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성과뉴스 |
랭킹뉴스 |
|
생명과학 |
의약학 |
농수식품 |
산업 |
정책·오피니언 |
|
 |
많은 분들이 미국에서 박사과정으로 혹은 포닥으로 유학을 하고, 각자 미국을 오게 된 사연은 다를 것입니다. 첫 연재를 통해 제 개인적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학부생 때부터 면역학에 관심이 많아서 2015년에 한국에서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대학원에 입학을 했었습니다.
|
 |
난.그.댄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그간, 난해한 그래프와 신나게 댄스를 추시는 분들이 많아지셨길 빕니다.
눈이 완전히 녹고 점점 사람들의 옷차림이 가벼워지는 요즘입니다. 그런 주변 풍경을 바라보며 곧 오게될 여름 휴가를 생각하니 퍼뜩...
|
 |
한국의 대학원과 벨기에 대학원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학생들과 지도교수 간의 관계를 제일 먼저 떠올리게 한다. 아무리 이 나라가 수직적인 구조가 거의 없다고 하지만서도, 처음 벨기에에서 박사를 시작하면서 적응하는 데 꽤 오래 걸린 부분은 교수님과 학...
|
 |
최근 연구현장에 있는 분들이 '연구재현성'에 대한 고민이 있다며 필자를 찾아왔다. 프로젝트를 발주하면서 계약하는 과정에서 과연 얼마만큼의 자료를 받아야 연구재현성이 보장될 수 있는지 물어온 것이다. 또한 연구재현성을 검증해주는 기관이나...
|
 |
사람들이 대화를 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메신저를 통해 서로의 의견 및 정보를 주고받는 것처럼, 세포들도 엑소좀이라는 입자를 이용하여 서로의 정보를 주고 받고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엑소좀들은 세포의 종류 혹은 상태(정상 혹은 질병)에 따라서 다른 메시...
|
 |
국내 연구진이 종양세포가 분비하는 세포유래 소포체인 엑소좀(exosome)을 인식하고 붕괴시켜 항암면역치료 효능을 대폭 높여주는 펩타이드를 발굴하여, 국내 항암신약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
 |
최근 구글 및 아마존등이 설립한 칼리코와 알토스 랩사는 생체시계를 거꾸로 돌려 생명 연장이라는 거대한 목표를 갖고 불로장생의 꿈을 실현하려는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세포 리프로그래밍이라는 성체 세포의 생체 시계를 거꾸로 돌려 회춘을 유도하는 세포 회춘 재생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받고 있다.
|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팀이 영유아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루먼랩’과 함께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수면장애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조기선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 가능성을 규명했다.
|
 |
과학자들이 DNA가 자가회복력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 약을 개발했다. DNA가 손상으로부터 스스로 회복하는 활동을 방해하는 원인 단백질들을 억누르는 방식이다. 회복되지 못한 DNA손상은 노화와 암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DNA 자가회복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은 노화와 암으로 인한 질병에 대응할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
공포와 불안은 내·외부 위협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감정이며,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필수적 감정이다. 공포와 불안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편도체(amygdala)를 공포-불안 정서반응의 중심 영역으로 규명하였다. 그러나 최근 많은 연구들은 편도체뿐 아니라 뇌의 다른 영역들 또한 공포-불안 반응에 필요하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
 |
AI(인공지능) 기반 인공 단백질 설계는 유용한 기능 보유 단백질을 컴퓨터 프로그램 내에서 인공적으로 설계하고 실제 합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지금까지 실험으로 불가능했던 단백질의 인공적인 설계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신약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
 |
고혈압은 치매와 인지기능 저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면 혈관이 수축하고 뇌로 전달되는 산소량이 줄어들면서 뇌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고혈압이 구체적으로 뇌의 어느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
 |
영국 BBC는 25일(현지 시각) 영국 정부가 자국 내에서 유전자 편집 식품 개발과 판매가 가능하도록 법을 바꿨다고 보도했다. 영국 정부는 이번 법 개정을 통해 유전자 편집 식품을 만드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많은 일자리가 생기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
 |
글로벌 바이오테크 경쟁이 격해지고 있다. 미국은 바이오·생명공학 분야에서 공급망 강화를 위해 강력한 규제책을 추진한다. 중국 또한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바이오 안보 위험 관리체계 구축을 강화하기로 했다. 일본까지 최근 바이오 대전환 정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강국이 바이오산업을 안보 차원에서 접근하면서 총성 없는 전쟁이 시작됐다.
|
 |
미국에 이어 중국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기술을 확보했다. 일본도 상용화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당시 미국처럼 mRNA 백신 기술을 확보하지 못했던 국가들이 잇따라 관련 기술을 확보하면서 mRNA의 적용 범위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바이오의약품 분야 추진 정책을 '맞춤형 규제지원'과 '안전망 고도화'에 초점을 맞춘다. 식약처는 27일 서울 건설공제조합에서 바이오의약품 제조·수입업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2023년 바이오의약품 정책·허가심사·품질 설명회'를 개최했다.
|
 |
생명의 순환에는 수직과 수평 두 방향이 있다. 생물학에서 수직이라는 단어는 세대를 단위로 하는 시간 축을 의미한다. 반대로 수평은 같은 시간, 즉 동시대의 공간을 의미한다. 위 영화 줄거리처럼 후손을 통해 반복되는 삶이 수직 순환이다.
|
|
|
|
|
|
|
|
|
|
|
|
답변율 74.1% |
<3일간> |
질문수 24 | 답변수 42 |
|
|
|
|
|
|
|
BRIC View |
동향리포트 |
학회참관기 |
리뷰논문요약 |
외부보고서 |
|
|
|
|
|
|
|
|
 |
허바울 (Université..) Cell Reports |
 |
김혜정 (University..) PLoS. Biol. |
 |
김기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J. Hazard. Mate.. |
 |
이효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J. Hazard. Mate.. |
|
|
 |
문재승 (Stanford..) Nat. Commun. |
 |
김성훈 (서울대학교) Redox Biol. |
 |
은정우 (아주대학교 의과..) Cancer Commun. |
 |
전인동 (한국과학기술연구..) Small |
 |
서동진 (연세대학교 의과..) JMIR Public Heal.. |
 |
정진혁 (한국생명공학연구..) Nat. Commun. |
|
|
|
|
|
|
|
|
|
|
8/10   |
|
|
|
|
|
|
|
|
코로나 바이러스와 신경 질환
조성민(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RIC Webina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IC은 Bio정보 공유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갈 협력단체를 찾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