양한 질환을 지칭하며 주로 운동 부족과 과잉영양에 의한 생활 습관이 원인이다. 최근 코로나19가 대사성 질환력이 있는 환자들에게 더 치명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대사성 질환을 억제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
 |
신경계 독성물질인 이미노디프로피오니트릴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파라코커스 코뮤니스’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미노디프로피오니트릴(C6H9N3, 3,3'-Iminodipropionitrile, IDPN)은 살충제나 염료의 용매 등 다양한 화학제품을 제조할 때 발생하는 물질이다. 피부 자극, 호흡기계 손상 및 신경계 기능 방해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독성물질이다.
|
 |
지금까지 개발된 항암제 상당수는 적지 않은 부작용을 일으킨다. 탈모, 잦은 구토와 설사 등이 대표적이다. 심한 경우 심장, 폐, 간 등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와 감기 바이러스(common-cold virus)는 모두, 왕관 모양의 스파이크 단백질 돌기를 가진 코로나 계열 바이러스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감염할 때 꼭 필요하다.
|
 |
바나나 껍질이 비만 예방을 도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전(前)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바뀌는 과정을 차단하는 성분이 바나나 껍질에 함유돼 있다는 것이다.
|
 |
면역력 증진, 피로 개선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홍삼이 피부에도 좋은 것으로 드러났다. 미백, 주름개선 등 피부 개선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는 것. 최근에는 홍삼을 피부에 바르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의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피부를 보호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
 |
점점 부상하고 있다는 '디지털 헬스', 하지만 그 범위가 워낙 넓어 구체적으로 어떤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쉽지 않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워치'와 '유전체 분석'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것 모두 디지털 헬스에 포함된다.
|
 |
지난해 국내 주요 비상장 제약기업 10곳 중 7곳이 판매관리비(이하 판관비)를 늘린 가운데 매출 성장률과 판관비 증가율이 비슷한 수준으로 매출이 증가한 만큼 판관비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
![[관망경]민간 R&D 협의체에 거는 기대](/upload/board/files/news/nes_3/thumb/photo0329673_1.jpg?1618187759) |
기업이 국가 연구개발(R&D) 전 주기에 참여하는 '민간 R&D 협의체'가 출범했다. 국가 현안이자 산업 파급력이 큰 '탄소중립' '스마트센스' 2개 분야를 필두로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
|
|
|
|
|
|
|
|
|
|
|
답변율 74.8% |
<3일간> |
질문수 50 | 답변수 70 |
|
|
|
|
|
|
|
BRIC View |
동향리포트 |
학회참관기 |
리뷰논문요약 |
외부보고서 |
|
|
|
|
|
|
|
|
 |
류지현 (원광대학교) Sci. Adv. |
 |
이해신 (KAIST, 이노테..) Sci. Adv. |
 |
김금연 (KAIST, 이노테..) Sci. Adv. |
 |
김동은 (건국대학교) Autophagy |
|
|
 |
이대한 (Northwes..) Nat. Ecol. Evol. |
 |
김종헌 (경북대학교 의과..) Cell Death Diffe.. |
 |
이성진 (스크립스코리아항..) Biomaterials |
 |
유승범 (Universi..) Nat. Commun. |
 |
김성래 (서울대학교 의과..) Eur. Heart J. |
 |
조성재 (고려대학교 전자..) Biosens. Bioelec.. |
 |
조성윤 (Weill Co..) Mol. Cell |
 |
김소영 (서울시립대학교) Cell Death Diffe.. |
|
|
|
|
|
|
|
|
|
|
1/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IC은 Bio정보 공유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갈 협력단체를 찾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