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성과뉴스 |
랭킹뉴스 |
|
생명과학 |
의약학 |
농수식품 |
산업 |
정책·오피니언 |
|
 |
연구실 생활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며, 연구실 구성원들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실만의 방식을 따르는 게 필요합니다. 논문을 작성하고 실험을 하는 것만큼이나 연구실 생활을 알차게 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연구실 생활을 하는 사람들, 특히 대학원 신입생들에게는 연구실 생활이 막막할 수도 있습니다.
|
 |
연재 46편에서 미국의 금융을 살펴보았다. 처음에 랜딩을 한 후 계좌 만들기, 송금하기, 신용카드 만들기, 돈을 입출금 하는 것, 체크북 이용하기를 가장 먼저 시작한다.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나면 조금 더 진화된 은행 업무를 볼 일들이 생기게 마련이다....
|
 |
대학원 생활 중 우울증이 심해져 심리 상담을 받았습니다. 상담 선생님은 제 이야기를 주의깊게 경청하며, 이야기 사이에 왜 그런 기분이 들었는지 물었습니다. 상담 덕분에 저는 저 스스로도 몰랐던 우울함의 이유를 찾았습니다. 상대 기분을 상하게 하느니 스...
|
 |
WHO, 원숭이두창 감염 증가에 따른 긴급회의 소집
지난 2주 동안 유럽에서는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세 배정도 증가하는 등 전 세계에 원숭이두창 감염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지난 6월 23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위 질병이 팬데믹(범유행)으로 발...
|
 |
7일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이창욱 교수 연구팀은 MIGA2(Mitoguardin2) 단백질이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 사이에서 인지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고등동물 세포에서 이 같은 단백질의 역할과 그 원리가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
 |
카이스트(KAIST, 총장 이광형) 생명화학공학과 신디(Cindy Pricilia Surya Prabowo) 박사과정생과 은현민 박사과정생을 포함한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미생물 기반의 천연색소 생산을 위한 시스템 대사공학 전략’ 논문을 6일 발표했다.
|
 |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좌)·조성진(우) 교수 연구팀(김진용 박사, 박민지 박사과정)은 태아기 모낭 생성을 담당하는 성체 줄기세포인 ‘상부진피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출생 직후 모낭 재생능력이 사라지는 기전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7일 밝혔다.
|
 |
최근에는 임신부가 이소트레테노인 성분을 복용하면 기형아를 출산할 위험이 최대 3.76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한정열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교수팀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이소트레티노인을 복용한 임신부 기형 위험 연구들을 종합해 메타 분석했다.
|
 |
미국 워싱턴대의 페트라 앤 레빈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 연구진은 지난달 24일 ‘사이언스’에 “서인도제도 과들루프섬의 맹그로브숲에서 길이 1cm 초대형 박테리아 ‘티오마르가리타 마그니피카(Thiomargarita magnifica)’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
 |
미국 UC버클리의 제니퍼 다우드나 교수는 2012년 6월 29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박테리아에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를 적용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NA에서 특정 유전자를 자유자재로 잘라내는 기술이다.
|
 |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칼텍)는 이 학교 생물학·생체공학 교수인 파멜라 비어크만 교수 등이 진행한 코로나 범용 백신 연구가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정한 범용 백신 이름은 ‘모자이크8′이다. 코로나19 베타 변이와 동물에게서 발견된 코로나 바이러스 7종까지, 총 8종의 바이러스가 지닌 돌기(스파이크) 단백질을 모아 만들었기 때문이다.
|
 |
장의 미생물은 24시간 주기의 '생체시계'(circadian clock)에 맞춰 순환적 변화를 반복했고, 과식이나 나쁜 음식 섭취 패턴은 이 리듬을 교란했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의대의 아미르 자린파 조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5일 저널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논문으로 실렸다.
|
 |
최근 평상시 식단에 아보카도를 추가해 먹어도 살이 찌지 않고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펜실베이니아주립대 페니 크리스-이더튼 교수는 “아보카도를 기존 식사에 추가해도 복부지방이 증가하거나 체중이 늘지 않았다”며 “기존에 먹던 식단을 더 건강하게 만들고 싶을 때 아보카도를 추가하면 좋다”고 말했다.
|
 |
올해 하반기 폐렴구균 백신, 황반변성 치료제, 유방암 치료제 등 굵직한 신약들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획득할 것으로 전망된다. 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연내 허가될 가능성이 있는 신약으로 ▲백스누반스(MSD) ▲엔허투(다이이찌산쿄) ▲바비스모(로슈) ▲넥스비아자임(사노피) ▲엑스키비티(다케다제약) 등이 꼽힌다. 올해 상반기에는 14개사 18개 의약품이 신약으로 허가받은 바 있다.
|
 |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이달부터 5개 대학에서 '의료 인공지능 융합인재 양성 사업'을 시작한다고 4일 밝혔다.
|
 |
지난달 29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가 개최한 2022년 대한민국 과학기술 연차대회에서 총 248편의 논문이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과총 소속 학회에서 발행하는 국내 학술지 논문 중 한 편을 학회에서 추천하고 과총에서 심사하여 수상자가 선정되는데, 각 학회별로 우수논문을 선정하고자 깊은 고민을 했을 것이다.
|
|
|
|
|
|
|
|
|
|
|
|
답변율 77.6% |
<3일간> |
질문수 44 | 답변수 93 |
|
|
|
|
|
|
|
BRIC View |
동향리포트 |
학회참관기 |
리뷰논문요약 |
외부보고서 |
|
|
|
|
|
|
한국산업기술진흥원-Global Tech Korea |
|
|
|
|
|
|
|
|
|
|
|
 |
김현석 (KAIST) Nat. Commun. |
 |
임재열 (연세대학교) Nat. Commun. |
 |
김현호 (광주과학기술원) Brief. Bioinform.. |
 |
서은우 (한국과학기술연구..) Adv. Sci. |
 |
황장선 (고려대학교 안암..) Adv. Sci. |
 |
신동윤 (서울대학교 ) Clin. Transl. Me.. |
|
|
|
|
|
|
|
|
|
|
3/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IC은 Bio정보 공유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갈 협력단체를 찾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