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
성과뉴스 |
랭킹뉴스 |
|
생명과학 |
의약학 |
농수식품 |
산업 |
정책·오피니언 |
|
 |
실험실에서 반복적인 실험을 하다 보면 매너리즘에 빠지기 쉽다. 욘됴리만의 매너리즘을 극복하는 방법이 있다는데...
|
 |
미생물을 다루는 분이라면 대부분 초저온 냉동고인 딥프리저를 사용하시겠죠.
딥프리저 대신 액체질소를 사용하는 실험실도 본 적은 있습니다. 딥프리저를 갖추기 어려운 것이 이유라고 하면서 일시적으로 사용하시더군요. 액체질소가 딥프리저를 전적으로...
|
 |
cDNA (complementary DNA)는 세포에서 단백질의 기능 연구 혹은 단백질 다량 생산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5’ 비번역 영역 (untranslated region)이 mRNA 안정성, 세포 내에서의 위치 혹은 번역 (translation) 효율과 관련된 구조적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cDNA의 정보를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
 |
한국에서 시부모님께서 11일 일정으로 미국에 들어오셨다. 아이들은 spring break 기간이지만 남편은 출근을 하고, 나는 재택근무를 하기 때문에 멀리가기 보다는 근처의 명소를 깊이 있게 둘러 보기로 했다. 가족과 친구 등이 올 경우를 대비하여 근...
|
 |
코로나19 백신접종 뒤에도 돌파감염 사례가 잇따르면서(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3차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사례는 4명중 1명 수준이다) 백신 효과에 대한 의심도 생긴다. 하지만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기억 T세포 기억T세포: 기억 T세포는 항원을 기억하...
|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1형, 2형 당뇨병이 아닌 췌장성 당뇨병(외분비 췌장질환 유발 당뇨병)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전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췌장성 당뇨병에 대해서 한국인 빅데이터를 이용해 그 특성과 임상경과를 밝힌 연구결과가...
|
 |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첨단연성물질 연구단(단장 스티브 그래닉) 조윤경 그룹리더(UNIST 바이오메디컬 공학과 교수) 연구진은 혈액·소변을 이용해 암과 같은 질병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다공성 금 나노전극 기반 바이...
|
 |
국내 연구진이 물리화학적 아이디어를 인공지능 딥러닝에 접목해 기존의 방법보다 일반화 성능이 높은 단백질-리간드 상호작용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리간드란 수용체와 같은 큰 생체 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말하며, 생체 내의 중요한 요소이자 의약품...
|
![[남궁석의 신약연구史]질병관련 단백질 구조의 규명](/upload/board/files/news/nes_8/thumb/photo0341418_1.jpg?1652658125) |
분자생물학과 구조생물학의 기술이 확립된 이후 이제 많은 연구자들은 인간의 질병에 관련된 많은 단백질의 구조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결국 약물은 특정한 단백질에 작용하여 효과를 내고, 질병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단백질의 구조를 알게되면 질병의 치료법을 찾을 수 있다는 기대로 질병 단백질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됐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세포 지도, 완성에 한 걸음 가까워지다](/upload/board/files/news/nes_7/thumb/photo0341397_1.jpg?1652656652) |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1일 다양한 모양을 가진 인간 세포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사람의 장기들은 제각기 다른 형태와 모양, 기능을 가진 세포들을 보유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2016년 인체의 모든 세포를 분석해 정리하는 프로젝트인 ‘인간 세포 지도(HCA)’를 발족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완치된 후에도 인체에 '유령'처럼 남아 롱코비드(후유증)을 일으킨다." 코로나19 감염 후 오랜 기간 동안 후유증에 시달리는 이른바 '롱코비드(Long COVID)'의 원인이 장내에 남아 있는 바이러스 조각들 때문일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해 주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됐다.
|
 |
멍게에 함유된 성분이 노화 징후를 반전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발표된 미국 스탠퍼드대와 중국과학원(CAS) 대학 등의 공동연구 결과에 따르면 멍게에 들어있는 ‘플라스말로겐’ 성분은 노화가 진행 된 뇌의 인지 장애를 뒤집을 수 있는 성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을 69%나 감소시키는 것으로 최근에 밝혀졌다.
|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인간의 질병 진단·치료 뿐 아니라 지구 생태계 시스템 보존을 위해서도 중요하게 쓰일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 해당 분야 연구를 통해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 우리나라도 적극적·체계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
롯데·GS·CJ·OCI 등 주요 대기업들이 미래 먹거리 신사업 확장 카드로 '바이오'를 꺼내 들고 있다. 앞서 삼성은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 SK는 SK바이오팜·SK바이오사이언스를 통해 구체적 성과를 내고 있어 재계는 해당 영역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롱코비드의 진실](/upload/board/files/news/nes_6/thumb/photo0341476_1.png?1652761967) |
지난 정부가 끝날 무렵 코로나19에 대한 K방역(한국형 방역)을 세계의 모범이라며 자화자찬하는 모습을 보면서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 치명률이 0.13%로 세계 평균인 1.2%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낮은 걸 두고 이렇게 평가한 것 같은데, 절댓값을 놓고 보면 고개를 갸웃하게 된다. 알다시피 한국은 한동안 1일 확진자 수에서 세계 1위를 달렸고 심지어 사망자 수에서도 세계 1위를 한 날이 있기 때문이다.
|
 |
백경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새 정부의 초대 질병관리청장으로 임명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17일 초대 질병관리청장으로 임명했다..
|
|
|
|
|
|
|
|
|
|
|
|
답변율 76.3% |
<3일간> |
질문수 47 | 답변수 87 |
|
|
|
|
|
|
|
BRIC View |
동향리포트 |
학회참관기 |
리뷰논문요약 |
외부보고서 |
|
|
|
|
|
|
|
|
 |
전형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Cell Reports |
 |
윤미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Brain |
 |
정승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Brain |
 |
이필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Brain |
|
|
 |
이원석 (Harvard..) J. Clin. Invest. |
 |
이우진 (분당 서울대학교..) Brain |
 |
정진국 (서울대학교) Cell Death Diffe.. |
 |
안승엽 (서울대학교) Cell Reports |
 |
조성익 (기초과학연구원,..) Cell |
 |
전인동 (한국과학기술연구..) Small |
 |
배문형 (Harvard..) J. Am. Chem. Soc.. |
 |
채세열 (서울대학교) J. Control. Rele.. |
|
|
|
|
|
|
|
|
|
|
9/1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RIC은 Bio정보 공유문화를 함께 만들어나갈 협력단체를 찾습니다. |
|
|
|
|