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성과뉴스 |
랭킹뉴스 |
|
생명과학 |
의약학 |
농수식품 |
산업 |
정책·오피니언 |
|
 |
굶주리는 어린이를 살리기 위해, 구호단체들은 오랫동안 하나의 명백한 치료법을 사용해 왔다. 그것은 '배불리 먹이는 것'이었다. 그러나 "굶주린 어린이들에게 장내미생물을 공급하는 것(feeding gut bacteria)이 그들의 배를 채우는 것(feeding stomach)만큼이나 중요하며, 심지어 더욱 중요할 수도 있다"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
바이오 신약은 기본적으로 시장 규모를 몇 조원 대로 예측하곤 한다. 이에 따라 투자되는 금액도 기하급수 적이다. 그렇다면 내가 고른 약물이 정말 10년 후에는 매년 7조원 씩 벌어들이는 블록버스터가 될 것인가? 아니면 10년 후에 임상시험에 실패하는 투자비 환수가 어려운 약물이 될 것인가
의학계의 spectaculum
임상1상에 실패했는데 블록버스터로 출시! 약물투여방법 만 바꿔도 약을 살릴 수 있다.
임상시험 1상을 실패했다는 의미
바이오 신약은 기본...
|
 |
얼핏 보기에 인간의 눈은 다른 동물의 눈에 비해 대단히 우수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유류 중에서도 원숭이와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동물만이 색채를 구별할 수 있고, 다른 동물은 대부분 색맹이다. 또한 인간의 카메라 눈은 곤충이 지닌 겹눈에...
|
 |
소에서 태어난 송아지는 소의 몸을 갖고 사람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사람의 몸을 갖는다. 또한, 자식은 부모의 모습을 닮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이치이다. 이렇게 부모의 생김새나 특징이 자식에게 전해지는 현상을 유전이라고 하고, 그 유전 정보는 자식이 부모에...
|
 |
- 복부선조영역의 장기기억 자동인출을 통한 습관제어 기능 규명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 형 교수 연구팀과 카이스트 이수현 교수 연구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복부선조영역(ventral striatum)에서 습관행동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장기기억이 자동적으로...
|
 |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식용으로 널리 쓰이는 붉은색 천연색소인 카르민산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 개발'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
 |
인공지능 기법을 통해 단일염기서열변이(SNP) 정보로부터 인간항원유전자(HLA) 유전형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
수술이나 약물치료 없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알츠하이머병)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알츠하이머병 환자에 대한 저강도 집중초음파 자극시스템의 탐색 임상연구(A pilot clinical study of low-intensity transcranial focused ultrasound in Alzheimer’s disease)’를 SCI(E) 학술지인 ‘ULTRASONOGRAPHY’에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
 |
아프리카 산(山)고릴라 수컷은 두 발로 서서 손바닥으로 가슴을 빠르게 치는 독특한 행동을 한다. 숲에서 1㎞까지 울려 퍼지는 수컷 고릴라의 가슴 치는 소리는 암컷에게 구애하거나 수컷 경쟁자 또는 적에게 경고하는 행위로 알려져 있다.
|
 |
국내 연구진이 난치성 뇌암 '교모세포종'의 기전을 확인해,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뇌의 교세포에 발생하는 교모세포종은 수술, 항암제, 방사선 치료에도 불구하고 재발이 빈번하고 악성도가 높은 난치성 뇌암이다. 암 전체에서는 2% 정도로 적지만 5년 생존율은 10% 미만으로 극히 낮다.
|
 |
해양수산부는 해양수산 분야 학술대회를 활성화하기 위해 4 개 학회에 학술대회 개최 비용을 최대 1 천만 원까지 지원할 예정 이며 , 4월 8일(목)부터 16일(금)까지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
|
 |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로 여러 전통 산업의 성장세가 주춤하는 사이 제약 산업, 그 중에서도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성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제약·바이오 해외 기술수출 규모가 4년만에 10배 가까이 뛰었고, 생산액도 연평균 10% 이상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
 |
최근 태국과 베트남, 브라질에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들 백신은 모두 미국 텍사스대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러스 벡터 백신 플랫폼을 이용한 것으로, 달걀을 이용해 생산하는 까닭에, 기존 독감백신 시설에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최고 부양책은 백신인데…" K방역이 진짜로 놓친 것들 [특파원 칼럼]](/upload/board/files/news/nes_4/thumb/photo0329644_1.jpg?1617943262) |
미국의 대표적 경제학자 중 한 명인 손성원 로욜라메리마운트대 교수는 작년 말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고의 경기 부양책은 백신”이라고 강조했다. 최대한 서둘러 집단 면역을 달성해야 경제를 재개할 수 있다는 논리였다.
|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농식품 벤처육성 지원사업」의 2021년 지원대상을 선정하였다. 농식품 분야 우수한 벤처창업 기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동 사업은, 지원기업의 성장, 신규 일자리 창출 등에서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어 올해에도 많은 기업의 참여가 예상되었다.
|
|
|
|
|
|
|
|
|
|
|
|
답변율 74% |
<3일간> |
질문수 29 | 답변수 37 |
|
|
|
|
|
|
|
BRIC View |
동향리포트 |
학회참관기 |
리뷰논문요약 |
외부보고서 |
|
|
|
|
|
|
|
|
 |
김금연 (KAIST, 이노테..) Sci. Adv. |
 |
김동은 (건국대학교) Autophagy |
 |
류지현 (원광대학교) Sci. Adv. |
 |
이해신 (KAIST, 이노테..) Sci. Adv. |
|
|
 |
이성진 (스크립스코리아항..) Biomaterials |
 |
조성재 (고려대학교 전자..) Biosens. Bioelec.. |
 |
김은서 (서울대학교) Biomaterials |
 |
유승범 (Universi..) Nat. Commun. |
 |
김소영 (서울시립대학교) Cell Death Diffe.. |
 |
조성윤 (Weill Co..) Mol. Cell |
 |
김경진 (인하대학교, C..) Nat. Commun. |
 |
김종헌 (경북대학교 의과..) Cell Death Diffe.. |
|
|
|
|
|
|
|
|
|
|
4/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IC은 Bio정보 공유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갈 협력단체를 찾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